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북평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우북평군(右北平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진
연나라의 장수 진개가 동호와 고조선을 격파한 뒤 연 소왕이 연나라에 5개 군을 설치했는데, 우북평군은 이때 설치된 5개군(어양군, 요동군, 요서군, 상곡군, 우북평군)중 하나였다.
전한
유주자사부에 속했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6,689호, 320,780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6현이다. 치소는 진나라 시절과는 달리 평강현이다.
Remove ads
신
군의 이름을 북순(北順)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후한
4현을 제외한 모든 현들이 폐지되었다. 9,170호 53,475명의 주민들이 살았다.[3]
위진
조위에선 220년경에 군명을 우북평군에서 북평군(北平郡)으로 바꾸었다. 위, 서진모두 북평군속현은 후한대와 같다. 영가의 난시기 왕준이 후조의 석륵에 패해 몰락하면서 후조가 차지하게 되었다.[5]
북조
그리고 과거 전한시기 우북평군에 속했던 일부 현들이 다른 군에 이관되었다.
수
평주로 소속이 옮겨졌고 수나라는 주제를 실시하면서 평주(平州)로 칭했다. 1현 2,269호를 거느렸다.[7]
당
619년(무덕 2년) 임유현과 비려현의 2개현을 가지고 있었다. 동년에 임유현의 치소를 비려현으로 옮기고 노룡현으로 개명했다. 그리고 무녕현(撫寧縣)을 신설했다. 624년(무덕 7년) 임유현과 무녕현을 폐지했다. 742년(천보 원년) 군제를 실시하면서 북평군이라고 칭했다. 758년(건원 원년) 군제를 폐하고 주제를 재실시하면서 평주라는 이름으로 들어갔다. 처음엔 수나라때처럼 1현을 두고 있었으며 603호 2,542명만을 거느렸으나 천보연간에 영현이 3현으로 증가되었고 인구도 3,113호 25,086명으로 불어났다.[8]
Remove ads
군수·태수
전한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