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의 지방도

대한민국의 도, 특별 자치도에서 관리하는 도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지방도
Remove ads

대한민국의 지방도(大韓民國의 地方道)는 지방의 간선도로 기능을 하는 도로이다.

Thumb
지방도 제456호선

지방도라는 명칭은 1938년 조선도로령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1970년 8월에 '일반 국도, 서울특별시도' 등과 같은 도로 등급이 새롭게 설정되면서 지금과 같은 법적 위치에 이르렀다. 대부분의 도로가 일반도로로 되어 있어 보행자, 자전거, 전배기량의 이륜자동차가 통행이 가능하다. 단, 일부 도로에 한해 자동차전용도로로 운영되고 있는 경우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요건

《도로법》 제3장 제15조 〈지방도의 지정·고시〉에 따르면 지방의 간선도로망을 이루는 아래에 해당하는 도로를 뜻하며, 관할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가 그 노선을 인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지방도가 되려면 다음 조건에 하나라도 만족해야 한다.

  • 도청소재지로부터 청 또는 청 소재지에 이르는 도로
  • 시청 또는 군청 소재지 상호 간을 연결하는 도로
  • 도 또는 특별자치도내의 비행장, 항만, 또는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을 상호 연결하는 도로
  • 도 또는 특별자치도내의 비행장, 항만, 역에서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속국도, 국도 또는 지방도를 연결하는 도로
  • 위의 각호 이외의 도로로서 지방의 개발을 위하여 특히 중요한 도로

아울러, 관리권은 제23조 〈도로관리청〉에 의거하여 해당 지역의 행정청, 즉 '도지사'나 '특별자치도지사'가 그 권한을 맡는다.

Remove ads

노선 번호 부여 체계

301
지방도 제301호선
Thumb
지방도 제623호선

지방도는 노선 번호를 표기할 때 노란색 바탕 사각형에 청색 숫자로 숫자를 표기한다. 지방도 번호는 세자리 또는 네자리 수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백의 자리수 및 천의 자리 숫자는 각 도의 고유 번호를 나타내는데 경기도3XX, 강원특별자치도4XX, 충청북도5XX, 충청남도6XX, 전북특별자치도7XX, 전라남도8XX, 경상북도9XX, 경상남도10XX, 제주특별자치도11XX 식으로 부여되어 있다. 뒷자리 번호 두자리 XX 부분은 도 단위 행정구역 내에서 노선의 방향성에 따라 부여되는데 남북방향은 홀수, 동서방향은 짝수 번호를 사용해 서쪽에서 동쪽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부여한다. 이 때 뒷자리 번호 두자리 숫자 중 01~50은 관할지역 내부만을 연결하는 노선에, 51~99는 인접 도 등 타지역에 연결되는 노선에 사용한다. 만약 한 노선의 지방도가 두 개의 도를 연결하는 경우 노선 시점부에 해당하는 도의 고유번호를 사용한다. 이 때 타지역의 지방도와 직결되거나 접속될 경우 앞부분의 도 단위 지역번호를 제외하고 뒤 두자리 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고 있다.[1][2]

과거에는 각 도마다 지방도 번호 부여 체계가 일관성이 없어 각 지방도가 서로 직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경계에서 서로 다른 지방도 번호로 바뀌어 운전자 및 이용객에게 혼선을 주고 또한 단거리 지방도가 많아 노선 수가 지나치게 많다는 지적에 따라 2006년 12월 건설교통부에서는 지방도 노선번호 체계를 개선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금과 같은 노선 번호 부여 체계가 확립되었으며 약 20km 미만인 노선에 대해서는 통·폐합이 이루어졌다. 이 때 제주특별자치도 내 국도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 종전의 제주도에 지정된 일반국도를 해제하고, 도지사는 그 해제된 일반국도를 지방도로 인정한다는 내용에 따라 기존 국도를 지방도로 변경하되, 제주 지역에서 당시 사용하지 않던 번호인 1130~40번대 번호를 사용하여 지방도로 새로 지정하였다.[3]

Remove ads

노선 목록 (2025년 기준)

요약
관점
  • 지방도 노선은 고속도로나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달리 법령으로 노선을 지정하여 관리하지 않았고 각 관할 도청에서 고시 및 공고를 통해 관리했으며, 이 또한 신설 및 폐지 공고가 누락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상위 3개 도로와 달리 모든 목록 확인은 매년 국토교통부에서 발행하는 《도로현황조서》를 기준으로 한다.
  • 실제 지방도 시점 및 종점은 해당 지방도가 속한 시·군마다 상이한 경우도 있으며, 그 안내 내용이 도로현황조서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경기도 (300호대)

경기도의 지방도는 1996년, 2005년에 대개편되었다. 현재 경기도의 지방도는 모두 2005년 이후에 새로 지정된 것이다.[4]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1996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2005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

다음 지방도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사용되던 경기도 지방도 목록이다. 이 지방도는 2005년 3월 28일에 일괄 폐지되었다.[8]

강원특별자치도 (400호대)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충청북도 (500호대)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충청남도 (600호대)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전북특별자치도 (700호대)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전라남도 (800호대)

전라남도 구간 지방도는 1995년 12월 8일과 2003년 3월 27일에 대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18][19]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1995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

아래 내용은 1995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이다. 일부 노선 번호는 현재도 사용중이다. 기준은 1985년 자료 기준이다.[20]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2003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

아래 내용은 2003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이다. 일부 노선 번호는 현재도 사용중이다. 기준은 2003년 자료 기준이다.[21]

경상북도 (900호대)

Thumb
1988년 당시 포항 지역을 지나던 지방도 제912호선 표기. 경상북도 구간 지방도는 1996년에 대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1996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

경상남도 (1000호대)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1996년 개편 이전 지방도 노선 목록

제주도 (1100호대)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Remove ads

폐지된 지방도

요약
관점

다음 지방도는 도로현황조서 또는 각 도로관리청에 의해 폐지된 지방도이다. 일부 지도 및 표지판에는 이 사실이 반영되지 않아 아직도 아래 노선들이 현재 존재하는 것으로 오기하는 경우도 있다.

자세한 정보 표지, 노선 번호 ...
Remove ads

국가지원지방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