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의 반란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시대순으로 나열했으며 임진왜란, 병자호란과 같은 전란은 포함하지 않았다.
- 변란: 권력 장악을 위한 정치투쟁이다.
- 쿠데타: 변란의 일종으로서, 단기간 내에 성공 또는 실패하며 피지배 민중 일반보다 군사력 동원에 의존한다.
- 역성혁명: 기존의 왕조를 몰아내고 새로운 왕조를 창건하는 쿠데타이며 왕조와 동시에 국호가 바뀌게 되면 기존의 나라는 무너지고 새로운 나라가 세워진다.
- 내란: 권력 획득에 실패한 변란 주도세력이 국토 일부를 참절하여 장기간 실효지배하는 상태이다.
- 민란: 생존에 위협을 받을 정도의 수탈을 당한 신민이 그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봉기하는 경제투쟁이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09년 10월) |
상고시대
삼국시대
자세한 정보 반란명, 연도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명림답부의 정변 | 165년 | 쿠데타 | 명림답부 | 고백고 | 차대왕 | 반란 성공. 차대왕 피살 고백고, 즉위 (신대왕) |
좌가려·어비류의 난 | 190년 ~ 191년 | 내란 | 좌가려, 어비류 | 불명 | 고국천왕 | 반란 실패. 좌가려, 어비류 처형 |
발기의 난 | 197년 | 쿠데타 | 발기 | 고발기 | 산상왕, 고계수 | 반란 실패. 고발기 자결 |
포상팔국의 난 | 209년 ~ 212년 | 내란 | 보라국ㆍ고자국ㆍ사물국 | 불명 | 금관국ㆍ신라 | 반란 실패. |
예물·사구의 난 | 248년 | 쿠데타 | 예물, 사구 | 불명 | 중천왕 | 반란 실패. 예물, 사구 처형 |
창조리의 정변 | 300년 | 쿠데타 | 창조리 | 고을불 | 봉상왕 | 반란 성공. 봉상왕 자결 고을불, 즉위 (미천왕) |
부여아신의 정변 | 392년 | 쿠데타 | 부여아신 | 부여아신 | 진사왕 | 반란 성공. 진사왕 피살 부여아신, 즉위 (아신왕) |
해구·연신의 난 | 478년 | 변란 | 해구, 연신 | 불명 | 진로, 진남 | 반란 실패. 해구 처형 연신 고구려로 도주 |
백가의 난 | 502년 | 변란 | 백가 | 불명 | 무령왕, 해명 | 반란 실패. 백가 처형 |
칠숙·석품의 난 | 631년 | 쿠데타 | 칠숙, 석품 | 불명 | 선덕여왕 | 반란 실패. 칠숙 처형 백제로 도주한 석품을 추격하여 사살 |
막리지의 난 | 642년 | 쿠데타 | 연개소문 | 고보장 | 영류왕 | 반란 성공. 영류왕 피살 고보장, 즉위 (보장왕) |
비담의 난 | 647년 | 쿠데타 | 비담, 염종 | 불명 | 김춘추, 김유신 | 반란 실패. 비담, 염종 처형 |
닫기
Remove ads
남북국시대
자세한 정보 반란명, 연도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김흠돌의 난 | 681년 | 변란 | 김흠돌 | 불명 | 신문왕 | 반란 실패. 김흠돌 및 관련자들 처형 |
96각간의 난 | 768년 | 변란 | 김대공, 김대렴, 96각간 | 불명 | 혜공왕 | 반란 실패 반란 주모자들 처형 |
김지정의 난 | 780년 | 변란 | 김지정 | 불명 | 김양상, 김경신 | 반란 실패. 반란 와중에 혜공왕 피살 |
김헌창의 난 | 822년 | 변란 | 김헌창 | 김헌창 | 장웅, 위공, 제릉, 김균정 | 반란 실패. 김헌창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김범문의 난 | 825년 | 변란 | 김범문 | 김범문 | 총명 | 반란 실패. 김범문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장보고의 난 | 846년 | 내란 | 장보고 | 염장, 김양 | 반란 실패. 장보고 암살 | |
원종·애노의 난 | 889년 | 민란 | 원종, 애노 | 불명 | 진성여왕, 영기 | 반란 실패. 후삼국 시대 도래 |
닫기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자세한 정보 반란명, 연도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왕규의 난 | 945년 | 변란 | 왕규 | 광주원군 | 정종, 왕식렴 | 반란 실패. 왕규 처형 |
