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전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삼랑진—광주송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경전선
Remove ads

경전선(慶全線)은 경상남도 밀양시 경부선 삼랑진역광주광역시 광산구 호남선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간략 정보 경전선, 기본 정보 ...

이 노선은 마산선, 진주선, 광주선이 통합된 철도 노선으로 경상도,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라는 뜻에서 두 도의 첫 글자를 따서 경전선이라고 하였다.

2003년부터 경전선 개량과 복선전철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2010년 12월 15일에 삼랑진 ~ 마산 구간이 복선전철화 개통하였으며, 2012년 12월 5일에 마산 ~ 진주 구간 복선전철화가 개통되었고, 2016년 7월 14일에는 진주 ~ 광양 간 복선 비전철화가 개통된데 이어 전철화도 2023년 6월 22일에 완료되었다. 2023년 9월 1일 SRT의 운행 노선 확대에 따라 SRT의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Remove ads

역사

광복 이전

Thumb
낙동강철교 건설 장면 (1905년)

해방이후 비전철 시대

Thumb
진주시 내동면 유수리, 가화천진주 유수리 백악기 화석 산지 위를 지나는 구 경전선의 철교
Thumb
북천역 부근의 구 경전선과 신 경전선

고속철도 시대

Remove ads

역 목록

자세한 정보 역명, 로마자 역명 ...
Remove ads

지선 노선

요약
관점

경전선에는 총 10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노선 명칭 ...

진해선

진해선창원역통해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1이다. 2015년 2월 1일 정기 여객 열차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광양제철선

광양제철선광양역태금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광양제철소까지 이어지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2이다.

광양항선

광양항선광양제철선황길역광양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광양항으로 이어지는 화물선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3이다.

광주선

신광양항선

신광양항선광양제철선초남역신광양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광양항선의 수송량 분담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5이다.

부산신항선

부산신항선진례역부산신항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부산신항으로 이어지는 화물선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6이다.

덕산선

덕산선창원역덕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본래 경전선 본선의 일부였으며, 2010년 12월 15일 창원역 ~ 낙동강역 구간이 이설되면서 덕산역의 군용화물 취급을 위해 존치시킨 철도 구간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7이다.

전경삼각선

전경삼각선평화역성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8이다.

신항북선

신항북선은 2013년 3월 14일 부산신항선 내에 개통된 부산신항선의 지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09이다.

신항남선

신항남선은 본래 부산신항선의 일부였으며, 신항북선이 개통되면서 분리된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710이다.

터널 목록

자세한 정보 터널 이름, 소재지 ...
Remove ads

경전선 개량사업

요약
관점

삼랑진 - 마산 구간

  • 2002년 실시설계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서, 진영역은 동남쪽으로 이전했고 덕산역은 창원중앙역으로 업무기능이 대체되었다.
  • 완공시기를 2008년으로 잡았으나, 공사가 심하게 지연되어 2010년 12월 15일에 완공되었다.[27]
  • 한림정 - 낙동강 사이의 낙동강철교는 개량 이전의 철교보다 서쪽으로 이설되는데, 이 구간은 1962년에 이미 한차례 이설되어(구 철교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쓰이고 있다) 새 철교는 3대째의 철교가 된다. 교량 형식은 와렌 트러스(Warren Truss) 방식의 철교로 복선 개량 이전의 철교와 동일한 구조이다. 2009년 9월 29일에 단선형태로 우선적으로 이설되었다.[28]

마산 - 진주 구간

  • 2006년에는 함안 - 진주 구간을 BTL 사업으로 전환할 것을 발표하여, 2008년에 (주)가야철도가 선정되어 같은 해 3월 19일에 해당 구간의 착공식을 가졌다.
  • 2011년 개통 예정이었지만 공사 지연으로 2012년 12월 5일에 개통되어, 함안역진주역은 남쪽으로 이전했다. KTX 또한 진주역까지 이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29]
  • 완공 이후에는 기존의 마산 - 진주 구간의 역 수가 13개에서 절반인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의 6개로 크게 줄어들었다.

