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Remove ads

상하이 지하철 10호선(중국어: 上海轨道交通10号线)은 상하이 지하철의 노선이다. 노선색은 라벤더색이다.

간략 정보 기본 정보, 운행 국가 ...

10호선은 중국 최초로 무인 자동화 운전 시스템을 상용화한 도시 철도 체계이다.[1][2] 10호선의 1차 구간은 신장완청역~훙차오역 구간이며,지선은 룽시루의 항화 지선(航华支线)과 연결되어, 항중루역에 다다른다. 노선 길이는 총 36km이며, 180억 위안의 건설 비용이 들었다.[3] 이중 룽시루역의 동쪽 지선 부분은 2010년 4월 10일에 시운전 후 조기 개통되었고, 룽시루역의 서쪽 본선 구간은 2010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4][5][6][7]

Remove ads

노선 정보

  • 복선화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지하 구간 : 항중루, 훙차오역-룽시루-신장완청
  • 지면 구간 : 룽바이신춘 남—우중루 주차장

배차 간격

자세한 정보 월요일 ~ 일요일 ...
  • 1:본선·지선 공용 구간은 신장완청~룽시루 간이다.
  • 2:본선 독립 구간은 룽시루~훙차오 역, 지선 독립 구간은 룽시루~항중루 간이다.[8]

역 목록

본선

자세한 정보 역명, 환승 ...

지선

자세한 정보 역명, 환승 ...

차량

차체에는 양쪽에 라벤더색 띠가 있으며, 상하이 지하철 1호선2호선의 AC-08형 차량과 비슷한 형태이다.

Thumb
차량 내부
Thumb
18호선의 전자 노선도
Thumb
10호선 차량 전두부
Thumb
10호선 운전신을 반투명 유리를 통해 본 모습

10A01형 전동차

  • 제조사:
  • 국산화율:70% 이상
  • 유형:A형
  • 구획:길이 23.54m,폭 3m,용량 최대 310명 탑승 가능
  • 설계 속도:80km/h
  • 차량 편성:6량 편성(Tc+Mp+M+M+Mp+Tc)
  • 동력 방식:VVVF 인버터
  • 차량 총수:41대(1001-1041)
  • 제조년도:2009년2011년
  • 설계 수명:25-30년
  • 모든 차량에는 점등식 노선도를 갖추고 있고, 각 객실 통로 위는 LED 디스플레이가 없다. 차량 전두부에는 행선지가 표시되는 붉은색 LED 디스플레이가 있다.
  • 참고:
    • 10호선은 총 41대로 246량의 차량을 사용한다. 조달 계약에 따르면, 2009년 3월말 전에 1차분이 도입되었고, 2009년 11월에 18대(108량)이 도입되었고, 2010년 3월에는 26대(156량)이 도입되었으나, 실제 공정은 차이가 있다. 그리고 24대가 세계 박람회에 투입되었다.
    • 2014년 8월, 10호선의 무인화가 시행되어, 검은 반사 방지 필름이 부착된 유리를 통해 승객이 전면부를 볼 수 있으나, 빛 투과율이 높지 않고, 대부분의 구간이 지하에 있어서 관광 가치는 높지 않다.
  • 2011년 9월 27일, 1005호, 1016호 열차가 위위안역라오시먼역 구간에서 추돌 사고가 일어났으며, 현재 이 두개 열차는 수리 작업 후 운행을 재개했다.

열차 편성 기호 범례:

  • B/Mp—팬터그래프가 장착된 동력차
  • C/M —팬터그래프가 미장착된 동력차
  • A/Tc—무동력 객차
Remove ads

연혁

  • 2005년 12월 : 10호선의 착공 시작.
  • 2009년 2월 1일 : 전체 노선 중 일부구간에서 1쌍의 둥근 표준형 터널 3개가 뚫림.[9]
  • 2009년 2월 6일 : 상하이 지하철 10호선의 역명 확정. 단수이루(淡水路) 및 구베이루(古北路)역 등이 신톈디(新天地)와 이리루(伊犁路) 역으로 각각 개칭.
  • 2009년 9월 13일 : 10호선 열차의 초기 편성 도입.[10]
  • 2009년 9월 14일 : 상하이에서 가장 큰 철도 주차장으로 건설된, 10호선 우중루 주차장(吴中路停车场) 완공.[11]
  • 2010년 4월 10일 : 상하이 지하철 10호선의 신장완청역(新江湾城)부터 항중루역(航中路)까지의 구간 개통. 비-피크 시간 09:00~16:00 간을 운영.[12]
  • 2010년 7월 3일 이후 : 운행 시간의 아침 및 저녁 피크 시간 적용으로, 5:30~19:30로 연장.
  • 2010년 11월 21일 : 룽시루역부터 훙차오역까지의 시운전 돌입.
  • 2010년 11월 30일 : 룽시루역부터 훙차오역까지의 구간 개통. 운행 시간을 5:30~22:00로 연장.
  • 2012년 5월 4일 : 2차 구간 착공.[13]
  • 2013년 4월 10일 : 2차 구간의 공사 환경 영향 평가 1차 공시.
  • 2013년 12월 20일 : 2차 구간의 공사 환경 영향 평가 2차 공시.[14]
  • 2014년 3월 7일 : 2차 구간의 공사 환경 영향 평가 승인 전 공시.
  • 2014년 6월 4일 : 상하이 환경 보호국에서 2차 구간 환경 영향 평가 보고서를 승인.
  • 2014년 6월 12일 : 2차 구간 공사 환경 영향 평가 통과.
  • 2014년 7월 16일 : 2차 구간의 가능성 조사 보고에서 건설 승인을 받음.
  • 2014년 12월 31일 : 10호선의 단일 하루 이용객수가 8천 7천만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15]
  • 2015년 3월 27일 : 10호선 신장완청~훙차오 역 구간의 첫차 운행 시간을 기존의 5:35분에서 5:25으로 앞당김.
Remove ads

향후 구간

신장완청과 자유무역구(外高桥)를 잇는 2차 구간은 9.4km에, 5개역으로, 현재 공사중으로 2018년에 개통될 예정이다. 개통후, 훙차오역(虹桥火车站站)-지룽루역(基隆路站)과 항중루역(航中路站)-신장완청역(新江湾城站)로 운행 경로가 바뀌게 된다.

주요 사고

2011년 9월 27일 10호선에서 상하이 지하철 역사상 가장 심각한 사고가 일어났다. 오후 2시 10분, 10호선 신톈디역의 설비 고장으로, 자오퉁 대학 역과 난징둥루 역 상하행의 전화 모드에 불통이 일어나, 열차의 제한속도를 초과했다. 오후 2시 51분, 위위엔역라오시먼역 하행 구간내의 1005호 열차와 1016호 열차가 추돌 사고를 일으켜서, 295명이 부상당했다. 사고 구간인 훙차오루 역과 톈퉁루 역 사이의 9개 역 구간이 일시 폐쇄되었고, 나머지 두 구간은 소교로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정했다. 9월 28일 20시에 출발한 첫차가, 10호선 이리루 역과 쓰촨베이루 역 사이에서 정지되었다.[16][17]10월 6일, 최종 조사 결과 발표를 하고, 관련자 12명은 징계 처분을 받았다.

Remove ads

기타 사고

  • 2010년 1월 6일, 10호선 훙차오 로 숭위안루역 출구 공사 현장에서, 크레인 작업을 하던 중 갑자기 통제 불능 상태에 이르러, 약 5m길이의 긴 다리를 받치고 있는 육중한 기둥이 건설 현장에 있던 2개 차량 차체 지붕 위를 짓눌렀다.[18]
  • 2011년 7월 28일, 밤 10시 열차 한대가 룽시루역에서 출발하여, 원래 항중루 방면으로 가야했으나, 훙차오 역으로 후송됐다가, 상하이 동물원 역에 이르렀고, 항중루 역르고 갈 예정이었던 승객이 이 역에서 하차해야했다. 상하이 지하철 측은 "신호 결함"이라고 밝혔다.[19]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