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천시
경기도의 자치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천시(利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동쪽으로 여주시, 서쪽으로 용인시,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 남쪽으로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삼국시대 초에는 백제의 영지였으나, 고구려 제20대 장수왕 63년 고구려에 속하며 남천현이라 불렸다. 551년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 남천주로 군주(오늘날 도청소재지)를 두었다. 757년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 황무현으로 개칭하고 광주(지금 광주)에 편입시켰다. 936년 고려 태조가 후백제 남정을 할 때 이천군이라 칭하였고 고려 제23대 고종 44년에는 영창이라 불렀다. 1390년 제34대 공양왕 8년 남천군이라 이름을 바꾸고 승격하였다.
조선 태조 원년 이천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제 3대 태종 13년 현감을 두었다. 1444년 세종 26년에 도호부가 되어 부사의 부임지가 되었다. 1894년 갑오경장 때 현재의 이천군이라는 지명이 되었다.[1]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충주부 이천군으로 개편하였다. (23부제)
- 1896년 8월 4일 경기도 이천군으로 개편하였다. 1899년 편찬된 이천부읍지(利川府邑誌)에 의하면 당시 부모곡면(夫毛谷面), 발산면(鉢山面), 초지곡면(草枝谷面), 월량촌면(月良村面), 갈마동면(乫麻洞面), 모산면(暮山面), 대양면(大陽面), 호법면(戶法面), 장수왕면(長壽旺面), 마전동면(麻田洞面), 둔지산면(屯知山面), 신동면(新洞面), 사북면(沙北面), 백토리면(栢土里面), 읍내면(邑內面)의 15개 면이 있었는데,[2] 이후의 다른 구한말 자료에는 각 면의 이름이 앞의 한 글자만 남겨져 있는 것으로 나온다.
부령 제111호
《대동여지도》 중 이천(가운데 동그라미 부분)
- 1914년 9월 27일, 죽천군을 이천군(利川郡)으로 개칭하였다.[5]
- 1938년 10월 1일, 읍내면을 이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41년 10월 1일, 청미면을 장호원읍으로 승격하였다.[6]
- 1966년 4월 21일, 대월면에 초지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9년 4월 1일, 부발면을 부발읍으로 승격하였다.
- 1996년 3월 1일, 이천군 전체를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이천시를 설치하였다.[7]
- 1996년 5월 1일, 대월면 가운데 초지출장소가 관리하지 않는 지역을 중리동에 편입하였다.
Remove ads
산업
지역내 총생산
이천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23조 1,380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3.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5,217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5조 9,880억원으로 69.7%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조 4,987억원으로 28.1%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와 주택단지가 건설되고 있어 건설업(3.8%)과 사업서비스업(3.5%), 도소매업(3%)과 운수업(2.4%)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8]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이천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99,369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390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33,823명으로 3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65,154명으로 65.6%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1.4%), 숙박 및 음식점업(9.3%), 사업서비스업(9.3%), 운수업(6.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9]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이천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90,673명이고 주간인구는 202,07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6으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0,405명, 유출인구는 11,41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903명, 유출인구는 2,501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1,397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 시설이 많이 이전해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10]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이천시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다. 동서간 거리가 27km, 남북간 거리가 36km로 총 면적은 461km2이다. 동쪽으로는 여주시, 서쪽에는 용인시, 서남쪽은 안성시, 북쪽으로 광주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남북의 지형은 마치 긴 표주박 모양이고, 타 시군과의 경계 주위에는 구릉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강 지류인 복하천이 시내 중심부를 흘러 소평야를 이루고 있어 관개의 이점이 있음으로 지질은 대체로 비옥한 편이다.
남북의 중부, 동서의 영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국도 제3호선과 수원에서 여주를 잇는 국도 제42호선이 교차하는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로써 좋은 산업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11]
기후
지질
인구
이천의 인구는 2022년 9월 현재 232,782명이며, 세대수 104,066가구, 인구 밀도는 480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9.4%, 65세 이상 인구는 9.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7%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7.5%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13.9%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3.3으로 남자가 다소 많다.[14]
- 이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Remove ads
행정 구역
이천시의 행정 구역은 2읍, 8면, 4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천시의 면적은 경기도의 4.5%에 해당하는 461.3km2이다. 2014년 2월말 기준으로 인구는 80,016세대, 210,331명이며, 인구밀도는 453명/km2이다.[15] 전체 인구 중 43%인 90,152명이 시내 동 지구에 거주한다.