부전 - 마산 구간 신설

  • 부산권 광역전철로 현재 시공 중인 태화강-부전 동해선 광역전철과 부전역에서 직결되는 부전-마산 광역전철 사업이 착수된 상태다. 김해국제공항 및 창원·마산과 부산 도심간의 교통망을 확충함과 동시에 부전에서 마산까지 약 40분 정도의 운행시간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미 기본 설계는 완료된 상태이며 개통목표는 원래 2020년이었다가 2020년 3월 18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생태공원 내부 부전~마산 복선전철 하저터널 공사장에서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해 2년가량 개통 연기가 불가피하다.
  • 부전에서 출발하는 경전선 전체 노선을 주행하는 경전선을 간선철도로 삼는 열차 또한 이 노선을 사용할 것이며, 이 경우 현재의 삼랑진역 경유로 약 1시간 30분에 달하는 운행시간은 30분대 내지 40분대 선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정부는 2008년 부전 - 마산구간을 BTL(민간자본완공 후 임대)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 구간의 7개 역사(사상 - 김해공항 - 에코델타시티 - 가락 - 칠산 - 장유 - 신월)에 대한 설계입찰을 2006년 실시한 바 있다. 2009년 민자적격성검토 후 실시설계와 사업자 선정을 거쳐 2012년 착공,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사업비는 19,251억 원으로 추산된다.

진주 - 광양 구간

  • 복선을 먼저 설치한 후 전철화하기로 했다. 기본 및 실시설계 후 2006년 턴키구간 3곳을 우선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착공이 연기되어 2009년 예산이 확보됨에 따라 착공했다. 2015년 말 구간 완공, 2016년 7월 14일 개통되었다.
  • 기존 역이 반가량 줄어들고, 150km/h로 달릴수 있도록 선형이 직선화된다. 이설되는 역은 하동역, 횡천역, 북천역이고 진상역완사역은 기존 역사를 개량하게 된다. 이를 통해 진주역 ~ 순천역 간의 거리가 과거 76.9km에서 현재의 60km 내외로 줄어들었다. 진주역 ~ 광양역 간의 거리가 66.8km -> 51.5km로 단축되었다.
  • 복선화한 후 2020년 기준으로 가공전차선을 올리고 있으며, 2023년 6월 22일에 개통되었다.

광양 - 순천 구간

  • 광양항 개발에 따라서 선로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실시했다. 당초 광양역 방향의 구간은 복선 비전철로 하려 했으나 전라선 복선전철화 사업과 연계하여 순천역에서 광양역까지를 함께 복선전철화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 2011년 11월 21일에는 복선 비전철화 개통되었고 2012년 6월 21일에 복선전철화 개통되었다.[30]
  • 광양역은 현재의 위치에서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이밖에 경전선을 잇는 전경삼각선이 생겼으며 폐역되었던 경전선 평화역이 신호장 역할로 부활했다.

순천 - 보성 구간

  • 순천 - 보성 구간의 단선전철화가 장기 계획으로 잡혀 있었는데, 전철화 확정된 목포-보성 및 순천 이동 구간과 직결 운행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우선 전철화 요구를 한 끝에 보성 -광주송정보다 우선적으로 개량 및 전철화하기로 하였다.

보성 - 광주송정 구간

  • 보성 - 광주송정 구간의 단선전철화가 통과 되었다. 구 나주역에서 분기해 빛가람동 서남쪽을 지나 화순군은 경계만을 스친 뒤 장흥군 장평면을 지나 새 보성역에서 합류한다. 노안역 분기에 빛가람동 북측에 혁신도시 역을 짓고 화순군은 이양역에 정차하는 2018년 예타와는 달라졌다.

보성 - 임성리 구간 신설

경전선 보성-임성리 구간은 보성역에서 호남선 임성리역에 이르는 신설 구간이다. 남해선라는 별칭이 있다. 이 구간이 완성되면 장흥, 강진, 해남, 영암에 철도가 들어가며, 경전선이 영남권과 호남권을 이어주게 된다. 당초 단선 비전철로 착공하였으나 2019년에 전철화로 변경되었다.

이 사업으로 새로운 보성역이 보성읍 남쪽 외곽에 건설되며, 기존선과는 보성역 동쪽에서 분기하게 되어 사업이 완료되면 보성역이 광주 방향과 목포 방향 두 개로 나뉘게 된다. 그러다가 광주송정-보성 전철화가 되면 새 보성역만을 사용하게 된다.

Remove ads

경전선의 교통량

2023년도 철도통계 연보에 따르면, 경전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자세한 정보 운행구간, 선로용량 ...

현재 삼랑진역 ~ 진주역에 이르는 구간에는 경부선의 지선 역할로 평균 1시간 간격으로 KTX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하고 있으나, 나머지 구간은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에 편도 4회 운행하고 있다. 그중 1편성만 부전역 ~ 목포역까지 전구간을 운행하고 나머지 편성은 순천역 기준으로 나누어서 운행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