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암플렉토벨루아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암플렉토벨루아과(Amplectobeluidae)는 캄브리아기 방사치류의 한 계통이다. 현재 다섯 가지의 확실시한 속을 포함하고 있다.(암플렉토벨루아속, 리라라팍스속, 람스코일디아속, 관산카리스속 및 현재 그린란드의 시리우스 파세트 캄브리아기 하부층 발굴지에서 발견된 미명명 속)[1] 호우카리스도 잠재적인 제5의 속이나 이 경우에는 분류학적 위치 면에서 문제가 있다.[2][3]
Remove ads
정의
‘암플렉토벨루아과’는 2014년에 암플렉토벨루아 뿐만 아니라 아노말로카리스, 타미시오카리스 또는 후르디아도 포함시키는 가장 폭넓은 계통군으로 정의되었다.[4]
특징
암플렉토벨루아과는 추정상 움켜잡는 데 더 적합한 집게발 모양의 구조로 된 제1원위 안돌기를 매우 발달시킨 전방부속지를 가진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4][5] 암플렉토벨루아과 중에서 온전한 몸통 화석을 가진 것은 암플렉토벨루아와 리라라팍스가 유이한데, 둘 다 아노말로카리스를 닮은 특징(유선형 몸, 타원형 경판이 달린 작은 머리, 잘 발달한 지느러미, 한 쌍의 꼬리부채)의 결합을 보여준다.[6][7][8][9][10] 암플렉토벨루아과의 속에서만 발견되는 또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암플렉토벨루아와 람스코일디아에서 발견되는) 여러 쌍의 턱바닥 구조체(gnathobase-like structures, GLS)이 있거나[9][11] (리라라팍스와 관산카리스에게서 발견되는) 비늘 모양의 마디와 사방사형 배열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주가 있다.[8][12][13]
Remove ads
계통 분류
"Anomalocaris" kunmingensis는 2014년 초에 Vinther 등에 의해 암플렉토벨루아과에 잠정적으로 배정되었다.[4] 하지만 그 해 이후 리라라팍스 웅구이스피누스의 발견자들이 그 평가를 무시하고 암플렉토벨루아속 sensu(Amplectobelua sensu Vinther et al) 안에 새로운 속을 만들어내었다.[7] 이 무리로 배정시킬 수 있는 불확정한 전방부속지 화석은 미국 버몬트주의 파커 슬레이트Parker Slate에서 발견된 것이다.[14]
계통도
2014년에 실시된 'a posteriori' 가중 계통 분석에서는 암플렉토벨루아과 내에서 다음과 같은 관계를 발견했다:[7]
| |||||||||||||||||||
| |||||||||||||||||||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