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점상출혈

모세혈관 출혈로 인해 생기는 직경 4mm 이하의 작은 반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점상출혈
Remove ads

점상출혈(petechia, 點狀出血) 또는 점출혈모세혈관출혈로 인해 피부, 결막, 망막, 점막 등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직경 4mm 이하의 빨간색 또는 보라색의 작은 반점이다.[2][3] 'Petechia'라는 단어는 이탈리아어주근깨를 뜻하며 그 어원이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단어인 petecchia에서 유래했다.[1] 혈종을 그 크기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누며, 그 중 첫째가 직경이 4mm보다 작은 점상출혈이다. 다른 두 가지는 직경이 4 ~ 10mm인 자반증과 직경이 10mm를 넘는 반상출혈이다. 점상출혈이 한 개만 나타나는 경우는 그리 중요하지 않거나 아예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개 'petechiae'라는 복수형으로 쓰인다.

간략 정보 점상출혈, 다른 이름 ...
Remove ads

원인

외상

점상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매우 심한 기침, 숨 참기, 구토, 울음과 같은 행동으로 인한 신체적 외상이다. 이런 요인들은 모두 얼굴, 특히 눈 주변에 점상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나타난 점상출혈은 특별히 해가 되지 않으며 대개 며칠 안에 사라진다.

  • 괄사 - 피부를 상처가 날 정도로 문지르는 중의학의 민간요법
  • 구강성교[4]
  • 기절 놀이
  • 질식이나 협착 - 특히 눈의 점상출혈은 조직에 과도하게 높은 압력이 가해졌을 때(지혈대를 너무 심하게 조였을 때, 또는 심한 기침이나 구토를 할 때 등) 생길 수도 있다.
  • 햇볕으로 인한 화상, 분만, 심한 웨이트리프팅[5]
  • 키스 자국
  • G-LOC 극복을 위한 우주비행사의 중력가속도 훈련(영어판)

비감염성 원인

감염성 원인

Remove ads

과학 수사

얼굴이나 눈의 결막에 생긴 점상출혈은 질식이나 저산소증과 관련이 없다.[10] 그러나 경찰 수사관들은 목이 졸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점상출혈을 이용한다. 점상출혈의 존재를 기록할 경우 경찰 조사관들이 사건을 밝히는 데에 도움이 된다.[11] 목이 졸려 생긴 점상출혈은 비교적 크기가 작으며 밝은 색을 띈다. 얼굴이나 눈의 흰자, 눈꺼풀 안쪽에 점상출혈이 생길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