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동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하동로(河東路)는 송나라때 설치된 중 하나로 지금의 다퉁시 이남 산시성일대를 통치했다. 북으로 요나라서경도와 맞대고 있었고 동으로 하북서로, 서로 영흥군로와 이웃하고 있었다. 3부 14주 81현을 두었다. 정강의 변으로 화북을 차지한 금나라는 하동북로와 하동남로로 분리했다.[1]

행정구역

요약
관점

태원부(太原府)

군명은 태원군으로 하동절도를 두었다. 979년(태평흥국 4년)에 유계원북한을 멸망시키고 태원성을 파괴했다. 파괴된 성을 대신해 유차현(楡次縣)에 치소를 옮기고 긴급주(緊)로 격하하고 군사를 두었다. 태원현을 폐하고 평정현과 낙평현을 통합해 평정군을 세웠다. 교성은 대통감(大通監)에 소속시켰다. 982년, 치소를 당명감(唐明監)으로 옮겼다. 과거 하동로경락안무사(河東路經略安撫使)를 두고 원풍연간에 차급부로 승격시켰다. 1107년(대관 원년) 대도독부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155,263호 1,241,768명이 살았다. 큰 구리거울(大銅鑒), 감초, 인삼, 반석(礬石)을 공납으로 바쳤다. 10개 속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융덕부(隆德府)

군명은 상당군으로 대도독부, 소의군절도를 두었다. 태평흥국초에는 소덕군을 두었다. 과거 하동로병마검할을 두었다. 오대십국시대 초에 주전충후량군이 이극용후당군을 포위한 곳이다. 1101년(건중정국 원년)에 노주(潞州)를 군으로 고치고 1104년(숭녕 3년)부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과거 두었던 소덕군절도를 다시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52,997호 133,146명이 살았다. 인삼, , 을 공납으로 바쳤다. 8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평양부(平陽府)

망급부로 군명은 평양군이다. 건웅군절도가 있었다. 1116년(정화 6년)에 진주(晉州)에서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75,908호 185,254명이 살았다. 꿀, 밀랍으로 만든 를 공납으로 바쳤다. 10현을 두었다. 연반무(煉礬務)와 반산무(礬山務)가 있다. 1113년(정화 3년) 조성현 부시봉(父始封)의 땅에 경조군(慶祚軍)을 설치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강주(絳州)

웅급주(雄)로 군명은 강군(絳君)이고 방어가 설치되었다. 숭녕연간에는 59,903호 94,237명이 살았다. 방풍나물, 밀랍으로 만든 초, 묵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공납으로 바쳤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택주(澤州)

상급주로 군명은 고평군이다. 숭녕연간에는 44,133호 91,852명이 살았다. 흰 석영, 우여량(禹餘糧), 인삼을 공납으로 바쳤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대주(代州)

상급주로 군명은 안문군이고 방어를 두었다. 경덕 2년, 당림현(唐林縣)을 폐하고 현치소가 있던 곳에 연변안무사(沿邊安撫司)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33,258호 159,857명이 살았다. 사향, 대껍질(靑), 푸른돌(碌)을 공납으로 바쳤다. 북쪽으로 요나라서경도와 바로 이웃하고 있었다. 4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흔주(忻州)

하급주로 군명은 정양군이다. 단련이 있었다. 숭녕연간에는 18,186호 42,232명이 살았다. 해옥사(解玉砂), 사향노루를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분주(汾州)

하급주로 군명은 서하군으로 군사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51,697호 185,698명이 살았다. 토시(土絁), 석고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요주(遼州)

하급주로 군명은 낙평군이다. 1074년에 주를 폐하고 평성현과 화순현을 진으로 격하해 요산현에 통폐합했다. 그리고 요산현을 평정군에 두었다. 유사현은 진으로 격하시켜 위승군의 무향현으로 통폐합했다. 원풍 원년에 주를 복구하고 현으로 격하된 진들을 내속시켰다. 1086년, 화순현, 유사현, 평성현을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7,315호가 살았다. 인삼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헌주(憲州)

중급주로 군사를 두었다. 처음엔 치소를 누번현(樓煩)에 두었다가 함평 5년에 치소를 정락군(靜樂)에 두면서 군을 폐했다. 누번현은 남주에 이관되었다. 1070년, 헌주를 폐하고 정락현을 남주에 예속시켰다가. 1077년에 주를 복구하고 정락현을 다시 두었다. 정화 5년에 분원군(汾源郡)이란 군명을 받았다. 숭녕연간에는 2,722호 7,444명이 살았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남주(嵐州)

하급주로 군사를 두었다. 태평흥국 5년, 남곡례현에 가남군(岢嵐軍)을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13,269호 66,224명이 살았다. 사향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석주(石州)

