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지동물

절지동물의 화석 분류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우지동물
Remove ads

우지동물(偶肢動物. Artiopoda)은 삼엽충과 그 근연속들을 포함한 멸종한 절지동물의 한 계통군을 이르는 총칭이다. 허우와 베르그스트룀이 예전부터 삼엽충아문으로 할당되었을 매우 다양한 절지동물을 포괄하기 위해 1997년에 이 명칭을 만들었다.[4] 삼엽충은 일부 광물화된 외골격 덕분에 발견 사례가 풍부하기 때문에 이 계통군에서 가장 잘 기록되고 다양하며 오랫동안 생존한 동물이다. 광물화된 외골격이 없는 다른 종들은 주로 캄브리아기 퇴적층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간략 정보 우지동물,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특징

Thumb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레티파키에스의 삼차원 형태도. 다리의 형태 (E, F) 및 세부 구조물: 외지 (exo) 외지돌기 (exi) 원절 (pt) 지절 (pd) 가시/강모 (s) 끝발톱 (tc)

Stein & Selden (2012)의 논문에 따르면 우지동물은 이엽성 외지가 달린 다리와 실 모양의 작은 더듬이가 달리며, 근위부(다리 기부에서 가장 가까운 부위)의 엽은 길쭉하고 아가미막이 있는 반면, 원위부(다리 기부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 엽은 노 모양이며 강모를 가지고 있다. 다리의 내지는 일곱 개의 지절/마디를 가지고 있으며, 처음 네 개의 지절에 안쪽을 향한 구조물(내돌기)이 달린다. 반면, 제5지절과 제6지절은 협지식의 (원기둥 모양이고 튼튼한) 구조이다. 일반적인 근거리 형질로 머리방패에 합쳐진 최소 세 쌍의 뒷더듬이다리와 작은더듬이, 뚜렷한 형태로 분화되지 않거나 그런 적이 없는 뒷더듬이다리, 그리고 우지류의 위아래로 납작한 외관에 기여하는 넓은 측배부 주름도 포함된다.[6] 우지류의 다리는 대협류레안코일리아 다리를 닮은 것으로 기재된 외돌기가 있는 것으로 제안되었으며, 이는 갑각류에 달린 것과 상동이지는 않을 것이다.[7]


Remove ads

분류

내부 분류

우지류는 많은 연구에서 두 가지 주요 분류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졌는데, 하나는 삼엽충강, 영순충목(Nektaspida), 합배아강(Conciliterga) 및 크산다렐라류를 아우르는 데 삼엽충아문(Trilobitomorpha)을 재사용한 것, 다른 하나는 아글라스피스목, 이지류(Xenopoda) 및 켈로니엘론목을 아우르는 변미류(Vicissicaudata)이다.[8] 스콰마쿨라와 원봉합류의 구성원과 같은 분류군이 있는데, 이 분류군들은 종종 우지류의 기저 즈음, 즉 변미류+삼엽충아문 외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관계가 항상 맞춰져 있는 것은 아니다.[9]

다른 절지동물과의 관계

우지동물과 현생 절지동물의 두 주요 계통인 협각아문대악동물의 관계는 아직 풀리지 않았으며, 일부 계통은 우지류를 협각류에 더 가깝게 맞추어 거미형류를 형성하는 반면, 다른 계통은 우지류를 대악류와 더 가까이 연관시켜 촉각동물을 형성한다.[10] 일부 연구에서는 이들을 진절지동물의 줄기군으로 분류하며, 대악류와 협각류가 우지류보다 서로 더 근연으로 표시해 두었다.[9] 또 다른 일부 연구에서는 우지류와 마렐라강을 포함한 제안 계통군이 막지류(Lamellipedia)로 명명되는 등 마렐라강과 근연인 것으로 맞춰두었지만, 다른 분석에서는 이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11][12] 베일에 쌓인 우지류를 닮은 절지동물, 키소르토키아는 일부 분석에 따르면 우지류와 근연으로 보고 있다.[9]

Remove ads

사진


계통도

요약
관점

Jiao et al. 2021에 따른 분기도이다.[13]

우지동물

Squamacula clypeata

원봉합류

Zhiwenia coronata

Australimicola spriggi

Acanthomeridion serratum

Acanthomeridion anacanthus

Bailongia longicaudata

삼엽충아문

Retifacies abnormalis

Kwanyinaspis maotiashanensis

삼엽충강

Olenoides serratus

Eoredlichia intermedia

합배아강

Haifengella corona

Kuamaia lata

Helmetia expansa

Tegopelte gigas

Skioldia aldna

Saperion glumaceum

크산다렐라류

Cindarella eucalla

Luohuilinella deletres

Luohuilinella rarus

Sinoburius lunaris

Xandarella spectaculum

Phytophilaspis pergamena

영순충목

Buenaspis forteyi

Tariccoia arrusensis

Soomaspis splendida

Liwia convexa

Naraoia spinosa

Naraoia compacta

Misszhouia longicaudata

변미류

Sidneyia inexpectans

Emeraldella brocki

켈로니엘론목

Cheloniellon calmani

Triopus draboviensis

Duslia insignis

Kodymirus vagans

Eozetetes gemmelli

아글라스피스목

Beckwithia typa

Chlupacaris dubia

Quasimodaspis brentsae

Tremaglaspis unite

Tremaglaspis vanroyi

Brachyaglaspis singularis

Cyclopites vulgaris

Australaglaspis stonyensis

Uarthrus instabilis

Flobertia kochi

Aglaspella granulifera

Gogglops ensifer

Glypharthrus simplex

Aglaspis spinifer

Chraspedops modesta

Glypharthrus thomasi

Glypharthrus trispinicaudatus

Glypharthrus magnoculus

Berks et al. 2023에 따른 함축 가중치 간결 계통도이다.[14]

우지동물

툴라스피스 Thumb

스콰마쿨라 Thumb

원봉합류

지웨니아

아우스트랄리미콜라

아칸토메리디온

변미류

시드니이아

켈로니엘론목

에메랄델라 Thumb

코디미루스 Thumb

에오제테테스

아글라스피스목

삼엽충아문

레티파키에스 Thumb

피그마클리페아투스 Thumb

크산다렐라류 Thumb

영순충목 Thumb

합배아강 Thumb

콰니이나스피스 Thumb

피토필라스피스 Thumb

삼엽충강 Thumb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