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어병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어병음
Remove ads

한어병음(중국어 정체자: 漢語拼音, 병음: Hànyǔ pīnyīn 한위핀인[*])은 중국어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발음 기호이다. 한어 병음 자모(중국어 정체자: 漢語拼音字母, 병음: Hànyǔ pīnyīn)는 현대 표준어인 보통화(普通话) 발음을 로마자 자모로 표기하여 성모(聲母)는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 등 21개, 운모(韻母)는 yi(-i), wu(-u), yu(-ü, -u), a, o, e, ai, ei, ao, ou, an, en, ang, eng, er 등 15개, 총 36개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정보 한자, 발달과정 ...
Remove ads

발음

요약
관점

성모

성모(聲母)는 어두의 자음을 나타낸다. 왼쪽은 병음, 괄호 안은 국제음성기호이다.

자세한 정보 입술소리, 잇몸소리 ...
  • 반모음 y(/j, ɥ[4]/)와 w(/w/)는 정식 한어 병음에 포함되지 않는다.
자세한 정보 병음, 한글 ...

운모

운모(韻母)는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나타낸다. 각 칸에서 첫 번째는 IPA이고, 두 번째는 어두 자음이 없는 병음이고, 세 번째는 어두 자음이 있는 병음이다. -r 때문에 조정되는 마지막 음은 소리내지 않는다.[5]

자세한 정보 운미, ∅ ...
Remove ads

성조

요약
관점
Thumb
보통화 4성조의 음고(音高) 변화

다음은 표준 중국어의 4성조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음고(音高)를 나타낸다: 오른쪽 그림 참고)

  1. 제1성(음평성(陰平聲), 고평조(高平調), 55) (¯):

    (ᾱ) ā ē ī ō ū ǖ Ā Ē Ī Ō Ū Ǖ
  2. 제2성(양평성(陽平聲), 상승조(上昇調), 35) (´):

    (ά) á é í ó ú ǘ Á É Í Ó Ú Ǘ
  3. 제3성(상성(上聲), 저요조(低凹調), 214) (ˇ):

    (α̌) ǎ ě ǐ ǒ ǔ ǚ Ǎ Ě Ǐ Ǒ Ǔ Ǚ
  4. 제4성(거성(去聲), 하강조(下降調), 51) (`):

    (ὰ) à è ì ò ù ǜ À È Ì Ò Ù Ǜ
  5. 경성(輕聲):

    (α) a e i o u ü A E I O U Ü

중국어는 같은 성모와 운모로 구성되어 있어도 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자세한 정보 성조, 병음 ...


컴퓨터에서 나타내는 법

자세한 정보 성조\모음, a ...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