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케트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케트어(Ket)는 시베리아에서 사용되는 한 토착어로, 오랫동안 고립어로 여겨졌던 예니세이어족의 유일한 현존 언어이다. 이 언어는 예니세이강 중류 유역을 따라 사는 케트인에 의해 사용된다. 과거에는 예니세이 오스탸크어(Yenisei Ostyak)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언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원어민인 케트족의 수가 1926년 1,225명에서 1989년 537명으로 줄어들었다. 언어학자들의 최신 보고에 따르면, 화자 수는 현재 30명 미만으로 떨어졌다.[2] 2005년 인구 조사에서는 485명의 원어민이 보고되었지만, 이 숫자는 부풀려진 것으로 의심된다.[3] 한 지역 언론 출처에 따르면, 남아있는 케트어 화자의 수는 10명에서 20명 정도이다.[4] 또 다른 예니세이어족 언어인 유그어는 1970년대에 사멸하였다.[5][6]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문서화
이 언어에 대한 최초의 관찰은 페터 지몬 팔라스가 1788년 여행 일지(Путешествия по разным провинциям Русского Государства)에 발표했다. 마티아스 카스트렌(Matthias Castrén)은 코트어를 탐구한 마지막 인물 중 하나였다. 카스트렌은 칸강 옆에서 코트족 5명과 함께 생활했는데, 이들은 코트어를 구사하는 최후의 사람들이었다고 여겨진다.[7] 1858년에 카스트렌은 자료를 포함한 코트어 최초의 문법서와 사전(Versuch einer jenissei-ostjakischen und Kottischen Sprachlehre)을 출판했다. 19세기에 케트족은 핀우고르 계통의 한티족의 한 부족이라고 오인되었다. 1934년 A. Karger가 최초의 문법서(Кетский язык)와 케트어 초급서(Букварь на кетском языке)를 출판했으며, 1968년에는 A. Kreinovich가 새로운 저술을 발표했다.
쇠퇴와 현재 사용
케트족은 1930년대에 집산화의 대상이 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증언자들의 회고에 따르면 이들은 러시아어만 사용하는 기숙학교로 보내졌고, 이는 세대 간의 언어 전승이 중단되는 결과를 초래했다.[8] 현재 케트어는 일부 초등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쳐지고 있지만, 유창한 화자는 나이든 성인들 뿐이며 자녀에게 이 언어를 가르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러시아의 켈로그(Келлог, Kellog)는 케트어가 여전히 학교에서 교육되는 유일한 마을이다. 2학년부터 4학년까지는 특별 서적이 제공되지만, 그 이후 학년에서는 케트 문화를 설명하는 러시아어 글만 읽을 수 있다.[9] 2006년 현재 알려진 단일 언어 화자는 없다.[10]
현재 켈로그(Kellog), 수르구티하(Surgutikha), 마두이카(Maduika) 이렇게 세 지역만이 케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를 유지하고 있다. 세르코보(Serkovo)와 파쿨리하(Pakulikha) 같은 다른 마을들은 20세기 후반 소련 정부에 의해 훼파되었고, 지역의 케트족 주민들은 인근 도시로 흩어졌다.[11]
Remove ads
방언
케트어에는 남부(Upper Imbat), 중부, 북부(총칭하여 Lower Imbat)의 세 가지 방언이 있다. 모든 방언은 서로 아주 유사하며, 서로 다른 집단 출신의 케트족끼리는 서로 이해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인 남부 방언이 케트어 표준 문어의 기반이 되었다.[12]
현존하는 3개의 케트족 다수 지역은 각기 다른 방언을 모어로 사용한다. 남부 케트어는 켈로그에서, 중부 케트어는 수르구티하에서, 북부 케트어는 마두이카에서 사용된다.[11]
음운론
요약
관점
모음
자음
바이다는 케트어에 단 12개의 자음 음소만 있다고 분석한다:
이 언어는 아라파호어, 골리아트어, 오보쿠이타이어, 팔라우어, 에픽어, 그리고 고전 아랍어와 일부 현대 아랍어 방언처럼 /p/와 /ɡ/가 모두 없는 몇 안 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14]
다양한 이음 현상이 있으며, 자음의 음성 목록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다. 이는 케트어 알파벳에 반영된 기술 수준이다.
또한 케트어의 모든 비음은 성문음화되거나 하강하는 강세를 가진 단음절어의 끝에서 무성 이음이 있다(예: [m, n, ŋ]은 [m̥, n̥, ŋ̥]로 변한다). 마찬가지로, [ɮ]는 같은 상황에서 [ɬ]가 된다. 치경음은 종종 설단음으로 발음되며, 구개수음 근처가 아닐 때는 구개음화될 수도 있다. /q/는 일반적으로 파찰음화되어 [𐞥χ]로 발음된다.
성조
케트어의 성조에 대한 설명은 대조적인 성조의 수에 관해 큰 차이가 있는데, 8개에서 0개까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이처럼 의견이 크게 엇갈리기 때문에 케트어가 성조 언어인지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15] 케트어 전문가인 에드워드 바이다(Edward Vajda)와 스테판 게오르크(Stefan Georg)의 최근 연구는 성조의 존재를 옹호한다.[16]
성조에 대한 보고들에 따르면 케트어는 모든 음절에 성조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단어당 하나의 성조를 사용한다. 남부 케트어에 대한 바이다의 설명에 따르면, 다섯 가지 기본 성조는 다음과 같다:[17]
성문화 성조는 인두 또는 후두 수축, 또는 모음을 끊는 완전한 성문 파열음을 특징으로 한다.
