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선산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선산군
Remove ads

선산군(善山郡)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이다. 1995년 1월 1일 구미시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1]

역사

요약
관점

신라 진평왕 36년(614년)에 사벌주(沙伐州)를 폐하고 ‘일선주’(一善州)를 설치하고 군주(軍主)를 두면서‘일선’이라는 이름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신문왕 7년(687년)에 다시 일선주를 파하고 사벌주로 고쳤다가, 경덕왕 때 ‘숭선군’(嵩善郡)으로 고쳤다.[2]고려 시대에는 성종 14년(995년에 ‘선주’(善州)로 고쳤고, 고려 현종 9년(1017년)에 상주(尙州)에 소속되었다가, 고려 인종 21년(1142년)에 일선현령(一善縣令)으로 고쳤으며, 뒤에 다시 지선주사(知善州事)로 승격했다. 조선 태종 때에 지금 남아있는 지명인 ‘선산’(善山)으로 고치게 되었다. 뒤에 규례에 따라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로 승격시켰다. 선산주민들은 아직까지도 일선이나 숭선 또는 선주라는 말을 쓰고 있으며 역사의 깊이가 얼마나 되는가를 아직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선산(일선) 김씨, 선산초등학교 교가 중(숭선의 선산) 상호 : 일선고을, 일선주유소 등, 선주어린이집, 선주인력 등)[3] 선산군은 다른 이름으로 ‘화의군’(和義郡)이라고도 하였다.

자세한 정보 통폐합 전, 통폐합 후 (김천군) ...
도령 제2호
  • 1963년 1월 1일 구미면을 구미읍으로 승격하였다.[8] (1읍 8면)
  • 1973년 7월 1일 칠곡군 북삼면 낙계동을 구미읍에, 산동면 도산리를 군위군 소보면에 편입하였다.[9]
  • 1977년 3월 2일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을 관할하는 경상북도 구미지구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78년 2월 15일 구미지구출장소를 구미시로 승격하였다.[10] (8면)
  • 1979년 5월 1일 선산면을 선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7면)
  • 1983년 2월 15일 금릉군 감문면 소재동·봉남동, 옥성면 봉곡동·포상동을 선산읍에 편입하였다.[11]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대통령령 제11027호
  • 1987년 1월 1일 도개면과 의성군 구천면, 장천면과 칠곡군 가산면 사이의 행정구역 조정을 하였다.[12]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대통령령 제12007호
  • 1988년 7월 1일 해평면 낙산리 및 도개면 신림리 각 일부를 통합, 해평면 일선리를 신설하였다.
  • 1989년 1월 1일 칠곡군 가산면 신장리를 장천면에 편입하였다.[13]
  • 1990년 1월 6일 옥성면 죽원리를 대원리로 개칭하였다.[14]
  • 1995년 1월 1일 구미시와 선산군을 합쳐 도농통합구미시를 설치하고, 선산군청은 선산출장소로 개편하였다.[1]
Remove ads

행정 구역

1914년의 행정구역[15]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자세한 정보 1914년, 현재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