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의 이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옛 충청도 전의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Remove ads

본관지 연혁

전의군(全義郡)은 세종특별자치시(구 충청남도) 전의면 일대에 있던 군이다. 본래 백제의 구지현(仇知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 금지현(金地縣)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에서 전의현으로 고쳐 청주목에 속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 현감(縣監)을 두었으며, 1414년(태종 14) 연기현(燕岐縣)과 합하여 전기현(全岐縣)이라 하다가 뒤에 다시 분리하였다. 1895년(고종 32) 전의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연기군(燕岐郡)에 합병되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이 되었다. 2012년에 연기군이 세종특별자치시(世宗特別自治市)로 승격하였다.

전의(全義)는 예로부터 전성(全城) 또는 전산(全山), 전은(全恩)으로 불려왔다. 따라서 전의이씨(全義李氏)를 전성이씨(全城李氏)[1], 전산이씨(全山李氏), 전은이씨(全恩李氏)로 부르기도 한다.

Remove ads

시조

시조는 고려 태조(太祖)가 후백제를 정벌하러 금강(錦江)에 도착했을 때 강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와서 고려 태조로부터 이도(李棹)라는 이름을 하사 받고, 태사삼중대광(太師三重大匡)에 이르렀다.

전의이씨 시조 묘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 산3-1번지에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 496번지와 그 일대는 전의이씨 시조 태사공 이도를 모시는 재실(齋室) 영사재(永思齋)가 있다. 영사재는 시조 묘소 맞은 편 건너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영사재는 “시조 태사공을 길이길이 추모하는 재실”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영사재(永思齋)는 크게 재실(齋室) 부분과 사당(祠堂)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재실 부분은 영사재(永思齋)로, 사당 부분은 경원사(景遠祠)로 부른다. 이 두 곳을 합쳐서 일반적으로 영사재로 부르기도 한다.

Remove ads

역사

전의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88명을 비롯하여, 상신(相臣: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5명, 대제학(大提學) 1명, 공신(功臣) 9명, 청백리(淸白吏) 8명, 호당(湖堂) 4명, 옥당(玉堂) 41명, 한림(翰林) 35명, 등단(登壇:훈련대장, 금위대장, 어영대장, 총융사 등 대장의 벼슬에 오름) 9명,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14명, 부마(駙馬) 2명, 시호(諡號)를 받은 인물 38명(고려시대 포함하면 41명), 궤장(几杖)을 받은 인물 3명을 배출하였다

분파

이도(李棹)
전의 이씨(全義李氏) 시조(始祖), 고려(高麗) 삼한(三韓) 개국(開國) 익찬 이등 공신(翊贊二等功臣), 삼중 대광(三重大匡) 태사(太師)
이강(李康)
정용위 대장군(精勇衛大將軍)
이수영(李秀英)
병부 상서(兵部尙書)
이문경(李文景)
천우위 대장군(千牛衛大將軍)
이윤관(李允寬)
형부 시랑(刑部侍郞)
이신(李伸)이순(李順)
보승 별장(保勝別將)
이천(李仟)
응양군 대장군
(鷹揚軍大將軍)
장자(長子)

이자원(李子蒝)
직문 한서(直文翰署)
증(贈) 대사성(大司成)
차자(次子)

이혼(李混)
첨의 정승(僉議政丞)
삼자(三子)

이자화(李子華)
선부 전서(選部典書)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문장공파(文莊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7세손 이천(李仟)이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역임하였고, 장자인 이자원(李子源)은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차자 이혼(李混)은 문장공파(文莊公派), 셋째 이자화(李子華)는 전서공파(典書公派)로 갈린다.

  • 1세 이도(李棹)전의이씨(全義李氏) 시조(始祖)
    • 2세 이강(李康)
      • 3세 이수영(李秀英)
        • 4세 이문경(李文景)
          • 5세 이윤관(李允寬)
            • 6세 이순(李順)
              • 7세 이천(李仟)
                • 8세 이자원(李子蒝)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 8세 이혼(李混) 초명(初名)은 이자분(子芬) 문장공파(文莊公派)
                • 8세 이자화(李子華) 전서공파(典書公派)

전의이씨(全義李氏) 계파(系派)

자세한 정보 대파(大派), 세(世) ...
Remove ads

분적

  • 8세손 이혼(李混)이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역임하였고,[8] 이혼의 손자 이익(李翊)이 예안군(禮安君)에 봉해지면서 예안 이씨로 분적하였다.

문과 급제자

요약
관점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조선시대 문과급제자(文科及第者)를 188명 배출하였는데, 우리나라 전체 성관(姓貫) 중 17위를 차지하고 있다.[9]

자세한 정보 번호, 인명 ...