게오르크의 2007년 케트어 성조 설명은 위와 유사하지만, 기본 음소의 수를 4개로 줄이고, 상승 고하강 성조와 그 변형을 다음절어에서만 발견되는 음소류로 옮겼다. 특정 접두사나 접어에 의해 발생하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다음절어의 성조 영역은 처음 두 음절로 제한된다.[18]
정서법
1930년대에 로마자 기반 알파벳에 기반한 로마자 표기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19]
| A a | Ā ā | Æ æ | B ʙ | C c | D d | E e | Ē ē |
| Ə ə | F f | G g | H h | Ꜧ ꜧ | I i | Ī ī | J j |
| K k | L l | Ļ ļ | M m | N n | Ņ ņ | Ŋ ŋ | O o |
| Ō ō | P p | Q q | R r | S s | Ş ş | T t | U u |
| Ū ū | V v | Z z | Ƶ ƶ | Ь ь |
1980년대에 키릴 문자에 기반한 새로운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Ӷ ӷ | Д д | Е е | Ё ё |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К к | Ӄ ӄ | Л л | М м |
| Н н | Ӈ ӈ | О о | Ө ө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 У у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 Ә ә | Ы ы | Ь ь | ʼ | Э э | Ю ю | Я я |
Remove ads
형태론
요약
관점
명사는 기본적인 주격(주어와 직접목적어)에 더하여 공간 관계를 위한 부수적 격 체계를 가진다. 세 가지 명사 부류는 남성, 여성, 무생물이다.
시베리아의 인접 언어들과 달리, 케트어는 동사의 접두사를 사용한다. 케트어는 d-로 시작하는 것과 b-로 시작하는 두 가지 동사 변화형을 가진다. 자동사의 2인칭 단수 접두사는 [ku-, ɡu-]이다.
케트어에서는 병합(incorporation)의 사용이 눈에 띈다. 병합은 명사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동사, 부사, 형용사, 그리고 병합 요소의 역할로만 발견되는 결합 형태소도 포함할 수 있다. 병합은 또한 어휘화된 과정(동사와 병합된 요소의 조합이 독립적인 어휘 요소로 취급되며, 의미는 종종 병합된 요소를 중심으로 형성됨)과, 특정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효과를 위해 자발적으로 수행되는 패러다임적 과정으로 발생한다.[20] 병합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명사 병합, 주로 행동의 도구적 부분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때로는 수동자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도구적 병합은 동사의 타동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이러한 형태의 병합이 행위자 없는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예외도 있음), 수동자 병합은 타동사를 자동사로 만들 수 있다. 수동자 병합은 일반적으로 행동에 의해 완전히 영향을 받는 수동자(예: 행동에 의해 존재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더 일반적으로 영향을 받는 수동자는 의미적으로 초점이 약해지거나 배경으로 밀려날 때만 병합된다.[21]
- 동사 병합, 특히 동사 부정사 (어근이 아닌)를 동사 복합체로 병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 형태의 병합은 상을 나타내고 사동사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병합된 부정사는 자체적으로 병합된 요소를 동사에 가져올 수도 있다.[22]
- 형용사 병합, 병합된 형용사가 행동의 목표 또는 최종 상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3]
- 부사 병합, 국소 부사가 움직임의 방향이나 경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24] 케트어는 종합어로 분류된다. 동사는 접두사를 사용하며, 접미사는 드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합은 잘 발달되어 있다.
형태소 간의 구분은 융합에 기반한다. 연음 또한 흔하다.[25] 기본 어순은 SOV형(주어-목적어-동사)이다.[26] 명사의 표시는 에자페(Ezāfe) 유형인데, 서술어에서도 동일하다.
수
케트어에는 단수와 복수라는 두 가지 문법적 수가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복수 접미사인 -n (개별화된 복수) 또는 -ŋ (집합 복수)의 유무로 표현된다. 옛 단수 접미사 -s는 특정 단수 형태에 존재하지만, 예컨대 어간 tɨˀs '돌' > təˀŋ '돌들'처럼 사용된다. 일부 형태 분류 접미사가 발달했으며 약간 생산적이다.[27]
명사 격변화
Remove ads
어휘
차용어
케트어는 러시아어에서 온 많은 차용어를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mora '바다'와 같은 단어가 있다. 또한 셀쿠프어 등 다른 언어에서 온 차용어도 있으며, 예를 들어 qopta '황소'는 셀쿠프어 qobda에서 유래했다. 케트어에는 몽골어 단어도 일부 있는데, 예를 들어 saˀj '차'는 몽골어 tsaj에서 유래했다. 에벤크어에서도 온 단어가 있는데, 예를 들어 saˀl '담배'는 아마도 에벤크어 sâr '담배'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28]
예시 텍스트
문장 예시
- bu du-taRɔt '그는 눕는다/잔다';
- ətn en dʌŋ-ɔtn '우리는 이미 걷고 있다';
- bu ətn d-il'-daŋ-s' '그는 우리를 끌어들였다'.
Remove ads
각주
참고 문헌
더 읽어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