하급주로 군명은 창화군(昌化郡)이고 군사를 두었다. 남주, 석주, 현주를 관할하는 도순검사(都巡檢使)의 치소가 있었다. 원풍 5년, 가로채(葭蘆砦)와 오보채(吳堡砦)를 본주에 내속시키고 이 두채를 관할하는 연변순검사(沿邊都巡檢使)를 두었다. 이로 하여금 3주에 각각 연변순검사를 두게 되었다. 처음에 5현을 두었다가 1099년(원부 2년), 가로채(葭蘆砦)를 진녕군(晉寧軍)으로 독립시키고 주내의 임천현을 본군에 소속시켰다. 1109년(대관 3년), 정호현을 진녕군에 이관시켰다. 숭녕연간에는 15,809호 72,929명이 살았다. 꿀, 밀랍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습주(隰州)

하급주로 군명은 대녕군(大寧郡)이고 단련을 두었다. 1072년 자주가 폐지되자 문성현을 흡수한 길향현을 내속시켰다. 1086년, 자주를 복구했고 1092년, 상평관과 영녕관이 부치소에 서쪽 경계에 있어 주치소를 옮겼다. 숭녕연간에는 38,284호 138,439명이 살았다. 꿀, 밀랍을 공납으로 바쳤다. 6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급, 한자 ...

자주(慈州)

하급주로 단련을 두었다. 본래 길향현, 문성현, 향녕현의 3현을 두었다가 1072년 주를 폐하면서 길향현은 문성현을 흡수해 습주에 이관되었고 향녕현은 평양부에 이관되었다. 1086년, 길향군을 자주로 복구했다. 호구수는 알 수 없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인주(麟州)

하급주로 군명은 신진군(新秦郡)이다. 건덕 초에 주 치소를 오아보(吳兒堡)로 옮겼다. 967년에 건녕군절도를 설치했다. 단공 초에 진서군절도로 개명했다. 숭녕연간에는 3,482호 8,684명이 살았다. 시호를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부주(府州)

중급주로 정강군절도(靖康軍節度)가 있다. 1102년에 영안군(永安軍)에서 정강군으로 개명되었다. 1115년에 영하군(榮河郡)으로 승격되었다. 과거 인부로군마사(麟府路軍馬司)가 관할했다가 태원부대주로검할(太原府代州路鈐轄鈐轄)의 관할에 놓였다. 숭녕연간에는 1,242호 3,185명이 살았다. 감초를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풍주(豊州)

하급주로 경력 원년에 주를 정복하여 송나라의 땅으로 편입시켰고 1062년에 부주 나박천(蘿泊川)일대의 늪지가 있는 땅에 주를 설치했다. 후에 군사를 두었다. 1115년, 영풍군이란 군명을 받았다. 숭녕연간에는 153호 411명이 살았다. 감초와 시호를 공납으로 바쳤다. 영안채(永安砦)와 보녕채(保寧砦)의 2개의 채가 있다.

위승군(威勝軍)

하급주와 급이 같다. 978년, 노주 동제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군을 설치했다. 숭녕연간에는 19,962호 37,726명이 살았다. 토시(土絁)를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평정군(平定軍)

하급주와 군급이 같다. 977년, 진주(鎭州) 광양채(廣陽砦)에 군을 세웠다. 2년뒤에 병주 평정현과 낙평현을 본군에 내속시켰다. 숭녕연간에는 9,306호 28,607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2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가남군(岢嵐軍)

하급주와 군급이 같다. 980년, 남주 남곡현에 군을 분리신설했다. 숭녕연간에는 2,917호 6,720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영화군(寧化軍)

하급주와 급이 같다. 숭녕연간에는 1,718호 3,821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화산군(火山軍)

하급주와 급이 같다. 982년 남주에서 독립했다. 1067년(치평 4년), 화산현을 설치했다가 1071년에 폐지했다. 숭녕연간에는 5,045호 9,480명이 살았다. 시호를 공납으로 바쳤다. 1채가 있었다.

자세한 정보 채명, 한자 ...

보덕군(保德軍)

하급주와 급이 같다. 지금의 신저우시 바오더현에 있었다. 993년에 남주에서 정강군(定羌軍)을 신설했다. 1004년(경덕 원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숭녕연간에는 963호 4,050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2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진명, 한자 ...

진령군(晉寧軍)

1082년에 서쪽 국경지역의 가로채(葭蘆砦)를 수복했다. 동년 6월에 오보채(吳堡砦, 지금의 우부현 북)를 추가해 석주에 두었다. 1089년에 가로채가 서하에게 빼앗기면서 폐지되었다가 1097년(소성 4년)에 재수복했다. 1099년, 가로채에 진령군을 설치하고 석주의 임천현을 본군에 내속시켰다. 군의 군정은 남석로연변안무사(嵐石路沿邊安撫使)와 습주, 석주, 남주를 맡던 도순검사가 맡았다. 1109년, 석주 정호현을 본군에 내속시켰다. 동으로 극호채(克胡砦)격하(隔河)까지 5리, 남으로 오보채까지 170리, 서로 신천채(神泉砦)까지 25리, 북으로 통진채(通秦砦)까지 20리거리였다. 2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