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8개의 구와 2개의 군이 있다. 2023년 기준, 인천광역시에는 8구 2군이 있다.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자치구·군, 한자 ...
자치구·군 | 한자 | 인구 (명)[1] | 세대[1] | 면적 (km2) |
---|---|---|---|---|
중구 | 中區 | 130,806 | 62,485 | 140.3 |
동구 | 東區 | 64,875 | 28,619 | 7.2 |
미추홀구 | 彌鄒忽區 | 412,471 | 185,206 | 24.8 |
연수구 | 延壽區 | 357,244 | 135,287 | 54.9 |
남동구 | 南洞區 | 534,871 | 220,602 | 57.1 |
부평구 | 富平區 | 517,029 | 212,356 | 32.0 |
계양구 | 桂陽區 | 306,613 | 123,364 | 45.6 |
서구 | 西區 | 543,075 | 215,631 | 116.9 |
강화군 | 江華郡 | 69,130 | 32,975 | 411.4 |
옹진군 | 甕津郡 | 20,714 | 11,651 | 172.9 |
인천광역시 | 仁川廣域市 | 2,956,828 | 1,228,176 | 1,063.1 |
닫기
경제자유구역
Remove ads
행정 구역 현황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변천 과정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날짜, 내용 ...
날짜 | 내용 | 비고 | ||||||||||
---|---|---|---|---|---|---|---|---|---|---|---|---|
1883 | 개항되면서 부내(府內), 먼우금(遠又邇)[A], 주안(朱雁), 남촌(南村), 조동(鳥洞), 신현(新峴), 황등천(黃等川), 전반(田反), 이포(梨浦), 다소(多所)의 10개면을 통합하여 인천(仁川)을 이룸.[3] | |||||||||||
1895년 5월 26일 | 23부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가 설치.[4] | 인천부 | ||||||||||
1910년 10월 1일 | 일제는 대한제국에 대한 1910년 8월 29일의 강제합병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5] | 일제강점기 | ||||||||||
1914년 4월 1일 | 인천부를 분할하여, 항구 주변의 도심지만을 인천부로 남기고, 그밖의 나머지 면을 부평군과 병합하여 부천군으로 개편.[6] | |||||||||||
1914년 9월 1일 | 월미도를 인천부에 재편입.[7] | |||||||||||
1936년 10월 1일 | 부천군 다주면 일부와 문학면 일부가 인천부에 재편입.[8] | |||||||||||
1940년 4월 1일 | 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 일원을 인천부에 (재)편입.[9] | |||||||||||
1949년 8월 15일 |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라 인천부를 인천시(仁川市)로 개칭.[10] | 지방자치제 실시
인천시 | ||||||||||
1962년 5월 21일 | 57개 행정동 설치.[3][11] | |||||||||||
1962년 9월 1일 | 2개 행정동 설치. (59개동)[3][12] | |||||||||||
1963년 1월 1일 | 부천군 영종면 운남리 작약도가 인천시로 편입.[3][13] | |||||||||||
1968년 1월 1일: | * 구(區)제 실시로 4개 구가 설치. (4구, 2출장소)[3][14]
|
|||||||||||
1970년 7월 1일 | 9개 행정동 설치. (75개동)[3][17] | |||||||||||
1973년 7월 1일 | 동구 월미도를 중구에 편입.[3][18] | |||||||||||
1977년 5월 10일 | 39개 행정동 명칭변경.[3][19] | |||||||||||
1978년 7월 1일 | 북구 백석동을 검암동으로 명칭 변경.[3][20] | |||||||||||
1979년 1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76개동)[3][21] | |||||||||||
1979년 5월 1일 | 3개 행정동 설치. (79개동)[3][22] | |||||||||||
1981년 7월 1일 | 인천시를 경기도에서 분리하여 인천직할시로 승격.[3][23] | 인천직할시 | ||||||||||
1982년 9월 1일 | 6개 행정동 설치. (85개동)[3][24] | |||||||||||
1983년 10월 1일 | 2개 행정동 설치. (87개동)[3][25] | |||||||||||
1983년 11월 26일 | 2개 행정동 명칭변경.[3][26] | |||||||||||
1985년 11월 25일 | 동구 금곡동, 창영동을 통합 금창동 설치 및 7개 행정동 설치. (93개동)[3][27] | |||||||||||
1987년 6월 15일 | 1개 행정동 설치. (94개동)[3][28] | |||||||||||
1988년 1월 1일 | 2개구 설치. (4개구 → 6개구)[3][29] | |||||||||||
1989년 1월 1일 | *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이 중구에,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이 북구에 각각 편입되었다.[30][31]
|
|||||||||||