Remove ads
문화재
국가 지정 문화재

- 반룡송(蟠龍松)
- 어재연장군생가(魚在淵將軍生家)
- 영월암 마애여래입상(映月庵 磨崖如來立像)
- 이천 설봉산성(利川 雪峰山城)
- 이천백송(利川白松)
-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
-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靑磁 陽刻蓮瓣文)
도 지정 문화재
- 김좌근 고택(金左根 古宅)
- 벼루장(硯匠) 신근식(무형문화재)
- 사기장(沙器匠,백자) 서광수(무형문화재)
- 설성산성(雪城山城)
- 소고리 마애여래좌상(所古里磨崖如來坐像)
- 이천거북놀이(무형문화재)
- 이천어석리석불입상(利川於石里石佛立像)
- 이천자석리석불입상(利川自石里石佛立像)
- 이천중리3층석탑(利川中里三層石塔)
- 이천향교(利川鄕校)
- 이평리석불입상(泥坪里石佛立像)
- 풍고김조순묘역(楓皐金祖淳墓域)
- 화각장(華角匠) 한춘섭(무형문화재)
시 지정 문화재
- 갈산동석불입상(葛山洞石佛立像)
- 관고동 입상석불(官庫洞石佛立像)
- 관고동5층석탑(官庫洞五層石塔)
- 권균묘역(權鈞墓域)
- 김해묘역
- 대포동석조여래입상(大浦洞石造如來立像)
- 도립리 육괴정(道立里六槐亭)
- 동산리 마애여래상
- 서신일묘역(徐神逸墓域)
- 선읍리입상석불(善邑里立像石佛)
- 설봉서원(雪峯書院)
- 설봉서원절목
- 소고리 마애삼존석불(所古里 磨崖三尊石佛)
- 애련정(愛蓮亭)
- 영원사석조약사여래좌상(靈源寺石造藥師如來坐像)
- 영월암석조광배 및 연화좌대(映月庵石造光背-蓮華座臺)
- 이점 신도비(李岾 神道碑)
- 지석리지석묘(支石里支石墓)
Remove ads
문화·관광
축제
- 이천도자기축제
설봉문화제의 일환으로 시작한 도자기 축제는 1994년 제 8회까지는 이천문화원의 주관으로 치러진 행사로서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행사준비의 어려움과 도예인들의 저조한 참여로 인해 소규모 지역축제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후 이천시는 도예산업을 지역특화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자, 1995년 제 9회 축제부터는 국내는 물론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국제 규모의 관광축제와 관광 수입 증대 등을 도모하기 위해 문화체육부 시범축제로 《이천도자기축제》를 지원하여 줄 것을 건의하게 된다. 이후 경기도가 개최한 《2001년 세계도자기축제》를 계기로 이천의 도자산업은 또 한 번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2016년 30주년 기념"즐겁고 신나는 도자기 축제".[16]
특산품
- 이천 쌀, 햇사레복숭아가 있다.
Remove ads
교육 기관
- 대학원대학교
|
|
|
|
스포츠
조직안내
- 시장
- 부시장
- 비서실
- 미래전략담당관
- 기획예산담당관
- 감사법무담당관
- 홍보관광담당관
- 자치행정국
- 자치행정과
- 세정과
- 징수과
- 회계과
- 교육청소년과
- 정보통신과
- 종합민원국
- 민원봉사과
- 종합허가과
- 토지정보과
- 주택과
교통
철도
버스
도로
- 고속도로
- 국도
- 지방도
군사
대한민국 육군의 공병 부대 중 하나인 청룡대대가 이천시에 있다. 그리고 3901부대와 예하대대 서희대대도 부발읍에 위치하고 있고, 백사면 근처 천덕봉에 곧 예비군 훈련대가 창설되고 있다. 또한, 육군본부 직속 부대인 항공작전사령부가 대포동에 소재하고 있다.
출신 인물
자매 도시
역대 시장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