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집합과 교집합
같은 원순서 집합 속의 두 필터의 합집합이나 교집합은 일반적으로 필터가 아니며, 순서 아이디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다만, 원순서 집합  속의 필터들의 사슬
 속의 필터들의 사슬  에 대하여, 합집합
에 대하여, 합집합  은 필터를 이룬다. 그러나 교집합
은 필터를 이룬다. 그러나 교집합  는 여전히 필터가 아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순서 아이디얼들의 사슬의 합집합은 순서 아이디얼이지만, 교집합은 순서 아이디얼이 아닐 수 있다.
는 여전히 필터가 아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순서 아이디얼들의 사슬의 합집합은 순서 아이디얼이지만, 교집합은 순서 아이디얼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수 집합  에 서로 비교 불가능한 두 개의 무한대
에 서로 비교 불가능한 두 개의 무한대  ,
,  를 추가하였을 때,
를 추가하였을 때,
 
는 필터이지만,
 
는 하향 원순서 집합이 아니므로 필터가 아니다.
격자
격자  의 부분 집합
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순서 아이디얼이다. 는 순서 아이디얼이다.
- 다음 세 조건이 성립한다.
- 공집합이 아니다.
 에 대하여 에 대하여 이다. 이다.
 및 및 에 대하여 에 대하여 이다. 이다.
 
 인 이음 반격자 준동형 인 이음 반격자 준동형 가 존재한다. 가 존재한다.
격자  의 부분 집합
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필터이다. 는 필터이다.
- 다음 세 조건이 성립한다.
- 공집합이 아니다.
 에 대하여 에 대하여 이다. 이다.
 및 및 에 대하여 에 대하여 이다. 이다.
 
 인 만남 반격자 준동형 인 만남 반격자 준동형 가 존재한다. 가 존재한다.
격자  의 부분 집합
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는 소 순서 아이디얼이다. 는 소 순서 아이디얼이다.
 는 소 필터이다. 는 소 필터이다.
 인 격자 준동형 인 격자 준동형 가 존재한다. 가 존재한다.
필터 격자와 순서 아이디얼 격자
일반적인 격자의 순서 아이디얼/필터들의 부분 순서 집합은 격자일 필요가 없다. 순서 아이디얼들/필터들의 교집합이 공집합일 수 있기 때문이다. 유계 이음 반격자  의 순서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의 순서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은 대수적 격자를 이룬다. (이는 모든 순서 아이디얼은 그 속의 주 순서 아이디얼들의 상한이며, 모든 주 순서 아이디얼은 순서 아이디얼 격자의 콤팩트 원소이기 때문이다.) 순서 아이디얼들의 집합
은 대수적 격자를 이룬다. (이는 모든 순서 아이디얼은 그 속의 주 순서 아이디얼들의 상한이며, 모든 주 순서 아이디얼은 순서 아이디얼 격자의 콤팩트 원소이기 때문이다.) 순서 아이디얼들의 집합  의 상한과 하한은 다음과 같다.
의 상한과 하한은 다음과 같다.
 
 
쌍대적으로, 유계 만남 반격자  의 필터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의 필터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은 대수적 격자를 이룬다. (이는 모든 필터는 그 속의 주 필터들의 상한이며, 모든 주 필터는 필터 격자의 콤팩트 원소이기 때문이다.) 필터들의 집합
은 대수적 격자를 이룬다. (이는 모든 필터는 그 속의 주 필터들의 상한이며, 모든 주 필터는 필터 격자의 콤팩트 원소이기 때문이다.) 필터들의 집합  의 상한과 하한은 다음과 같다.
의 상한과 하한은 다음과 같다.
 
