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암플렉토벨루아
멸종한 방사치류의 한 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암플렉토벨루아 (학명: Amplectobelua, →포옹하는 짐승)는 고생대의 앞 절반에 걸쳐 대부분을 자유로이 헤엄치는 포식자로서 살았던 방사치목에 속하는 캄브리아기 초기에 살던 암플렉토벨루아류 가운데 한 속이다.
Remove ads
해부구조

암플렉토벨루아는 몸집이 거대한 방사치류로 A. symbrachiata의 가장 큰 표본의 경우 전방부속지와 꼬리를 제외하고 몸길이가 최대 90cm에 달한다.[2] A. stephenensis의 경우 그보다 훨씬 작으나 남아있는 부분이 거의 없어 전체 몸 크기는 불분명하다. 전방부속지와 달리 몸의 생김새는 모식종인 암플렉토 심브라키아타만이 밝혀져 있다. 다른 방사치류들처럼, 암플렉토벨루아도 관절이 있는 전방부속지와 머리경판·옆경판으로 둘러싸인 머리(후자는 거대한 눈으로 잘못 파악했다[3])등아가미가 달린 다리 없는 몸통, 그리고 몸통을 따라 양쪽으로 펼쳐진 일련의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암플렉토벨루아는 세 마디의 독특한 자루와 12마디의 원위성 관절부 및 끝에 마주하도록 앞으로 연결된 네 번째 마디(원위성 관절부의 첫 번째 마디)로 이루어져 있는 특수한 전방부속지를 가지고 있는데, 먹이를 집게처럼 잡을 수 있게 해준다. 몸통지느러미가 총 11쌍이 있으며, 비교적 길고 테두리가 곧다. 지느러미의 크기는 뒤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들며 각각의 지느러미 앞테두리는 지느러미의 크기는 뒤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들며, 각 지느러미의 앞테두리에는 맥과 같은 구조(강화선)가 줄지어 있다. 목 부분에는 퇴화한 세 쌍의 얇은 앞지느러미가 달린다.[3] 몸통의 끝에는 한 쌍의 긴 꼬리지느러미(장식 구조)가 달린다.
- A. symbrachiata 및 A. stephenensis의 전방부속지. A. stephenensis의 자루는 밝혀지지 않았음을 주목하라.
- 일반화된 GLSf를 가진 아랫면 모습으로, 세 쌍의 턱바닥 구조(gnathobase-like structure, GLS)와 그에 달려있는 앞지느러미들이 보인다.
암플렉토벨루아는 목 아래로 최소 6개에서 최대 8개 사이의 턱바닥 구조체(gnathobase-like structure, GLS)를 가지고 있는 람스코일디아와 독특한 특징을 공유한다. 이 구조체는 먹이를 자르는 데 움직이고 회전할 수 있는 절지동물의 턱바닥(卾器)처럼 기능한다. 퇴화한 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 더해 전형적인 페이토이아 형식의 입(구주, 口柱)이 없으나 방사 배열이 아닌 다수의 평평한 치판을 가지고 있어 통상의 방사치류와는 다른 것으로 해석된다.[3]
Remove ads
하위 종
청장 생물군에서 발견된 심브라키아타 종(학명: A. symbrachiata)과 버지스 셰일 후반 지층에서 발견된 스테페넨시스 종(학명: A. stephenensis)이 현재 밝혀져 있다.[4] 심브라키아타는 완전한 화석표본으로 발견된 반면 스테페넨시스의 경우 전방부속지만이 발견되었는데, 두 종 모두 킨저스층(Kinzers formation)에서 나왔다.[5]. 스테페넨시스는 더욱 진일보하였는데, 전방부속지가 움켜쥐는 용도로 좀 더 특수화되었다.(네 번째 가시는 더 커져 있으며 바깥 마디의 가시들은 퇴화되어 있다. 심브라키아타는 과거 1992년에 아노말로카리스속에 속하는 종(Anomalocaris trispinata)으로 명명된 적이 있다.[2] 일부 연구에서는 트리스피나타가 심브라키아타 대신에 쓰여야 할 종소명이라고 여겼다.[6][7]
Remove ads
생태

암플렉토벨루아는 유영성 포식자로 여겨진다.[8] 전방부속지는 집게발처럼 먹이를 집는 데 기능했다. 그 구조는 먹이를 입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먹이를 단단히 붙들어 잡아 다루거나 큰 사체에서 조각을 떼어내는 데 적합했다.[9] 턱바닥 구조체는 아마도 먹이를 저작하는 용도였을 것이다.[3] 432점의 표본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절지동물 중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동물이었을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2]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