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조성시기[b] |
발견연도 |
무덤 주인 (용도) |
설명 |
KV1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7세[3] |
|
KV2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4세[4] |
|
KV3 |
제20왕조 |
0001 고대 |
불명[c] |
|
KV4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11세[6] |
|
KV5 |
제19왕조 |
1825 1825년 |
람세스 2세 (아들)[7] |
내부 석실이 총 120개에 달하며, 지금도 그 지하로 발굴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현재까지 왕가의 계곡에서 발견된 무덤 중 가장 큰 규모다. |
KV6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9세 |
|
KV7 |
제19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2세[8] |
|
KV8 |
제19왕조 |
0001 고대 |
메렌프타 |
|
KV9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5세[d] |
'멤논의 무덤'이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KV10 |
제20왕조 |
0001 고대 |
아멘메세 |
아멘메세의 무덤으로 조성되었지만 실제로 여기에 묻혔는지에 알 수 있을 법한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
KV11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3세 |
'브루스의 무덤', '하퍼의 무덤'이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KV12 |
제18왕조 |
0001 고대 |
여러 명 |
일가족의 무덤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KV13 |
제19왕조 |
0001 고대 |
바이[e] |
|
KV14 |
제19왕조 |
0001 고대 |
토스레트[f] |
|
KV15 |
제19왕조 |
0001 고대 |
세티 2세 |
|
KV16 |
제19왕조 |
1817 1817년 |
람세스 1세 |
|
KV17 |
제19왕조 |
1817 1817년 |
세티 1세[10] |
'벨초니의 무덤', '아피스의 무덤', '네초의 아들 프사미스의 무덤'이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
KV18 |
제20왕조 |
0001 고대 |
람세스 10세 |
람세스 10세의 무덤으로 조성되기는 했으나 완공하지 못한 상태로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 |
KV19 |
제20왕조 |
1817 1817년 |
람세스 8세[g] |
|
KV20 |
제18왕조 |
1799 1799년 |
투트모세 1세[h] |
|
KV21 |
제18왕조 |
1817 1817년 |
(모 여왕)[i]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22 ~ KV25는 웨스트 밸리의 무덤이다. 아래 표 참고. |
KV26 |
제18왕조 |
1835 1835년경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27 |
제18왕조 |
1832 1832년경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28 |
제18왕조 |
1832 1832년경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29 |
알 수 없음 |
1832 1832년경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언제 지어졌는지, 규모가 어떤지도 불분명한 채로 남아 있는 유일한 무덤으로, 내부 파악을 위한 발굴조사가 2016년도에 있었다. |
KV30 |
제18왕조 |
1817 1817년 |
알 수 없음 |
'벨모어 경의 무덤'으로도 알려져 있다. |
KV31 |
제18왕조 |
1817 1817년 |
알 수 없음 |
2010년~2011년 내부 구조 파악을 위한 발굴조사 과정에서 제18왕조기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명의 귀족 미라 다섯 구가 발견되었다. |
KV32 |
제18왕조 |
1898 1898년 |
티아아 |
|
KV33 |
제18왕조 |
1898 1898년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34 |
제18왕조 |
1898 1898년 |
투트모세 3세 |
|
KV35 |
제18왕조 |
1898 1898년 |
아멘호테프 2세 |
이집트 제3중간기 시기에 열댓 구 가량의 미라가 이곳에 다시 안치되었다. 대부분의 미라는 관 표면에 새겨진 글귀를 통해 왕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1994년 홍수로 침수된 이래 보존을 위해 접근이 제한되어 있다. |
KV36 |
제18왕조 |
1899 1899년 |
마이헤르프리 |
하트셉수트 치세의 귀족이 묻힌 무덤이다. |
KV37 |
제18왕조 |
1899 1899년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38 |
제18왕조 |
1899 1899년 |
투트모세 1세 |
