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북서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하북서로(河北西路)송나라에서 설치한 중 하나로 지금의 허베이성 서부내륙지대를 통치했다. 1073년(희녕 6년), 하북로가 동로와 서로로 분리되면서 형성되었다. 주의 중심지는 진정부였다. 4부 9주 6군 65현을 두었다. 요나라남경도와 경계하고 있어 송과 요의 국경분쟁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정강의 변이후 금나라에 소속되었다.[1][2]

북송

요약
관점

진정부(真定府)

하북서로의 중심지가 있었다.

상주(相州)

망급주로 군명은 업군이다. 창덕군절도(彰德軍節度)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36,340호 71,635명이 살았다. 암화모단화사(暗花牡丹花紗), 지모, 호분,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중산부(中山府)

신덕부(信德府)

군명은 거록군으로 부로 승격되기전에는 형주(邢州)로 불렸다. 후당에서 안국군절도(安國軍節度)를 두었다. 1119년에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53,613호 95,552명이 살았다. 견직물, 백자로된 잔, 해옥사(解玉砂)를 공납으로 바쳤다. 8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준주(浚州)

평순군절도를 두었다. 군시절의 이름은 통리군(通利軍)이었다. 988년(단공 원년), 활주 여양현을 군으로 승격시켰다. 1023년(천성 원년)에 통리군에서 안리군(安利軍)으로 개명했다. 3년뒤에 위주 위현(衛縣)을 군에 소속시켰다. 1070년에 현으로 격하하여 위주에 소속시켰다가 1086년(원우 원년)에 군으로 복구했다. 1115년에 주로 승격시키면서 준천군절도(浚川軍節度)를 두었는데, 후에 절도의 이름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3,176호 3,202명이 살았다. 2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회주(懷州)

웅급주(雄)로 군명은 하내군이다. 방어를 두었다. 건륭 원년, 단련을 두고 방어를 설치했다. 숭녕연간에는 32,311호 88,185명이 살았다. 쇠무릎, 조각(皂角)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위주(衛州)

망급주(望)로 군명은 급군이다. 방어를 두었다. 숭녕연간에는 33,204호 46,365명이 살았다. 견직물면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4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명주(洺州)

망급주로 군명은 광평군이다. 건륭 원년, 방어를 두었다. 1070년, 곡주현(曲周縣)을 진으로 격하해 계택현(雞澤縣)에 통폐합했다. 3년뒤에 임명현을 진으로 격하라여 영년현에 통폐합했다. 1087년, 곡주현과 임명현을 복구했다가 다시 진으로 격하했다. 1089년, 곡주, 계택현을 복구했다. 숭녕연간애는 38,817호 73,600명이 살았다. 고(槹)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심주(深州)

망급주로 군명은 요양군(饒陽郡)이다. 방어를 두었다. 1071년, 육택현(陸澤縣)을 폐했다. 숭녕연간에는 38,036호 83,710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자주(磁州)

상급주로 군명은 부양군(滏陽郡)이다. 단련이 있다. 본주의 이름은 자주(慈州)였다. 1113년(정화 3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숭녕연간에는 36,491호 96,922명이 살았다. 자석을 공납으로 바쳤다. 3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기주(祁州)

중급주로 군명은 포음군(浦陰郡)이다. 단련을 두었다. 단공초에 진주 고성현(鼓城縣)을 본주에 내속시켰다. 경덕 원년, 치소를 정주 포음현에 옮겼고 무극현을 정주에 이관시켰다. 1073년, 심택현을 진으로 격하시키고 고성현에 통폐합했다. 원우 1086년에 복구했다. 숭녕연간에는 24,484호 49,975명이 살았다. 3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경원부(慶源府)

망급부(望)로 군명은 조군으로 부로 승격되기전 주명은 조주(趙州)였다. 경원군절도가 파견되었다. 주시절에는 군사가 파견되었다. 대관 3년, 대번이 있었다. 숭녕 4년에 군명을 받고 선화 원년에 부로 승격되었다. 숭녕연간에는 34,141호 60,137명이 살았다. 견직물과 면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7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보주(保州)

지금의 바오딩시 칭위안구에 설치된 하급주로 군사를 두었다. 건융초에 막주(莫州) 청완현(淸苑縣)을 보새군(保塞軍)으로 승격시켰다. 태평흥국 6년, 주로 승격시켰다가 정화 3년에 청완군이란 이름을 받았다. 숭녕연간에는 27,456호 230,234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안숙군(安肅軍)

하급주와 급이 같다. 태평흥국 6년, 역주 수성현(遂城縣)에 정융군(靜戎軍)을 세우고 본현의 3개향에 정융현을 신설했다. 경덕 원년에 두 현을 합하여 안숙군이라고 이름지었다. 선화 7년에 군을 폐하고 안숙현으로 격하했다. 숭녕연간에는 7,197호 14,751명이 살았다. 소사초(素糸朷)를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영녕군(永寧軍)

지금의 바오딩시 보예현에 설치된 군으로 하급주와 급이 같다. 옹희 4년, 정주 박야현(博野縣)에 영원군(甯邊軍)을 설치했다. 경덕원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군명을 고쳤다.

광신군(廣信軍)

지금의 바오딩시 쉬수이구 서쪽 수성진에 설치된 군으로 하급주와 급이 같다. 태평흥국 6년에 역주 수성현에 위용군(威勇軍)을 두었다. 경덕 원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군명을 고쳤다. 송녕연간에는 4,445호 8,738명이 살았다. 고(槹)와 을 공납으로 바쳤다.

순안군(順安軍)

태평흥국 7년에 영주(瀛州) 고양관채(高陽關砦)가 있는 곳에 당흥채(唐興砦)를 신설했다. 순화 3년, 지금의 군명으로 고쳤다. 지도 3년, 영주고양현으로 내속시켰다가 1073년에 고양현을 진으로 격하했다. 1077년에 현으로 복구했다. 숭녕연간에 8,605호 16,578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1현을 두었다.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