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마음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ITX-마음

ITX-마음(ITX-MAUM)은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명칭이다. 노후화가 된 무궁화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등장했으며, 2023년 9월 1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중앙선, 동해선, 영동선, 태백선, 대구선 등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법적으로 ITX-새마을과 등급이 동일하고 운임도 기존 ITX-새마을과 동일한 요금으로 책정했다. 다원시스가 제작한 간선 전기 동차 (EMU-150)가 운행된다.

간략 정보 개요, 국가 ...
ITX-마음
Thumb
개요
국가 대한민국
종류급행여객열차
현황운행 중
지역 대한민국
기간2023년 9월 1일 ~ 현재
운영자Thumb
노선
기점서울 · 용산 · 청량리 · 동대구 · 서화성 · 홍성 · 강릉
역 수65
종점부산 · 목포 · 여수엑스포 · 동해 · 안동 · 익산 · 부전 · 태화강 · 홍성
운행 노선경부선 · 호남선 · 전라선 · 태백선 · 영동선 · 중앙선 · 동해선 · 대구선 · 서해선 · 장항선 · 평택선 · 삼척선
차내 서비스
장애인 접근성지원
좌석264석
세부 정보
철도 차량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궤간1,435 mm (표준궤)
전철화교류 25,000V 60Hz
운행 속도ATS/ATP 구간 150 km/h
닫기

역사

2022년 대국민 열차 명칭 공모가 진행되었으며, 총 8,175건의 후보안이 들어왔다. 이후 열차 명칭은 'ITX-마음'으로 결정되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 태백선을 시작으로 한반도, 유라시아 너머까지 잇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ITX-마음으로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하였다.[1]

2023년 9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태백선 운행이 시작되었다.[2] 2024년 12월, 중앙선 청량리-부전 구간,장항선 용산~홍성 구간의 운행이 시작되었다.[3]

차량·기술 사양

간선 전기 동차로 4량 편성, 또는 8량(중련) 편성으로 운행된다. 열차 외관은 바람 저항을 고려한 부드러운 유선형으로 설계되었으며, 색채 조합은 ITX-새마을과 유사한 빨강과 검정이다.

실내 편의사양으로는 차내 무선인터넷, 좌석당 전원 콘센트·USB 포트, 독서등, 간이석 등이 있다. 승강장 높이에 따라 출입문 발판을 조정할 수 있다.[2]

차호

ITX-새마을210000호대에 이어 220000호대 차호를 부여받아 운행된다. 총 26편성이 운행 중이다.

운행 노선

2025년 1월 1일 기준 ITX-마음이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노선, 구간 ...
노선구간열차번호비고
경부선서울 - 부산1101~1108
동대구 - 부산1132, 1133
호남선용산 - 익산1141, 1142계룡 정차
용산 - 목포1161~1164계룡 통과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장항선 용산 - 홍성 1151~1153
전라선용산 - 여수엑스포1181~1184 계룡 통과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동해선동대구 - 부전1172, 1175
동대구 - 강릉1241, 1260, 1261 평일에만 운행: 1241
주말에만 운행: 1261
부전 - 강릉1233~1234, 1250~1257 평일에만 운행: 1233~1234
주말에만 운행: 1253~1254
영동선태백선청량리 - 동해1191, 1192
중앙선청량리 - 안동1200, 1205
청량리 - 부전1201~1204
서해선서화성 - 홍성1270, 1277
평택선(순환)홍성 - 홍성1290, 1295
닫기

정차역

2025년 1월 1일 기준 ITX-마음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필수 정차역은 굵은 글씨로 표현했다. 호남선 용산목포행/목포용산행 열차와 전라선 용산여수엑스포행/여수엑스포용산행 열차는 용산역부터 익산역까지 중련 운행한다.

차내 안내 방송

음원

  • 중간정차역 도착시 : 어린 달
  • 종착역 도착시 : 날자꾸나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