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방도 제1135호선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지방도 제1135호선
Remove ads

지방도 제1135호선(평화로)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제주시 애월읍을 잇는 제주특별자치도지방도이다.

간략 정보 제주특별자치도 지방도, 총연장 ...
간략 정보 국가지원지방도, 총연장 ...
간략 정보 일반 국도, 총연장 ...

이 도로는 과거 국도 제95호선 또는 국가지원지방도 제95호선이었으나,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에 의해서 2008년 11월 17일 부로 지방도 1135호선으로 격하되었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해안일주도로가 개설되기 전인 1416년(태종 16년)에 제주도의 행정구역이 제주, 대정, 정의현(縣)으로 개편되었었는데, 이 때 제주목(牧)에서 대정현까지 목사 또는 현감이 말을 타고 지나다니면서 생긴 길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이 길은 당시에는 중간지점이었던 서원(西院, 지금의 경마장 서쪽 인근)에서 우편물 등을 주고 받는 행정도로의 역할을 하였으며, 제주시 관덕정에서 시작해 제주향교, 오라정, 월랑동, 정존동, 월산, 광령, 서원, 동광을 거쳐 인성리 대정골까지 길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길을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이 제주도를 병참기지화 시키면서 전쟁 물자 및 무기 수송과 일본군 이동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보수하여 군사용 도로로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1938년 12월 1일 전라남도 고시 216호에 의해 이 길이 지방도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1947년 제주 4·3 사건이 발생해 이 길이 위치한 중산간 지역이 작전구역화 되면서 1949년에 통행이 금지되었다.

한국 전쟁이 끝난 후인 1967년부터 중산간지역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는데, 1971년에 한라승마장 인근 구간 약 2km에 대해서 노면 정비가 이루어졌으며, 1981년 2월에 7호 광장 ~ 무수천 구간(7.2km)이 도로 확장 공사에 들어가 11월 7일에 완공되었다. 1982년에는 무수천 ~ 원동간 11km 구간, 1984년에는 원동 ~ 동광육거리 9km 구간을 개설해 1985년에 완공하였다. 이 때 제2차 IBRD 차관 사업으로 받은 금액이 이 도로 공사에 투입되었으며, 당시 투입 금액은 약 54억원이었다. 그리고 1983년 4월 전두환 대통령이 제주도 지역을 순시하면서 제주국제공항과 중문관광단지를 잇는 고속화도로의 필요하다고 하여 동광육거리에서 중문관광단지까지 약 40km 구간에 대한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도로는 1986년 2월에 완공되었다.

이 도로가 개설되면서 제주에서 대정까지 차량으로 이동할 때 약 1시간 걸리던 것이 약 40분대로 감소했으며, 제주국제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까지 도로가 개설되면서 제주국제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까지 약 30분만에 주파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문에 급경사와 급커브 구간이 많은 5·16도로(구 국도 제11호선), 1100도로(구 국도 제99호선)를 이용하던 차량이 이 지방도를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했고, 이 덕분에 2001년 8월 25일에 국도 제95호선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개설 당시 왕복 2차선으로 개설되었던 이 도로는 통행량이 급격하게 증가해 상습 정체를 일으키게 되었다. 1996년 제주지방국토관리청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1,528억원을 투입하여 왕복 4차선으로 도로를 확장하는 공사를 벌여 2002년 3월에 완공되었다.[3]

이후 국도로 유지되고 있다가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에 의해 2008년 11월 17일 부로 지방도 제1135호선으로 격하되었다.

Remove ads

연혁

  • 1938년 12월 1일 : 지방도 지정[4]
  • 1990년 8월 22일 : 도로명을 서부산업도로로 지정[5]
  • 1996년 7월 19일 :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 북제주군 애월읍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95호선으로 지정[6]
  • 2001년 3월 14일 : 도로 명칭을 '서부산업도로'에서 서부관광도로로 변경[7]
  • 2001년 8월 25일: 국도 제95호선으로 승격[8][9]
  • 2006년 9월 22일 : 도로 명칭을 서부관광도로에서 평화로로 변경[10]
  • 2007년 1월 26일 : 지방도 제1135호 서귀포 ~ 제주선 (평화로) 노선 지정[11]
  • 2008년 11월 17일: 국도 제95호선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251조 제3항에 의해서 지방도 제1135호선 (평화로)으로 격하[12]
Remove ads

주요 경유지

노선

이 도로는 고속화도로로 건설된 도로이기 때문에 교차로에 번호가 매겨져 있다. 그러나 자동차 전용도로로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

자세한 정보 번호, 이름 ...
Remove ads

도로명

전 구간 평화로로 명명되어 있다.

종전의 도로명은 "서부산업도로"였다가 "서부관광도로"로 바뀌었고 이후 현재의 명칭인 "평화로"로 바뀌었다.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