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韓國鐵道100周年記念스탬프)는 1999년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의 100개 역에 각 역의 특징을 살린 기념 스탬프를 제작하여 비치한 것이다. 2000년대 중반부터 코레일 이외의 단체나 개인이 만들어서 각 역에 비치하는 경우가 생겨나서, 역방문 기념 스탬프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된 역

요약
관점

1999년 제작된 100개 역

이 외에도 철도박물관에도 기념 스탬프를 비치하여, 총 101종의 기념 스탬프가 제작되었다.

2000년 이후 제작된 역

코레일에서 제작하지 않은 스탬프는 만든 주체를 주석으로 표기하였다.

그 외의 기념스탬프

Thumb
증기기관 관광열차 기념 스탬프
  • 증기기관 관광열차 기념 스탬프 : 경의선 신촌역, 교외선 일영역에 비치되어 있으며 모양은 같고 스탬프 하단의 역명만 다르다. 일영역의 스탬프는 분실된 상태이다.
  • 역무원 체험 프로그램 기념 스탬프 : 연산역에 있다.[출처 필요]
  • N'Rail 특별 제작 스탬프 : 역에서 자체제작된 스탬프로 다른 분천역 스탬프와 같이 보관 되어있다.(잉크가 빨간색인것이 Point)
  • 정선아리랑열차 (A-Train) 관광열차 기념 스탬프 : 정선아리랑열차 유람열차 기념으로 제작된 스탬프, 민둥산역에 비치 되어있다.

해당 역에 스탬프가 비치되지 않은 역

Remove ads

스탬프를 받는 방법

  • 매표소에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서울역 등 큰 역은 역 내의 종합관광안내소에 스탬프를 비치하고 있다.
  • 매표소에 비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역무실 안에 따로 보관중이니, 역무원에게 말씀드리면 된다. (역무실은 누구나 들어갈 수 있다. 문을 밀고 들어가면 된다.[12])
  • 각 역에는 스탬프 도장과 패드가 비치되어 있어, 종이만 있으면 쉽게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 일부 철도역에 비치된 스탬프의 경우에는 도장 자체에 잉크를 넣는 방식이어서 패드가 필요 없이 바로 종이에 찍을 수 있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