 
반대로 모든 대수적 격자는 어떤 유계 이음 반격자의 순서 아이디얼 격자와 동형이며, 마찬가지로 어떤 유계 만남 반격자의 필터 격자와 동형이다.[1]:53, Theorem 42
격자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11, Corollary 104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11, Corollary 104
- 순서 아이디얼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은 분배 격자이다. 은 분배 격자이다.
- 필터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은 분배 격자이다. 은 분배 격자이다.
 은 분배 격자이다. 은 분배 격자이다.
볼록 부분 격자
원순서 집합  의 부분 집합
의 부분 집합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순서) 볼록 집합(영어: (order) convex set)이라고 한다.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순서) 볼록 집합(영어: (order) convex set)이라고 한다.
- 임의의  및 및 에 대하여, 만약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라면, 
격자  의 순서 아이디얼
의 순서 아이디얼  와 필터
와 필터  의 교집합
의 교집합  는 항상
는 항상  의 볼록 부분 격자이다. 반대로, 모든 공집합이 아닌 볼록 부분 격자는 순서 아이디얼과 필터의 교집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1]:34, Lemma 9
의 볼록 부분 격자이다. 반대로, 모든 공집합이 아닌 볼록 부분 격자는 순서 아이디얼과 필터의 교집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1]:34, Lemma 9
격자  의 순서 아이디얼
의 순서 아이디얼  와 필터
와 필터  가 주어졌다고 하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와
와  가 부분 격자이므로, 교집합 역시 부분 격자이다.
가 부분 격자이므로, 교집합 역시 부분 격자이다.  및
 및  이 주어졌고,
이 주어졌고,  라고 하자. 그렇다면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가 하집합이므로
가 하집합이므로  이며,
이며,  가 상집합이므로
가 상집합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따라서,  는
는  의 볼록 부분 격자이다.
의 볼록 부분 격자이다.
반대로,  의 볼록 부분 격자
의 볼록 부분 격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상향 집합이자 하향 집합이다.
는 상향 집합이자 하향 집합이다.  를 포함하는 최소의 순서 아이디얼
를 포함하는 최소의 순서 아이디얼  및 필터
 및 필터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자명하게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자명하게  이다. 또한,
이다. 또한,  가 볼록 부분 격자이므로
가 볼록 부분 격자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따라서  는 순서 아이디얼
는 순서 아이디얼  와 필터
와 필터  의 교집합이다.
의 교집합이다.
이제,  의 볼록 부분 격자
의 볼록 부분 격자  가 순서 아이디얼
가 순서 아이디얼  와 필터
와 필터  의 교집합이라고 하자. 쌍대성에 따라,
의 교집합이라고 하자. 쌍대성에 따라,  를 보이면 족하다.
를 보이면 족하다.  이므로
이므로  이다. 반대로
이다. 반대로  라고 하자. 임의의
라고 하자. 임의의  를 취하자. 그렇다면,
를 취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이므로  이며,
이며,  이므로
이므로  이다. 즉,
이다. 즉,  이다.
이다.  이므로,
이므로,  이다.
이다.
  
불 대수
불 대수  는 다음과 같이 표준적으로 가환환으로 여길 수 있다.
는 다음과 같이 표준적으로 가환환으로 여길 수 있다.
 
 
또한, 불 대수  는 다음과 같이 표준적으로 부분 순서 집합으로 여길 수 있다.
는 다음과 같이 표준적으로 부분 순서 집합으로 여길 수 있다.
 
그렇다면,  의 순서 아이디얼의 개념은 가환환으로서의 아이디얼의 개념과 일치한다.
의 순서 아이디얼의 개념은 가환환으로서의 아이디얼의 개념과 일치한다.
불 대수  위의 필터
 위의 필터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는 극대 필터이다. 는 극대 필터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에 대하여, 이거나 이거나 이다. 이다.
 는 극대 순서 아이디얼이다. 는 극대 순서 아이디얼이다.
그물의 유도 필터
집합  와 상향 원순서 집합
와 상향 원순서 집합  및 그물
 및 그물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꼬리들의 집합
의 꼬리들의 집합
 
은 하향 원순서 집합을 이루며, 이로부터 생성되는 필터
 
를 그물  의 유도 필터(영어: derived filter)라고 한다.
의 유도 필터(영어: derived filter)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집합  와 하향 원순서 집합
와 하향 원순서 집합  및 함수
 및 함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머리들의 집합
의 머리들의 집합
 
은 상향 원순서 집합을 이루며, 이로부터 생성되는 아이디얼
 
를  의 유도 순서 아이디얼(영어: derived order ideal)라고 한다.
의 유도 순서 아이디얼(영어: derived order ideal)라고 한다.
수열은 그물의 특수한 경우이므로, 마찬가지로 유도 필터를 정의할 수 있다.
필터에 대응되는 그물
모든 그물에 필터가 대응되는 것처럼, 모든 필터에도 그물을 대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상 수학에서 그물 이론과 필터 이론은 사실상 동치이다.[2]
집합  의 멱집합
의 멱집합  의 부분 집합
의 부분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집합
 
에 다음과 같은 원순서를 줄 수 있다.
 
만약  가 상향 원순서 집합이며
가 상향 원순서 집합이며  이라면
이라면  역시 상향 원순서 집합이며,
 역시 상향 원순서 집합이며,
 
 
는 그물을 이룬다.
반대로,  가 하향 원순서 집합이며
가 하향 원순서 집합이며  라면
라면  역시 하향 원순서 집합이며,
 역시 하향 원순서 집합이며,
 
 
는 그물을 이룬다.
멱집합 위의 필터
집합  의 멱집합
의 멱집합  위의 필터
 위의 필터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는 극대 필터이다. 는 극대 필터이다.
 이며, 임의의 이며,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에 대하여, 만약 라면 라면 이거나 이거나 이다. 이다.
 이며, 임의의 이며, 임의의 에 대하여, 에 대하여, 이거나 이거나 이다. 이다.
따라서, 집합  의 멱집합
의 멱집합  위의 극대 필터
 위의 극대 필터  는 대략 "대부분"의 개념의 추상화로 여길 수 있다. 즉, 어떤 집합의 부분 집합
는 대략 "대부분"의 개념의 추상화로 여길 수 있다. 즉, 어떤 집합의 부분 집합  는 "대부분"이거나 (
는 "대부분"이거나 ( ), 아니면 그 여집합이 "대부분"이다 (
), 아니면 그 여집합이 "대부분"이다 ( ).
).
한원소 부분 집합에 대한 주 필터
 
는 극대 필터이다. 유한 집합의 멱집합 위의 극대 필터는 모두 위와 같은 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