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영천시
경상북도의 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영천시(永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시이다.

Remove ads
역사
- 삼한시대 부족국가 골벌국(骨伐小國)이 형성되었다.
- 신라시대 절야화군(切也火郡)으로 칭하였다.
-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임고군(臨皐郡)으로 개칭하고, 양주(현 양산시)에 속했다. 영현으로 도동현(道同縣), 임천현(臨川縣), 장진현(長鎭縣), 신령현(新寧縣), 맹백현(黽白縣)을 관할하였다.
- 925년 (신라 경애왕 2년) 고울부(高鬱府)로 개칭하고, 도동현, 임천현, 맹백현, 이지현(梨旨縣)을 관할하였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도동현·임천현을 병합하고 영주군으로 개칭하였다.
- 995년 (고려 성종 14년) 자사(刺史)를 두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 경주대도호부(현 경주시)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 1172년 (고려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 1383년 (고려 우왕 9년) 영주(永州)로 승격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 1414년 (조선 태종 14년)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 1467년 (조선 세조 12년) 군수를 두었다.
- 1522년 (조선 중종 17년) 영천현(永川縣)으로 강등되었다.
- 1533년 (조선 중종 28년) 영천군으로 환원되었다.
- 1895년 6월 23일 (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 5월 1일) 대구부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3]
- 1896년 (건양 원년) 8월 4일 경상북도 영천군으로 개편되었다.[4]
- 1900년 이후의 행정 구역 개편은 영천시의 행정 구역#역사를 참조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위치
영천시는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350 km 지점에 위치하고, 경상북도의 동남부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은 경주시와 포항시, 서쪽은 경산시와 대구광역시, 남쪽은 청도군, 북쪽은 청송군과 군위군이 접하고 있는 경북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도시이다.[5]
영천시의 면적은 920.29 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임야 69%, 경지 18%, 기타 13%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선과 대구선 철도가 동서로 뻗쳐 있고 경부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통과하고 있는 4통 5달의 교통 요충지이다. 태백산맥의 지류인 보현산과 서쪽으로 팔공산, 동쪽으로 운주산이 둘러싸고 있으며, 남천(자호천, 고경천)과 북천(신녕천, 고현천)이 합류하여 금호강 상류를 형성하고 있다.[6]
기후
Remove ads
지질
중생대에 형성된 경상 분지 한가운데에 위치한 영천시는 지질의 대부분이 퇴적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부 팔공산과 북부 보현산 일부 지역에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9]
행정 구역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천시의 면적은 920.29 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다.[10] 인구는 2012년 12월말 기준으로 45,328세대 103,969명이다.[11]

Remove ads
인구
대구와 포항, 경주 도시권 발달로 인하여 감소되었기에 2000년대 후반부터 10만명으로 떨어졌다. 영천 지역 주민들이 대구 쪽으로 많이 전출되고 있지만 2016년에는 경주 지진이 발생되면서 경주, 포항 일원으로부터 전입한 인구가 다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관광
- 보현산 천문대는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에 있는 보현산 정상에 건설된 천문대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서,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망원경 및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수난이대, 나룻터 이야기로써 전쟁으로 인한 민중의 수난사를 서술한 소설가 하근찬 작가가 경상북도 영천시가 고향이다.
조선 3대 시가인으로 꼽히는 노계 박인로 선생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된 박노계집 판목이 보관되어 있다.
- 한약재전시관
- 운주산 승마자연휴양림
영천시가 임고면 황강리 73ha의 소나무 숲에 56억원을 들여 조성한 곳으로서, 숲속에서 쉬며 승마도 즐길 수 있다.[13]
Remove ads
군사
- 화산유격장
- 육군3사관학교
- 제2탄약창
교육 기관
- 특수학교
Remove ads
라디오방송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CH 1번: FM 88.5 MHz - AFN EAGLE FM(팔공산)
- CH 2번: FM 89.1 MHz - 성서공동체FM(팔공산)
- CH 3번: FM 89.7 MHz - KBS 대구FM
- CH 4번: FM 91.9 MHz - 대구극동방송
- CH 5번: FM 93.1 MHz - cpbc 대구가톨릭평화방송
- CH 6번: FM 94.5 MHz - 대구불교방송
- CH 7번: FM 95.3 MHz - 대구MBC FM4U
- CH 8번: FM 96.5 MHz - 대구MBC 표준FM
- CH 9번: FM 98.3 MHz - 대구원음방송
- CH 10번: FM 99.3 MHz - TBC드림FM
- CH 11번: FM 101.3 MHz - KBS대구 제1라디오
- CH 12번: FM 102.3 MHz - KBS대구 제2라디오
- CH 13번: FM 103.1 MHz - 대구CBS
- CH 14번: FM 103.9 MHz - TBN 대구교통방송
- CH 15번: FM 105.1 MHz - EBS FM(팔공산)
- CH 16번: FM 107.5 MHz - 국악방송(팔공산)
교통

철도
도로
시외버스
시내버스
Remove ads
정치 · 행정
역대 시장
2023년 기준으로 영천시장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최기문이다.
역대 국회의원
현재 영천시의 국회의원은 이만희이다.
영천시청
자매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