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세틸-CoA

화합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아세틸-CoA
Remove ads

아세틸-CoA(영어: acetyl-CoA) 또는 아세틸 조효소 A(영어: acetyl coenzyme A)는 단백질, 탄수화물지질 대사 등 많은 생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분자이다.[1] 아세틸-CoA의 주요 기능은 아세틸기시트르산 회로에 전달하여 에너지 생산을 위해 산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조효소 A(CoA-SH 또는 CoA)에서 판토텐산하이드록시기는 3′-포스포아데노신 이인산과 인산에스터(인산에스테르) 결합을 하고 있으며, 판토텐산의 카복실기는 β-메르캅토에틸아민과 아마이드 결합을 하고 있다.[2] 아세틸-CoA의 아세틸기(오른쪽 구조식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는 β-메르캅토에틸아민 부분의 -SH기와 싸이오에스터(싸이오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다. 이러한 싸이오에스터 결합은 특히 반응성이 강한 "고에너지" 결합이다. 싸이오에스터 결합의 가수분해발열 반응(−31.5 kJ/mol)이다.

간략 정보 이름, 식별자 ...
Remove ads

CoA는 해당과정을 통한 탄수화물의 분해와 β 산화를 통한 지방산의 분해에 의해 아세틸-CoA로 아세틸화된다. 아세틸-CoA는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서, 아세틸기가 이산화 탄소(CO2)와 물(H2O)로 산화되고, 방출되는 에너지를 이용해서 아세틸기 1분자당 11분자의 ATP와 1분자의 GTP를 생성한다.

콘라드 블로흐페오드르 리넨은 아세틸-CoA와 지방산 대사의 관련성을 발견한 공로로 1964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프리츠 리프먼은 보조 인자인 조효소 A를 발견한 공로로 1953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Remove ads

직접적인 합성

요약
관점

CoA의 아세틸화는 탄소 공급원에 의해 결정된다.[3][4]

미토콘드리아 밖에서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Thumb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 반응.
  • 포도당의 농도가 높을 때, 해당과정을 통해 아세틸-CoA가 생성된다.[10] 피루브산은 산화적 탈카복실화를 거치면서 카복실기(이산화 탄소)를 소실하고 아세틸-CoA를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33.5 kJ/mol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피루브산이 아세틸-CoA로 산화적 탈카복실화되는 반응은 피루브산 탈수소효소 복합체에 의해 촉매된다. NADH의 산화로 방출된 고에너지 전자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일련의 전자 운반체의 산화, 환원에 의해 차례로 전달되며 최종 전자수용체인 산소(O2)가 전자를 받아 물(H2O)로 환원된다.[11] 피루브산과 아세틸-CoA 사이의 다른 전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루브산 포름산 분해효소(pyruvate formate lyase)는 피루브산을 아세틸-CoA와 포름산으로 불균등화시킨다.
Thumb
지방산β-산화.
  • 포도당의 농도가 낮을 때, 아세틸-CoA의 생성은 지방산β 산화와 관련이 있다. 먼저 지방산은 아실-CoA로 전환된다. 아실-CoA는 4가지 효소, 즉 아실-CoA 탈수소효소, 에노일-CoA 수화효소, β-하이드록시아실-CoA 탈수소효소, 아실-CoA 아세틸기 전이효소(싸이올레이스)에 의해 촉매되는 4단계의 탈수소화, 수화, 산화, 싸이올 분해 과정에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아세틸-CoA와 탄소 원자가 2개가 적은 새로운 아실-CoA가 생성된다.[12]
Remove ads

기능

다양한 대사 경로의 중간생성물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