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등포역
서울특별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등포역(永登浦驛, Yeongdeungpo station)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본동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자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철역이다. 서울특별시의 중추 역 중 하나로, 서울 서남권의 수요를 담당한다. 역 건물은 롯데건설이 건설한 민자역사로, 역사 내에 롯데백화점이 있다.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개통 당시에는 노량진역이 영등포역 자리에 있었는데, 홍수 때문에 한강 가까이 정거장을 지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1] 1900년 7월 8일 경인선이 완전 개통되면서[2], 노량진역은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영등포에 있던 기존 정거장 시설은 운전취급을 위하여 존치하였다가, 영등포 일대 주민들이 열차 정차를 요구하자 경인철도합자회사는 해당 시설을 영등포역의 영업에 전용(轉用)하였다.[1]
Remove ads
역 정보
- 일부 KTX와 모든 ITX-새마을·무궁화호·누리로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가 정차하며,[3] 광명 셔틀 또한, 첫차 시간대에 운행되는 인천행 열차 2개 편성[4]은 이 역에서 출발한다.[5]
- KTX는 2010년 11월 1일부터 영등포에 정차하며, 경부선 계통만 운행한다. 이외에는 서울역 인근에 문제가 생길 때 영등포역에 비상 정차하는 경우도 있다.[6]
- 광명역이 규모에 비해 부족한 연계 교통으로 인하여 광명역 폐지 문제로 핫 이슈가 되었을 때 KTX를 영등포역에도 정차시키자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광명시민들의 반발로 무산되었다.[7] 따라서 KTX는 수원 경유편만 영등포역에 정차하며, 본래는 일부만 정차하다가 2018년 9월부터 수원 경유편이 모두 영등포역에 정차한다.
- 회사(민간사업자) 설립일 기준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민간사업자가 역사(驛舍)를 운영하는 민자역사이다.[8]
- 안내소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할 수 있다. 스탬프는 국회의사당 도안과 제물포역-영등포역 기념 도안 2개를 날인할 수 있다.
- 서울~신창 간 B급행 열차의 경우 서울행 차량만 영등포에 정차한다.
- 2008년 12월 1일부터 철도 시간표 전면 개정에 의하여 광명행 전동 열차의 시·종착역이 되었다.
- 현재 5번 승강장을 제외한 모든 전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 연계 시내버스들 중 몇몇 노선들[9]은 영등포시장에서 영등포역 바로 앞으로 내려오지 않고, 영등포역을 앞둔 교차로에서 타임스퀘어 북편의 영등포소방서로 진입한 후 영등포시장으로 다시 올라간다.
Remove ads
연혁
- 1900년 9월 5일: 정식 영업 개시[10]
- 1936년 4월 1일: 경부선으로 편입
- 1938년 4월 1일: 영등포역(永登浦驛)에서 남경성역(南京城驛)으로 개명
- 1943년 4월 1일: 영등포역으로 환원
- 1949년 1월 1일: 5급역으로 승격
- 1950년 6월 30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 소실
- 1965년 1월 12일: 역사 신축 준공
- 1968년 2월 1일: 4급역으로 승격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 종로선과 직결 운행 개시
- 1987년 9월 1일: 민자역사 착공
- 1990년 7월 21일: 민자역사 준공
- 1999년 2월 1일: 민자역사 증축 공사 완료
- 2003년 7월 25일: 선로에 떨어진 승객을 구하려던 김행균 당시 열차운용과장이 승객을 구하고 대신 부상하는 사고가 발생
- 2004년 4월 1일: KTX 개통으로 모든 새마을호 정차 개시
- 2006년 5월 1일: 철도 소화물 취급 중지
- 2006년 7월 1일: 지역 관리역제 폐지, 보통 (1급)역으로 조정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신창 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부터 (서울~신창 간) 누리로 운행 개시
- 2010년 1월 1일: 전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출처 필요]
- 2010년 1월 1일: 역사 리모델링으로 현재의 모습이 됨.
- 2010년 11월 1일: KTX (경부선) 왕복 2회 정차 개시
-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경부선, 호남선)
- 2014년 6월 1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경전선, 전라선)
- 2014년 10월 1일: 남도해양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2월 5일: 서해금빛열차 운행 개시
- 2015년 5월 29일: 화물 취급 중지[11]
- 2015년 6월 1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개시
- 2016년 5월 16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중지[12]
- 2016년 7월 16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재개
- 2018년 3월 23일: ITX-청춘 (서울~대전) 운행중지
- 2018년 7월 1일: KTX(수원 경유) 필수정차
- 2019년 12월 30일: 서울~신창 간 누리로 다시 운행 중지
- 2020년 1월 13일: 누리로 재운행 개시(서울~신창)
- 2020년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 중지
- 2020년 3월 2일: 호남선 누리로, 충북선 (서울~제천) 운행 중지
- 2020년 5월 23일: 누리로 운행 중지(서울~신창)
- 2022년 6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인선 구간 특급 운행 개시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 개시
Remove ads
역 구조
1호선
출구는 6개이다.
- 승강장
↑신길(1호선)/↑용산(경부선) |
| 23 | | 45 | | 67 | | 89 | |
신도림(1호선)↓/안양(경부선)↓ |
사진
- 남경성역시절 이정표
- 역사
- 전철1호선 승강장
- 일반열차 승강장
- 착발열차 시간표(2008년)
- 광명으로 가는 4량열차
- 영등포역 하행 플랫폼에 있는 김행균 전 영등포역장 기념비
- 영등포역과 영등포역 고가도로가 마주하고 있는 모습
- 공사중인 신안산선 영등포역
- 2011년 당시 영등포역 인근 골목길
- 영등포역 외관(민자역사, 2025년)
역 주변
이용객 변동
일반열차
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
수도권 전철
Remove ads
KTX 정차
2004년 10월에 KTX를 영등포역에도 정차시키자는 여론이 처음 알려지자 광명시는 이에 대해 크게 반발하였다.[16] 그 후 2005년 2월에 또 다시 이에 대한 논란이 일어났다.[17] 그러나 2010년 11월에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이 개통하면서 결국 영등포역에 수원경유 KTX가 하루 왕복 2회 정차하는 것이 확정되었다.[18]
2021년 기준으로는 경부선 수원경유 KTX만 영등포역에 정차한다. 상행 4대, 하행 4대, 총 8대가 정차하는데 열차번호는 다음과 같다.
- 상행: #122, #124, #126, #128
- 하행: #121, #123, #125, #127
인접한 역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