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도림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도림역(新道林驛, Sindorim station)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신도림동과 구로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및 신정지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2호선의 경우 이 역부터 영등포구청역까지 지하 구간이고, 신정지선의 경우 이 역부터 까치산역까지 모두 지하 구간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Remove ads
역사
개요
심야에 서울 지하철 2호선 2편성이 주박한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도림천 하저터널로 문래역과 연결된다.
역 구조
요약
관점
역이 신설된 1984년 5월 22일부터 약 30년간 한국철도공사 측의 역무시설은 존재하지 않았고, 모든 출입구를 서울메트로에서 관할하였으나 2009년부터 추진된 수도권 전철 1호선 전용 역사가[4] 2015년 5월 준공되면서 경부선이나 경인선을 이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서울 지하철 2호선을 경유해야 한 불편함이 해소되었다. 출입구는 한국철도공사 관할 3개, 서울교통공사 관할 3개로 총 6개다. 1·5·6번 출입구는 신도림동에 있고, 2번~4번 출입구는 구로동에 있다. 지하 1층 서울교통공사 역사를 통해 신도림 테크노마트 및 디큐브시티와 연결되어 있다.
1호선 승강장
3면 6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영등포 |
2 | | 34 | | | |
구로 ↓ |
1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영등포 · 용산 · 광운대 · 연천 방면(완행, 급행) |
---|---|---|
2 | 구로 · 인천 · 서동탄 · 천안 · 신창 방면(완행, 급행) | |
3 | 영등포 · 용산 방면(급행•특급•완행) | |
4 | 구로 · 부천 · 송내 · 동인천(급행•특급) · 광명(완행) 방면 |
2호선 승강장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지하 1층이나 지하 3층의 통로를 통하여 승강장 사이를 건너갈 수 있다. 신정지선 선로가 신정차량사업소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역에서는 종착 뿐만 아니라 출발도 한다. 이 역 종착 열차는 성수역 종착 열차에 비해서 많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은 주로 1번(2호선 내선순환)과 2번(2호선 외선순환) 승강장을 쓴다. 이 역에서 운행을 마치고, 종착하는 열차는 3번(신정지선 까치산 방향)·4번(2호선 외선순환) 승강장을 통하여 신정차량사업소로 입고한다.
4번 승강장
이 승강장은(2호선 외선순환) 2번(2호선 외선순환) 승강장과 마주보고 있고, 신정지선을 통하여 신정차량사업소와 입·출고 선로가 연결되어 있다. 과거 신정차량사업소로 입·출고하는 열차들이 통과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2호선 중 외선순환 승강장의 혼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2008년 1월 2일부터 평일 출근 시간대(07:34~08:23)에만 신정차량사업소에서 대림역 방향으로 출고하는 열차들은 이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에서 여객을 취급하고, 그 외의 시간대에는 폐쇄하였다.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은 이전처럼 2번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에서 신정차량사업소 출고 열차를 취급하였다. 이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은 여객 취급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으며, 기관사들이 수동으로 정차시켰다. 현재는 아침 시간대 당역발 외선순환 신정기지 출고 열차만 이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에서 출발한다. 그 외 시간대는 외선 방면 당역 종착 열차가 이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에서 운행을 마치고, 신정차량사업소로 입고하며, 신정기지 출고 외선순환 열차는 2번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에서 출발한다. 신정기지 출고 내선순환 열차는 이 승강장(2호선 외선순환)을 통과하여 회차선으로 주박하였다가 1번 승강장(2호선 내선순환)에서 출발한다.
Remove ads
주변
대중 문화
사진
- 경부선 역사
- 2호선 외선순환 역명판
- 신정지선 까치산 방향 역명판
- 신정지선 까치산 방향 승강장
- 환승통로
- 출고 및 당역 종착 승강장 통로(출입문 철거 전)
- 1호선 대합실
- 1번 출입구
- 5번 출입구
- 2호선 승강장(외선순환(좌), 내선순환(우))(공사·글씨체 바꾸기 전, 서울메트로 시절)
- 신정지선 까치산 방향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서울메트로 시절)
- 환승통로(2012년)
- 신정지선 까치산 방향 역명판
- 2호선 승강장(내선순환(좌), 외선순환(우))(공사 중, 서울메트로 시절)
- 2호선 신도림역 승강장
- 1호선 인천·신창·서동탄 방향/신창급행 승강장(스크린도어 설치 전)
- 대림역 방면 승강장
- 문래역 방면 승강장
이용객 변동
Remove ads
인접한 역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