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적분 판정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적분 판정법
Remove ads

미적분학에서 적분 판정법(積分判別法, integral test)은 음이 아닌 실수급수음이 아닌 실수함수이상 적분수렴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수렴 판정법이다.

Thumb
조화급수에 적용한 적분판정법. 곡선 y = 1 / x, x ∈ [1, ∞) 아래쪽의 면적이 무한하므로 직사각형들의 총면적 역시 무한하다.

정의와 증명

요약
관점

음이 아닌 실수감소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특히, 는 임의의 에서 리만 적분 가능하다.) 적분 판정법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38–139, Exercise 8[2]:290, Proposition 11.6.4

  • 급수 수렴한다.
  • 이상 적분 수렴한다.

또한, (수렴 여부와 관계 없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증명:

음이 아닌 실수 항 급수의 합과 음이 아닌 실수 값 리만 적분 가능 함수이상 적분의 값은 음이 아닌 확장된 실수로서 항상 존재하며, 이들의 수렴 여부는 합이나 적분 값의 유한한지 여부와 동치이다.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위의 리만 적분을 취하면

이 된다. 에 대한 급수를 취하면

이 된다. 이는

임에 따른다. 따라서, 만약

라면

이며, 만약

라면

이다. 즉, 수렴 여부가 동치다.

Remove ads

요약
관점

급수

를 생각하자. (혹자는 이를 p-급수(영어: p-series)라고 부른다.) 만약 이라면, 이 급수는 자명하게 발산한다. 이제, 이라고 가정하자. 적분 판정법에 따라, 이 급수의 수렴 여부는 다음 이상 적분이 수렴하는지 여부와 동치이다.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이라면,

이다. 따라서,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며, 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은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아낼 수 없다. 라베 판정법의 증명은 이 급수의 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급수

를 생각하자. 이전 예 및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며, 일 때 발산한다. 이제 이라고 가정하자. 적분 판정법에 따라, 급수의 수렴 여부는 이상 적분

의 수렴 여부와 같다. 이는

임에 따른다.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이라면,

이다. 따라서, 이 급수는 이거나 , 일 때 수렴하며, , 이거나 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근 판정법·라베 판정법은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아낼 수 없다. 베르트랑 판정법의 증명은 이 급수의 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마찬가지로, 급수

의 수렴 여부 또한 적분 판정법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위의 사전식 순서로 적을 때,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며, 일 때 발산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