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심동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심동신(沈東臣, 1824년 ~ 188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경(士敬),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가계
- 기묘명현 심달원(沈達源)의 10대손, 청파부원군 심전(沈銓)의 9대손, 고산 윤선도(尹善道)의 외손자 이조판서 심단(沈檀)의 5대손으로, 병조참판 심영석(沈英錫)의 손자이고, 증 이조판서 심문(沈雯)의 아들이다.
- 병조판서 홍명주(洪命周)의 외손자이고, 승지 심동헌(沈東獻)의 형이다.
- 심달원 (승문원 판교, 증이조판서)
- 심전 (沈銓, 경기도 관찰사, 증영의정, 청파부원군(靑坡府院君))
- 부인 : 증 정경부인 전의 이씨 - 이한(李翰)의 딸
- 심우선 (장수현감)
- 부인 : 파평 윤씨
- 심양 (사헌부 감찰)
- 심광한 (증이조참판)
- 심상 (심광사의 아들, 사간원 정언, 증이조판서)
- 심광한 (증이조참판)
- 심양 (사헌부 감찰)
- 심우준 (진사, 증이조참판)
- 부인 : 증 정부인 죽산 박씨
- 부인 : 증 정부인 은진 송씨
- 심우승 (沈友勝, 호조참판, 경기도 관찰사, 호성공신 2등, 증영의정, 청계부원군(靑溪府院君))
- 부인 : 증 정경부인 순흥 안씨(順興 安氏)
- 심액 (沈詻, 심우준의 아들,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청송군(靑松君), 기로소)
- 부인 : 정경부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 - 병조판서 권징(權徵)의 딸
- 심보 (沈譜, 무과 박천군수)
- 심광숙 (沈光淑, 무과 만호)
- 심륜 (沈棆, 첨지중추부사)
- 심득망 (沈得望, 무과 첨절제사)
- 심륜 (沈棆, 첨지중추부사)
- 심광숙 (沈光淑, 무과 만호)
- 심우단 (사헌부 감찰)
- 부인 : 수원 최씨
- 심선 (단천부사)
Remove ads
생애
조선 철종
1850년(철종 1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855년 성균관 전적에 제수되었다.
1858년 사헌부 지평에 제수되었다.
1860년 홍문관 부교리에 제수되었다.
1862년 사헌부 장령에 제수되었다.
조선 고종
1864년 홍문관 부응교 · 봉상시정 · 우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865년 안동부사에 제수되었다.
1866년 우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867년 좌부승지 · 우승지에 제수되었다.
1870년 돈녕부 도정 · 좌승지에 제수되었다.
1871년 예조참의 · 대사성 · 우승지 · 병조참의에 제수되었다.[2]
1873년 봉산군수에 제수되었다.
1874년 우승지에 제수되었다.
1875년 병조참의에 제수되었다.
1876년 병조참지 · 병조참의 · 이조참의 · 형조참의 · 좌승지에 제수되었다.[3][4]
1877년 우승지 · 좌승지에 제수되었다.
1880년 좌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881년 좌승지에 제수되었다.
1882년 오위도총부 부총관 · 한성부 좌윤 · 병조참판 · 동지돈녕부사 · 지춘추관사 · 황해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8]
Remove ads
심동신 금관조복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심동신 금관조복이 전시되어 있다.
- 심동신 금관조복은 1964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11]
같이 보기
참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