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종순 바나흐 대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함수해석학에서 종순 바나흐 대수(從順Banach代數, 영어: amenable Banach algebra)는 1차 유계 호흐실트 호몰로지자명군바나흐 대수이다. 종순 폰 노이만 대수들은 완전히 분류되었으며, 상당량의 종순 C* 대수의 분류 역시 완결되었다.[1][2]

정의

요약
관점

바나흐 쌍가군

복소수 바나흐 대수 , 위의 바나흐 쌍가군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쌍가군
  • 위의 복소수 바나흐 공간 구조

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 경우, 연속 쌍대 공간 은 자연스럽게 -바나흐 쌍가군을 이룬다.

유계 미분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복소수 바나흐 대수
  • -바나흐 쌍가군

값의 유계 미분(영어: bounded derivation)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소수 선형 변환

이다.

  • 미분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 유계 작용소이다.

종순 바나흐 대수

복소수 바나흐 대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종순 바나흐 대수라고 한다.

  • 임의의 -바나흐 쌍가군 및 유계 미분 에 대하여, 가 되는 가 존재한다. (여기서 연속 쌍대 공간이다.)

여기서, 유계 미분들의 군은 1차 유계 호흐실트 순환들의 군으로, 꼴의 유계 미분들의 군은 1차 완전 호흐실트 순환들의 군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종순 바나흐 대수의 정의는 1차 유계 호흐실트 호몰로지가 자명하다는 조건이다.

만약 위 조건을 인 경우에만 성립하게 약화시키면, 약종순 바나흐 대수(弱從順, 영어: weakly amenable Banach algebra)의 개념을 얻는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폰 노이만 대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종순 바나흐 대수이다.
  • (초유한성 영어: hyperfiniteness) 부분 폰 노이만 대수들의 증가하는 열 가 존재하여, 각 들은 모두 유한 차원 폰 노이만 대수이며, 의 (노름 거리 위상에서의) 조밀 집합을 이룬다.

종순 폰 노이만 대수단사 폰 노이만 대수(영어: injective von Neumann algebra) 또는 초유한 폰 노이만 대수(영어: hyperfinite von Neumann algebra)라고도 불린다.

C* 대수 의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종순 바나흐 대수이다.
  • 로 생성되는 폰 노이만 대수는 종순 바나흐 대수이다.

종순 C* 대수는 핵 C* 대수(영어: nuclear C*-algebra)라고도 불린다.

모든 C* 대수는 약종순 바나흐 대수이다.[3]:306; §4

Remove ads

모든 가환 C* 대수는 종순 바나흐 대수이다.[1]:79, Theorem 2.3.7 모든 유한 차원 C* 대수는 종순 바나흐 대수이다.[1]:77, Corollary 2.3.2

역사

종순 바나흐 대수의 개념은 1972년에 도입되었다.[4] 이후 알랭 콘폰 노이만 대수의 경우 종순성이 초유한성 등 여러 다양한 조건들과 동치임을 증명하였다.[5]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