[10]

Remove ads

생원시 급제자

요약
관점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조선시대 생원시(生員試) 합격자(合格者)를 261명 배출하였는데, 우리나라 전체 성관(姓貫) 중 14위를 차지하고 있다.[11]
문의 이씨(文義 李氏)가 전의이씨 옥계공파인데, 문의이씨는 생원시 합격자를 13명 배출하였다. 261명은 문의이씨를 제외한 수치임
현전(現傳)하는 사마방목(司馬榜目:생원, 진사시 합격자 명부) 가운데에도 일부 이름이나 본관이 누락된 경우도 있고, 현전(現傳)하지 않는 사마방목(司馬榜目)이 다수 있으므로 합격자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임
본관 표시가 없는 아래 인물들은 전의이씨인지 확인작업이 더 필요하다.
이수공(李秀恭) [생원] 세종(世宗) 29년(144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1등(一等) 1[壯元]위(1/100)
이환(李桓) [생원] 세종(世宗) 29년(144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1위(61/100)
이계증(李繼曾) [생원] 세종(世宗) 29년(144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49위(79/100)

자세한 정보 번호, 인명 ...
Remove ads

진사시 급제자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조선시대 진사시(進士試) 합격자(合格者)를 246명 배출하였는데, 우리나라 전체 성관(姓貫) 중 19위를 차지하고 있다.[12]
문의 이씨(文義 李氏)가 전의이씨 옥계공파인데, 문의이씨는 진사시 합격자를 8명 배출하였다. 246명은 문의이씨를 제외한 수치임
현전(現傳)하는 사마방목(司馬榜目:생원, 진사시 합격자 명부) 가운데에도 일부 이름이나 본관이 누락된 경우도 있고, 현전(現傳)하지 않는 사마방목(司馬榜目)이 다수 있으므로 합격자 수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임
1504년(연산군 10)에 진사시에 합격한 이재(李載)는 예안이씨이다. 본관이 누락되어 있음.
이재(李載) [진사] 연산(燕山) 10년(150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5위(45/100)

자세한 정보 번호, 인명 ...
Remove ads

인물

항렬자

  • 대사성공파(판사공중계파, 첨정공장계파, 첨정공파의 중파 제외)
자세한 정보 26세, 27세 ...
  • 전서공파
자세한 정보 26세, 27세 ...
  • 문의공파
자세한 정보 26세, 27세 ...
  • 대동항렬자(통합)[13]
자세한 정보 32세, 33세 ...
Remove ads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 영조 후궁 영빈 이씨 → 영조(英組)의 빈 영빈 이씨(暎嬪李氏)는 본래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며, 묘지명(墓誌銘)이 전해지기는 하나, 전의이씨 모든 종인(宗人)들은 조선시대 영조(英祖) 때부터 영빈이씨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영빈이씨는 영조와 동성동본인 이유로 인해 전주(全州)가 아닌 전의(全義)로 본관을 고쳐서 묘지명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영조때부터 전의이씨 모든 종인(宗人)들은 영빈이씨를 전의이씨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 덕천군(정종의 서자) 사위 이창신
  • 운천군(성종의 서자) 사위 이종효
  • 양원군(성종의 서자) 사위 이대윤
  • 인천옹주(정종의 서녀) 부마 이관식
  • 덕천옹주(정종의 서녀) 사위 이수봉
  • 경신옹주(태종의 서녀) 부마 이완
  • 정신옹주(선조의 서녀) 사위 이만웅

인구

  • 1985년 26,970가구 112,088명
  • 2000년 41,071가구 133,237명
  • 2015년 164,189명

※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성씨·본관별 인구 조사에서 전의 이씨(全義 李氏)는 우리나라 전체 성관(姓貫) 중 59번째로 많은 인구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李)씨 중에서는 전주이씨, 경주이씨, 성주이씨, 광주이씨 다음으로 많은 5번째의 인구순위를 보이고 있다.[14]
한편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성씨·본관별 인구 조사에서 전의이씨 이외에도 금의이씨(114명, 金義 X → 全義 ○), 전원이씨(110명), 김의이씨(40명, 金義 X → 全義 ○), 문의이씨(24명, 전의이씨 옥계공파), 전이이씨(21명), 전희이씨(12명), 전산이씨(11명), 전성이씨(11명), 전은이씨(8명) 등의 기록이 보이고 전의이씨에서 분적한 예안이씨(17,748명), 선성이씨(1,011명), 례안이씨(188명) 등이 조사 보고되었다.

주요 세거지

요약
관점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