1989년 5월 15일 | 1개 행정동 설치. 만수2동 → 만수2동, 만수4동으로 분동. (98개동)[31][37] | |||||||||||
1990년 1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간석1동 → 간석1동, 간석4동으로 분동. (99개동)[31][38] | |||||||||||
1990년 5월 1일 | ||||||||||||
1991년 8월 16일 | 1개 행정동 설치. (107개동)[31][43] | |||||||||||
1991년 8월 26일 | 3개 행정동 설치. (110개동)[31][44]
|
|||||||||||
1991년 8월 27일 | 1개 행정동 설치. 계산2동 → 계산2동, 계산3동으로 분동. (111개동)[31][45] | |||||||||||
1992년 9월 1일 | 3개 행정동 설치. (114개동)[31][46]
|
|||||||||||
1992년 9월 5일 | 1개 행정동 설치. (115개동)[31][47]
|
|||||||||||
1993년 12월 1일 | ||||||||||||
1994년 7월 1일 | ||||||||||||
1995년 1월 1일 | 인천직할시에서 인천광역시로 개칭.[51][54] | 인천광역시 | ||||||||||
1995년 3월 1일 | ||||||||||||
1996년 1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동춘2동 → 동춘2동, 청량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7개동)[51][58] | |||||||||||
1996년 3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문학동 → 문학동, 관교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8개동)[51][59] | |||||||||||
1998년 10월 10일 | 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25개동)[51][60]
|
|||||||||||
1998년 10월 27일 | 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22개동)[51][61]
|
|||||||||||
1998년 10월 29일 | 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20개동)[51][62]
|
|||||||||||
1998년 10월 30일 | 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19개동)[51][63]
|
|||||||||||
1998년 11월 1일 | 과소동 통폐합. (1읍 19면 116개동)[51][64]
|
|||||||||||
1999년 7월 20일 | 송림면을 연평면으로 명칭 변경. (1읍 19면 119개동)[51][65] | |||||||||||
2001년 12월 28일 | 1개 행정동 설치. 검단동 → 검단1동, 검단2동으로 분동. (1읍 19면 117개동)[51][66] | |||||||||||
2003년 3월 1일 | ||||||||||||
2003년 10월 13일 | 출장소 통합. 영종·용유출장소→ 영종용유출장소[68][70] | |||||||||||
2005년 9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검단1동, 검단2동 → 검단1동, 검단2동, 검단3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0개동)[68][71] | |||||||||||
2005년 12월 30일 | 1개 행정동 설치. 삼산동 → 삼산1동, 삼산2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1개동)[68][72] | |||||||||||
2006년 6월 5일 | 출장소 분리. 영종용유출장소→영종출장소, 용유출장소.[68][73] | |||||||||||
2006년 9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검단1동 → 검단1동, 검단4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2개동)[68][74] | |||||||||||
2006년 11월 26일 | 중구·동구간 관할구역 변경.[68][75]
|
|||||||||||
2007년 1월 1일 | 1개 행정동 설치. 동춘2동 → 동춘2동, 송도동으로 분동. (1읍 19면 123개동)[68][76] | |||||||||||
2009년 2월 1일 | ||||||||||||
2009년 6월 5일 | ||||||||||||
2009년 7월 20일 | ||||||||||||
2010년 6월 10일 | ||||||||||||
2011년 5월 20일 | ||||||||||||
2012년 1월 1일 | ||||||||||||
2012년 7월 9일 | ||||||||||||
2013년 7월 5일 | ||||||||||||
2014년 9월 24일 | ||||||||||||
2015년 4월 1일 | ||||||||||||
2016년 7월 1일 |
|
|||||||||||
2018년 1월 1일 |
|
|||||||||||
2018년 7월 1일 | ||||||||||||
2018년 11월 5일 |
|
|||||||||||
2019년 1월 1일 |
|
|||||||||||
2019년 11월 4일 |
|
|||||||||||
2020년 10월 26일 |
|
|||||||||||
2021년 6월 1일 |
|
|||||||||||
2021년 7월 1일 | ||||||||||||
2024년 1월 1일 |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