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왕가의 계곡의 무덤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고대 이집트의 도시 테베 (현 이집트 룩소르)의 왕가의 계곡과 인근 지역의 무덤 목록이다.

왕가의 계곡에 있는 모든 무덤은 번호가 매겨져 있다. 이 같은 순번 체계는 1821년 존 가드너 윌킨슨의 제안으로 확립되었다. 윌킨슨은 무덤의 위치에 따라 계곡 입구에서부터 남쪽과 동쪽 방면으로 하나씩 번호를 붙여, 당시 자신이 파악했던 총 21개의 무덤에 순번을 매겼다. 그 이후로는 발견될 때마다 새로운 번호가 붙여지고 있다.[1]

20세기 중반부터 이집트 학자들 사이에서 각 무덤의 번호 앞에 "KV" (Kings' Valley, '왕가의 계곡'의 약자)라는 두문자를 붙여 부르기 시작했고, 이는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동쪽 계곡 (이스트 밸리)에 위치한 무덤에만 KV가 붙으며, 서쪽 계곡 (웨스트 밸리)의 경우에는 'WV' (West Valley)라는 약자가 대신 붙는다.

Remove ads

지도

목록

요약
관점
범례
  •   일반인 공개[2][a]
  •   일반인 접근 제한

이스트 밸리

왕가의 계곡에서 일반인에게 공개된 무덤은 대부분 동쪽 계곡 (이스트 밸리)에 위치해 있으며 대다수 관광객 역시 이곳을 찾는다.

발견연도란에 '고대'라 표기된 무덤은 본격적인 발굴이 시작되던 19세기 초 이전에 이미 도굴 등으로 개방되어 버린 무덤을 뜻한다.

자세한 정보 번호, 조성시기 ...

웨스트 밸리

서쪽 계곡 (웨스트 밸리)의 무덤수는 총 5곳에 불과하다. 순번은 동쪽 계곡과 마찬가지로 발견된 순서로 매겨지고 있다.

자세한 정보 숫자, 기간 ...
Remove ads

같이 보기

  • 여왕의 계곡의 무덤 목록
  • 테베 매핑 프로젝트

각주

  1. 다만 무덤의 공개나 폐쇄 시간은 따로 통보하지 않는다.
  2. 무덤의 조성이 처음 완료된 시기의 왕조만 적도록 한다. 왕가의 계곡은 후대에 들어서도 재사용된 무덤이 적지 않은데 개중에는 동로마 제국시기까지 사용된 무덤도 있다.
  3. 본래는 람세스 3세의 아들 (이름은 불명)을 위해 조성된 무덤이다.[5]
  4. KV9는 이후 람세스 6세의 무덤으로도 재활용됐다.[9]
  5. KV13는 나중에 아멘헤르헵셰프멘투헤르헵셰프의 무덤으로도 사용되었다.
  6. KV14는 나중에 셋나흐트의 무덤으로도 사용되었다.
  7. KV19는 람세스 9세의 무덤으로 조성되었으나 나중에는 멘투헤르헵셰프가 대신 안치되었다.
  8. KV20는 하트셉수트 치세에 이르러 본인과 아버지의 무덤으로 쓰기 위해 내부를 확장하고 다시 꾸몄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9. KV21은 여왕의 무덤이었다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내부에서 여성의 미라가 두 구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가슴에 왼쪽 팔을 올리고 있었다. 여성 파라오의 미라만 취할 수 있는 자세였다.[11]
  10. 미확증 상태.
Remove ads

출처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