KV38는 제18왕조의 파라오 투트모세 1세를 다시 안치하는 데 쓰인 무덤이다. 원래는 KV20에 안치되어 있었으며, 이장 후 KV20은 투트모세 3세의 무덤으로 쓰이게 되었다. |
KV39 |
제18왕조 |
1899 1899년 |
아멘호테프 1세[j] |
|
KV40 |
제18왕조 |
1899 1899년 |
알 수 없음 |
아멘호테프 3세 시기에 조성된 무덤으로 제22왕조기의 무덤으로도 사용되었다.[12] |
KV41 |
제18왕조 |
1899 1899년 |
미사용 |
발견 당시 테티세리 여왕의 무덤으로 추정되었으나 별개의 무덤이라기보다는 단순 갱도라는 설도 존재한다. 내부 구조가 완전히 파악되지 않았다. |
KV42 |
제18왕조 |
1900 1900 |
메릿레하트셉수트 |
투트모세 3세의 왕비 하트셉수트메릿레의 무덤으로 지어졌으나 실제로 이곳에 묻히지 않았다. 대신 아멘호테프 2세 시기에 이르러 테베의 시장이었던 세네페르가 이곳에 묻혔다. |
KV43 |
제18왕조 |
1903 1903년 |
투트모세 4세 |
|
KV44 |
제18왕조 |
1901 1901년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45 |
제18왕조 |
1902 1902년 |
우세르헤트 |
귀족의 무덤이다. |
KV46 |
제18왕조 |
1905 1905년 |
유야 & 튜유 |
티이 여왕의 부모가 묻힌 무덤으로, 투탕카멘의 무덤이 발견되기 전까지 왕가의 계곡에서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무덤으로 꼽혔다. |
KV47 |
제19왕조 |
1905 1905년 |
십타 |
|
KV48 |
제18왕조 |
1906 1906년 |
아메네미페트 |
|
KV49 |
제18왕조 |
1906 1906년 |
창고[j] |
창고로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
KV50 |
제18왕조 |
1906 1906년 |
애완동물 |
동물 미라가 발견된 무덤으로,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과 가까운 것으로 미뤄보아 그의 애완동물을 묻은 곳으로 추정된다. |
KV51 |
제18왕조 |
1906 1906년 |
애완동물 |
동물 미라가 발견된 무덤으로,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과 가까운 것으로 미뤄보아 그의 애완동물을 묻은 곳으로 추정된다. |
KV52 |
제18왕조 |
1906 1906년 |
애완동물 |
동물 미라가 발견된 무덤으로,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과 가까운 것으로 미뤄보아 그의 애완동물을 묻은 곳으로 추정된다. |
KV53 |
제18왕조 |
1906 1906년 |
알 수 없음 |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
KV54 |
제18왕조 |
1907 1907년 |
시신 보존용 은닉처 |
투탕카멘의 무덤 조성 과정에서 시신 보존을 위한 은닉처로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
KV55 |
제18왕조 |
1907 1907년 |
세멘헤카레 아크나텐 |
미라 은닉처였다는 설이 제기되고 있으며, 아마르나 시대의 왕족 (티이와 세멘헤카레, 아크나텐)의 무덤으로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KV56 |
제19왕조 |
1908 1908년 |
알 수 없음 |
'황금 무덤'이란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내부에서 람세스 2세, 세티 2세, 토스레트의 이름이 새겨진 유물이 발견되었다. |
KV57 |
제18왕조 |
1908 1908년 |
호렘헤브[13] |
1994년 홍수로 침수된 이래 보존을 위해 폐쇄됐다. |
KV58 |
제18왕조 |
1909 1909년 |
알 수 없음 |
'마차의 무덤'이란 이름으로도 열려져 있다. 무덤의 원래 주인은 알 수 없다. 투탕카멘과 아이의 이름이 새겨진 금박이 발견되었다. |
KV59 |
알 수 없음 |
1885 1885년경 |
미사용 |
무덤으로 사용된 흔적이 없다. |
KV60 |
제18왕조 |
1903 1903년 |
시트레 인 |
하트셉수트 여왕의 유모였던 시트레 인의 미라가 안치되었다. 같은 무덤에서 발견된 또다른 미라는 하트셉수트 본인일 것으로 추정되나 DNA 검사로 입증되지는 못했다. |
KV61 |
알 수 없음 |
1910 1910년 |
미사용 |
무덤으로 사용된 흔적이 없다. |
KV62 |
제18왕조 |
1922 1922년 |
투탕카멘[13] |
투탕카멘의 무덤으로, 고고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순간으로 일컬어지는 1922년 11월 4일 하워드 카터의 발굴이 이뤄진 현장이다. 내부 정리와 조사 작업 자체는 1932년까지 진행되었다. 도굴범의 침입을 피하지는 못했으나 부장품이 거의 온전히 발견된 최초의 왕릉이었으며, 이후 수십년간 왕가의 계곡에서 최후로 발견된 무덤으로 남아 있었다. |
KV63 |
제18왕조 |
2005 2005년 |
창고 |
처음에는 왕릉으로 추정되었으나, 지금은 미라 보존처리를 위한 창고실이라는 설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14] |
KV64 |
제18왕조 |
2011 2011년 |
네메스바스테트 |
여사제의 무덤으로 2011년 1월에 발견되었다.[15] 2012년에 발굴 조사가 이뤄졌는데 제18왕조와 제22왕조 시기에 사용된 것으로 판명났다. 무덤 주인인 네흐메스바스테트는 제22왕조 시기의 사람이다.[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