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지방도 제914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지방도 제914호선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괴정리 도청신도시 나들목과 영덕군 영덕읍 덕곡 교차로를 잇는 경상북도의 지방도이다.


남안동 나들목을 통해 중앙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주왕산을 가려면 이 지방도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등산객이 이 도로를 많이 이용한다. 그래서 이 지방도가 주왕산 근처를 지날 때 도로명은 "주왕산로"로 명명되어 있다.
경상북도청이 안동, 예천으로 이전함에 따라 신도시 개발계획에 맞춰 914번 지방도를 기존의 도양리에서 풍천면 갈전리, 하회리, 가곡리 및 풍산읍 오미리, 괴정리로 연장하는 공사가 진행 중에 있다.[1][2] 이 도로는 2015년 10월 16일에 개통했다.
Remove ads
연혁
- 2003년 2월 20일: 기점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서 안동시 풍천면 도장리로, 종점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에서 강구면 삼사리로 52.6km 구간 연장. 이에 따라 '의성 ~ 달산선'에서 '풍천 ~ 강구선'이 됨.[3]
- 2008년 3월 31일: 광덕교(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1.837km 구간 재가설 개통, 기존 2.013km 구간 폐지[4]
- 2012년 2월 23일: 운산 ~ 조탑간 도로(안동시 일직면 운산리 ~ 조탑리) 3.08km 구간 개통[5]
- 2012년 8월 6일: 도청신도신 진입도로 개설에 따라 기점을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에서 풍산읍 괴정리로 6.69km 연장. 이에 따라 '풍천 ~ 강구선'에서 '풍산 ~ 강구선'이 됨.[6]
- 2015년 10월 16일: 경북도청 신도시 안동방면 진입도로(안동시 풍산읍 괴정리 ~ 풍천면 하회리) 5.09km 구간 개통[7]
- 2017년 12월 7일: 한티재(의성군 의성읍 중리리 ~ 점곡면 명고리) 880m 구간 개통, 기존 1.3km 구간 폐지[8]
- 2018년 6월 4일: 중리도로(의성군 의성읍 중리리) 1.4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1.0km 구간 폐지[9]
- 2018년 11월 15일: 노선 변경으로 총 연장이 158.0km에서 145.2km로 단축.[10]
- 2021년 12월 6일: 종점을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에서 영덕읍 우곡리로 변경. 이에 따라 노선명을 '풍천 ~ 강구선'에서 '풍천 ~ 영덕선'으로 변경 및 총 연장을 158.39km에서 151.9km로 변경함.[11][12]
Remove ads
주요 경유지
- 안동시
- 길안면 성황고개 - 현하리 - 현하교 - 현곡교 - 신기교 - 삽실교 - 길안사거리 - 길안시외버스터미널 - 길안면 행정복지센터 - 천지교 - 천지리 - 구수교 - 구수리 - 배방리
Remove ads
중복 구간
도로명
- 안동시 풍산읍 도청신도시 나들목(도청교) ~ 풍천면 신도시 교차로: 도청대로
- 안동시 풍천면 신도시 교차로 ~ 하회 교차로: 가곡로
- 안동시 풍천면 하회 교차로 ~ 도양삼거리: 지풍로
- 안동시 풍천면 도양삼거리 ~ 일직면 운산 교차로: 풍일로
- 안동시 일직면 운산 교차로 ~ 의성군 의성읍 원당삼거리: 경북대로
- 의성군 의성읍 원당삼거리 ~ 중리삼거리: 홍술로
- 의성군 의성읍 중리삼거리 ~ 안동시 길안면 길안사거리: 의성길안로
- 안동시 길안면 길안사거리 ~ 길안면행정복지센터: 천지길
- 안동시 길안면 길안면행정복지센터 ~ 청송군 청송읍 월막교 남단: 길안청송로
- 청송군 청송읍 월막교 남단 ~ 청송문화원: 현충로
- 청송군 청송읍 청송문화원 ~ 금곡육교: 금월로
- 청송군 청송읍 금곡육교 ~ 청운삼거리: 청송로
- 청송군 청송읍 청운삼거리 ~ 영덕군 달산면 대지삼거리: 주왕산로
- 영덕군 달산면 대지삼거리 ~ 흥기교 동단: 팔각산로
- 영덕군 달산면 흥기교 동단 ~ 강구면 삼사삼거리 : 강산로
- 영덕군 강구면 삼사삼거리 ~ 강구 교차로 : 동해대로
- 영덕군 강구면 강구 교차로 ~ 하저삼거리 : 영덕대게로
- 영덕군 강구면 하저삼거리 ~ 영덕읍 덕곡 교차로: 하저길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