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카리오신트립스
캄브리아기 방사치류의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카리오신트립스(학명: Caryosyntrips , →호두까기)는 캄브리아기 중기 캐나다, 미국, 스페인에서 발견된 절지동물의 멸종한 속이다.[2] 2010년 앨리슨 C. 데일리(Allison C. Daley)와 그레이엄 E. 버드(Graham E. Budd)에 의해 카리오신트립스 세라투스(Caryosyntrips serratus)가 모식종으로 처음 명명되었다.[3]
Remove ads
어원
속명 카리오신트립스(Caryosyntrips)는 그리스어로 '견과류'를 뜻하는 '카리온(karyon)'과, '부수는 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신화의 도자기 정령(고대 그리스어: Δαίμονες Κεραμικοί 다이모네스 케라미코이[*]) 중의 하나인 신트립스(고대 그리스어: Σύντριψ)에서 유래했다.[3]
발견
대부분의 종이 캐나다의 버지스 셰일, 미국의 휠러 셰일과 마줌층, 스페인의 발데미데스층에서 발견되었다.[2][4] 후자에는 처음에 엽족동물(학명: Mureropodia apae 무레로포디아 아파이[*])의 몸체 잔해로 잘못 동정된 대형 표본이 포함되어 있다.[1][2][5][6] 무레로포디아(Mureropodia)의 잘못된 부속지 배치로 논란이 생겼지만,[7] 이전 엽족동물과의 친연성은 해당 화석이 카리오신트립스의 부속지인 것보다 설득력이 더 떨어졌다.[6]
생김새
- C. serratus의 전방부속지 화석
- C. camurus의 전방부속지 화석
- C. durus의 전방부속지 화석
- C. cf. camurus (=Mureropodia apae)의 전방부속지 화석
- C. cf. camarus (=Mureropodia apae)의 디지털 개선 이미지
- C. camurus가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포획 동작
- 방사치목으로 해석된 다양한 카리오신트립스 표본의 크기[6]
카리오신트립스는 14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전방부속지만이 밝혀져 있으며, 이 전방부속지는 호두까기처럼 생겼고, 안쪽돌기(밑가시)가 달린 가장자리부가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종 모양의 기부는 동물의 머리와 연결된 가동되는 관절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다.[2] 안쪽돌기, 끝가시, 체절 경계부 및 바깥 가장자리의 세밀 부위는 종마다 다르다.[2] 카리오신트립스는 전방부속지를 가위처럼 잡거나 자르는 동작에 사용하여 단단한 껍질을 가진 생물을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 이 밖에 다른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한 쌍의 부속지를 가진 표본의 경우 다른 단편적인 머리경판도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3][4]
카리오신트립스의 크기는 종마다 다르다. 가장 큰 종은 C. serratus로, 길이는 약 20.5~30.2cm로 추정된다. 다른 종들은 훨씬 작아서, C. camurus와 C. durus의 경우 몸길이는 각각 13.7~20.2cm와 12.2~17.9cm로 추정된다. 가장 큰 표본(MPZ 2009/1241)은 C. cf. camurus로 동정되며, 길이는 36.7~54cm인 개체에 속했을 것이다.[8]
분류 유연 관계
2010년대에 카리오신트립스는 오랫동안 불확실한 위치의 기저 방사치목으로 간주되었으며, 보통 진절지동물과 방사치목 계통 사이의 다분할류로 풀이되었다.[9][10][11][6][12][13] 그러나 최근 논문들에 따르면 카리오신트립스는 단계통군인 방사치목의 바깥에 위치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13][14] 전방부속지의 특이한 형태와 발견된 잔여물의 제한적인 범위 때문에 절지동물 줄기군 내에서의 위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2][14]
범절지동물 |
| |||||||||||||||||||||||||||||||||
Panarthropoda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