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값 정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미적분학에서 평균값 정리(平均-定理, 영어: mean value theorem, 약자 MVT)는 미분 가능 함수의 그래프의 할선과 평행하는 접선이 존재한다는 정리다.[1] 롤의 정리로부터 유도되며, 테일러 정리를 비롯한 많은 확장이 존재한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증명하는 데 쓰이며, 극값 · 고계 도함수 · 볼록 함수 · 역함수의 취급에도 응용된다.

정의
요약
관점
롤의 정리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이며, 또한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인 가 존재한다. 이를 롤의 정리라고 한다.
평균값 정리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2]
이를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평균값 정리에 따라, 충분히 매끄러운 함수의 그래프 에 대하여, 양 끝점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는 그래프의 접선이 존재한다. 롤의 정리는 평균값 정리에서 인 특수한 경우이다.
코시 평균값 정리

연속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 함수라고 하자. 또한, 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이를 코시 평균값 정리(영어: Cauchy's mean value theorem) 또는 확장 평균값 정리(영어: extended mean value theorem)라고 한다. 기하학적으로, 코시 평균값 정리에 따르면, 충분히 매끄러운 단순 곡선 이 임계점을 갖지 않는다면, 두 끝점을 잇는 직선과 평행하는 접선을 갖는다. 평균값 정리는 코시 평균값 정리에서 인 특수한 경우이다. 곡선이 임계점을 가질 수 있다면 반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곡선
의 양 끝점 , 을 지나는 직선은 수평선이지만, 수평 접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행렬식 평균값 정리
함수 가 에서 연속 함수, 에서 미분 가능 함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코시 평균값 정리는 여기서 을 취한 특수한 경우이다.
증명:
다변수 함수의 경우
임의의 볼록 열린집합 및 미분 가능 함수 및 점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일변수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는 여기서 을 취한 특수한 경우이다.
증명:
적분 평균값 정리
요약
관점
제1 적분 평균값 정리
임의의 연속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의 그래프와 x축 사이의 영역의 넓이는 그래프의 한 점을 지나는 직선과 x축 사이의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다.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연속 함수 및 리만 적분 가능 함수 (또는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이를 제1 적분 평균값 정리(영어: first mean value theorem for integrals)라고 한다. 의 존재는 중간값 정리을 사용하여 쉽게 보일 수 있다. 가 연속 함수라고 가정하면 의 존재 역시 미적분학만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이 없는 경우 약간의 실해석학이 필요하다.
제2 적분 평균값 정리
제2 적분 평균값 정리(영어: second mean value theorem for integrals)에 따르면, 다음 세 명제가 성립한다.
- 임의의 증가함수 및 리만 적분 가능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감소함수 및 리만 적분 가능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 임의의 단조함수 및 리만 적분 가능 함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첫 번째·두 번째 명제는 가 음이 아닌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세 번째 명제에서, 는 부호가 변화하는 함수일 수 있으며, 증가함수일 수도 감소함수일 수도 있다. 세 명제 모두 에 대해서는 리만 적분 가능성밖에 가정하지 않는다. 제2 적분 평균값 정리의 증명 역시 중간값 정리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분 값의 상계와 하계를 주는 부등식을 증명해야 하는데, 만약 가 음이 아닌 실수 값을 갖는다면 이는 자명하다. 만약 의 연속성과 의 1차 연속 미분 가능성을 가정하면, 부분 적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는 더 복잡하며, 리만 적분을 유한합의 극한으로 전개한 뒤 아벨 변환을 가한다.
증명:
임의의 감소함수 에 대하여, , 는 증가함수이다. 임의의 증가함수 에 대하여, , 는 증가함수이며, 음이 아닌 값을 갖는다. 임의의 감소함수 에 대하여, , 는 감소함수이며, 음이 아닌 값을 갖는다. 따라서, 첫 번째 명제를 증명하는 것으로 족하다.
증가함수 및 리만 적분 가능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역시 리만 적분 가능하며, 는 유계 함수이다. 따라서, 임의의 구간 분할
에 대하여,
이다. (여기서
는 리만 상적분·리만 하적분이다. 는 리만 적분 가능하므로 상적분과 하적분이 같다.)
라고 하자. 제1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에 의하여, 는 연속 함수다.
라고 하자. 이제, 아벨 변환을 통하여 적분의 상계와 하계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중간값 정리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복소 적분 형태
복소평면 상에서 어떤 점 을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 인 원 내에서 정칙인 함수 에 대하여,
- 가 성립한다. 이것을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증명:
코시의 적분공식에서 폐곡선을 원으로 취하면 즉시 얻을 수 있다.
일 때, 양변에 실수부를 취한 다음 형태는 조화함수에 대한 가우스의 평균값 정리라고 한다.
응용
요약
관점
다음은 평균값 정리로부터 간단히 유도되는 몇 가지 명제들이다.
- 구간 에 정의된 실수값함수 가 만약 에서 연속, 의 내부에서 미분 가능하며 항상 이라면, 는 에서 상수함수이다.
- 가 만약 에서 연속, 내부에선 항상 라면, 는 에서 상수 차이이다.
- 가 만약 에서 연속, 내부에선 항상 이라면, 는 에서 단조증가한다.
이들의 증명은 서로 비슷하다. 다음은 첫 번째 명제의 증명이다. 내부의 임의의 두 점 에 대해, 는 에서 평균값 정리의 전제를 만족한다. 따라서 다음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즉 . 이로써 는 내부에서 상수이다. 연속성에 의해 전체에서 상수다.
역사
이 정리의 최초의 입안자는 인도의 바타세리 파라메슈바라(Vatasseri Parameshvara)로 기록되어 있으며[3] 처음으로 공식화한 사람은 오귀스탱 루이 코시이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