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점성술의 기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점성술의 기호(占星術之 記號, 영어: astrological symbol)는 여러 점성술 체계에서 관련된 객체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그림이다.
역사와 기원
요약
관점
많은 고대 천궁도가 보전되어 있는 중세 비잔티움의 사본들에서 고대 행성과 황도대 별자리, 각, 가상점 그리고 달의 교점의 기호들이 나타난다.[1] 그러한 그리스 천궁도의 원본 파피루스에서는 태양이 광선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고 달이 초승달 모양으로 표시된 한 원이 발견된다.[2] 수성과 금성, 목성 그리고 토성의 기호는 후기의 그리스 파피루스에서 발견된 형태로 거슬러 올라간다.[3] 목성과 토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그리스어 이름의 첫글자의 문자도안으로 확인되었고, 수성의 기호는 양식화된 카두케우스이다.[3] 몬더는 더 이른 문헌들에서 고대 행성과 연관된 신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행성 기호의 선례를 발견하였다. 2세기에 제작된 비안키니의 별자리판[4] 은 행성 기호의 초기 형태가 갖추어져 있는데, 행성의 신에 대한 그리스식 인격화를 시사한다.: 수성은 카두케우스를 지닌다. 금성은 다른 줄 목걸이와 연결된 목걸이를 하고 있다. 화성은 창을 갖고 있고, 목성은 지팡이를, 토성은 큰 낫을 들고 있다. 태양은 방사성으로 퍼지는 모양의 왕관을 쓰고 있으며 달은 초승달 모양의 머리 장식을 하고 있다.[5] 12세기 요한네스 카라테로스의《점성술 개론(Compendium of Astrology)》에 있는 한 도해는 태양이 하나의 광선을 가진 원으로 표현되어 있고, 목성은 (그리스 신화에서 유피테르에 상응하는 제우스의 첫글자인) 제타(Ζ)로 표시되어 있으며, 화성은 창이 겹쳐진 방패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다른 행성들의 기호는 현대의 것들과 유사한 모양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현대식 기호에서 보여지는 십자모양은 없다.[5] 태양의 현대 기호는 한 원에 점이 찍혀있는 그림(☉)인데, 그 모양은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나타났다.[2]
천왕성과 해왕성의 기호는 그것들의 발견이 있은 후 얼마 안 돼서 만들어졌다. 천왕성은 두 개의 기호를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요한 G 쾰러에 의해 고안되고 보데에 의해 개선된 이다. 그것은 본래 새로 발견된 금속 플래티넘을 표시할 예정이었는데, 일반적으로 백금이라고 불리는 플래티넘은 철이 섞인 상태로 화학자들에게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것의 기호는 철♂과, 금☉의 기호가 혼합되어 있다.[6][7] 그것의 또 다른 기호인
는 1784년에 랄랑드에 의해 제안되었다. 허셜과 랄랑드는 그것에 대해 "당신의 이름의 첫글자가 얹어진 원"이라고 묘사했다.[8] 해왕성이 발견된 이후, 그것에 대해 경도국은 넵튠(Neptune)의 이름과 삼지창과 유사한 기호를 제안했다.[9]
19세기 초에 발견된 세레스와 팔라스 그리고 유노 이렇게 세 개의 점성학적 기호들도 역시 그것들의 발견 직후에 만들어졌다. 처음에, 그것들은 행성으로 분류되었지만, 반세기 이후에 소행성으로 분류되었다. 주세페 피아치의 세레스 발견 직후, 한 천문학 단체는 그것의 이름을 발견자의 이름으로 하자는 제안을 비준했고, 그 행성의 기호로써 낫 모양을 선정했다.[10] 팔라스의 기호인 팔라스 아테나의 창은 바론 프란츠 사버 폰 자흐에 의해 고안되었고 그의 저널 《월간 통신(Monatliche correspondenz)》에서 소개되었다. 카를 루트비히 하딩은 유노를 발견하고 이름 지었으며, 별 하나가 위에 있는 홀(笏)을 그것의 기호로 지정했다.[11]
베스타의 현대 점성술의 기호는 엘레너 바흐에 의해 만들어졌다.[12] 그녀는 《소행성의 천문력(Ephemerides of the Asteroids)》으로써 네 개의 주요 소행성을 사용한 선구자로 인정된다.[13] 베스타를 표기한 바흐의 기호는 베스타의 제단을 표현한 것을 단순화한 것이다.[12] 베스타의 최초 기호인 은 독일의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올베르스 박사가 먼저 (이후에 소행성으로 분류된) 그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지만, 그것의 이름을 지을 영예는 가우스에게 넘겼다. 가우스는 그 행성의 이름을 여신 베스타로 지었고, 그것의 기호는 성화가 타고 있는 그 여신의 제단임을 명시했다.[14][15]
천왕성과 같이 명왕성 또한 사용되는 두개의 기호를 갖고 있다. 그 기호들 중 하나는 (플루토(Pluto) 또는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의 약자로 해석될 수 있는) PL의 철자도안이며, 1930년 5월 1일에 그 새로운 행성의 발견은 이 이름으로 알려졌다.[16] 그것의 또 다른 기호는 폴 클랜시의 점성술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는데, 수성의 기호를 기초로 수성이 거래하는 위치를 뜻하는 원과 호가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그 기호는 데인 러디야르에 의해 "열린 잔 위에 떠있는 원으로 플루톤의 심적 경향을 지닌 그 행성의 성격을 암시한다"고 묘사된다. 그러나, 신비 과학으로 설명될 수도 있는 적절한 전통적 해석 보다는 블라바츠키의 해석에 있어서 그러한 의미는 쉽게 문제시된다.[17]
센타우루스인 키론의 기호는 (발견자 찰스 코월(Kowal)의) 철자 K가 붙은 열쇠로써, 천문학자 알 모리슨이 제안했는데, 그는 그 기호를 그와 몰리 마호니 그리고 말린 바소프와 논의로 얻어진 것이라고 소개했다.[18]
역행 운동(retrograde motion)의 기호 ℞는 대문자 R이 꼬리를 감고 있는 모양이다.[19][20]
[21] 꼬리가 달린 R은 철자 R로 시작하는 많은 단어들의 축약형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그것은 ("받다"의 라틴어 recipere의 명령형에서 파생된[22]) 의약품 처방전을 뜻하는 축어 레시피(recipe)의 단축 기호이며, 미사 전서에서 꼬리 달린 R은 대답을 표시한다.[23]
Remove ads
기호와 의미
요약
관점
점성술의 행성
행성의 기호는 (항상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네 개의 공통 요소로 분해된다.: 그것들은 정신을 뜻하는 원과 마음을 뜻하는 초승달 모양, 실질적이거나 육제적인 것을 표현하는 십자 그리고 행동이나 경향을 의미하는 화살표이다.[24]
황도대의 별자리
각
달의 위상
다른 기호
Remove ads
유니코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