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수

를 생각하자. (혹자는 이를 p-급수(영어: p-series)라고 부른다.) 만약
이라면, 이 급수는 자명하게 발산한다. 이제,
이라고 가정하자. 적분 판정법에 따라, 이 급수의 수렴 여부는 다음 이상 적분이 수렴하는지 여부와 동치이다.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이라면,

이다. 따라서,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며,
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이나 근 판정법은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아낼 수 없다. 라베 판정법의 증명은 이 급수의
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급수

를 생각하자. 이전 예 및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며,
일 때 발산한다. 이제
이라고 가정하자. 적분 판정법에 따라, 급수의 수렴 여부는 이상 적분

의 수렴 여부와 같다. 이는

임에 따른다.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이라면,

이다. 따라서, 이 급수는
이거나
,
일 때 수렴하며,
,
이거나
일 때 발산한다. 비 판정법·근 판정법·라베 판정법은 이 급수의 수렴 여부를 알아낼 수 없다. 베르트랑 판정법의 증명은 이 급수의
에 따른 수렴 여부에 기반한다.
마찬가지로, 급수

의 수렴 여부 또한 적분 판정법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위의 사전식 순서를
로 적을 때,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며,
일 때 발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