강조의 정변 | 1009년 | 쿠데타 | 강조 | 대량원군 | 목종, 김치양 | 반란 성공. 김치양 처형 목종 폐위 및 피살 대량원군, 즉위 (고려 현종) |
김훈·최질의 난 | 1014년 ~ 1015년 | 쿠데타 | 김훈, 최질 | 현종, 왕가도 | 반란 실패. 김훈, 최질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
이자의의 난 | 1095년 | 쿠데타 | 이자의 | 한산후 | 계림공, 소태보 | 반란 실패. 이자의 처형 헌종 반강제적 퇴위 계림공, 즉위 (고려 숙종) |
이자겸의 난 | 1126년 | 쿠데타 | 이자겸, 척준경 | 이자겸 | 인종, 척준경 | 반란 실패. 이자겸 실각 |
묘청의 난 | 1135년 ~ 1136년 | 내란 | 묘청, 정지상, 백수한, 김안, 조광 | 묘청 | 김부식 | 반란 실패. 묘청 피살 및 반란 주역들 처형 |
무신정변 | 1170년 | 쿠데타 | 정중부, 이의방, 이고, 이의민, 이소응 | 익양공 | 의종 | 반란 성공. 의종 폐위 문신들 처형 익양공, 즉위 (고려 명종) |
김보당의 난 | 1173년 | 변란 | 김보당, 이경직, 장순석, 유인준, 배윤재, 한언국 | 의종 | 이의민, 박존위 | 반란 실패. 의종 피살 김보당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조위총의 난 | 1174년 ~ 1176년 | 내란 | 조위총 | 이의방, 윤인첨, 두경승, 이의민 | 반란 실패. 조위총 처형 | |
갑오정변 | 1174년 | 쿠데타 | 정중부, 정균 | 정중부 | 이의방 | 반란 성공. 이의방 피살 사평왕후 폐출 |
망이·망소이의 난 | 1176년 ~ 1177년 | 민란 | 망이, 망소이 | 불명 | 정황재, 정세유 | 반란 실패. 고려시대 민중운동 실패 망이, 망소이 처형 |
기해정변 | 1179년 | 쿠데타 | 경대승, 허승 | 경대승 | 정중부, 정균, 송유인 | 반란 성공. 정중부, 정균, 송유인 처형 |
김사미·효심의 난 | 1193년 | 변란 | 김사미, 효심 | 불명 | 이의민, 전존걸, 최인, 고용지 | 반란 실패. 신라 부흥운동 실패 김사미와 효심 처형 |
병진정변 | 1196년 | 쿠데타 | 최충헌, 최충수 | 최충헌 | 이의민, 이지순, 이지영, 이지광 | 반란 성공. 이의민 및 아들들 피살 |
정사정변 | 1197년 | 쿠데타 | 최충헌, 최충수, 박진재, 노석숭, 김약진 | 평량공 | 명종, 두경승 | 반란 성공. 명종 폐위 두경승 유배 평랑공, 즉위 (고려 신종) |
만적의 난 | 1198년 | 민란 | 만적, 개경 사노비들 | 불명 | 최충헌, 한충유 | 반란 실패. 고려시대 민중운동 실패 만적과 주모자들 처형 |
정방의의 난 | 1200년 | 민란 | 정방의, 정창대 | 진주 지역 사람들 | 반란 실패. | |
이비·패좌의 난 | 1202년 ~ 1204년 | 민란 | 이비, 패좌 | 불명 | 김척후, 정언진 | 반란 실패. 신라 부흥운동 실패 이비 체포되어 압송 패좌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최광수의 난 | 1217년 | 변란 | 최광수 | 불명 | 정의, 필현보 | 반란 실패. 최광수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의주적의 난 | 1219년 ~ 1221년 | 민란 | 한순, 다지 | 김취려, 김군수 | 반란 실패. 한순, 다지 및 반란 주모자들 처형 | |
필현보의 난 | 1233년 | 내란 | 필현보, 홍복원 | 최우, 민희 | 반란 실패. 필현보 처형 홍복원 몽골로 도주 | |
이연년 형제의 난 | 1237년 | 민란 | 이연년, 이연년의 동생 | 김경손, 최린 | 반란 실패. 백제 부흥운동 실패 이연년 형제 전사 | |
삼별초의 난 | 1270년 ~ 1273년 | 내란 | 배중손, 김통정 | 승화후 | 원종, 김방경, 흔도, 홍다구 | 반란 실패. 승화후 피살 배중손 전사 김통정 자결 |
조일신의 난 | 1352년 | 쿠데타 | 조일신 | 공민왕, 이인복, 최영 | 반란 실패. 조일신 처형 | |
병신정변 | 1356년 | 변란 | 기철, 권겸, 노책 | 불명 | 공민왕 | 반란 실패. 기철 일당 처형 친원파 숙청 |
흥왕사의 변 | 1363년 | 쿠데타 | 김용 | 공민왕, 최영, 안도치 | 반란 실패. 김용 처형 | |
목호의 난 | 1374년 | 변란 | 석질리필사, 초고독불화 | 최영, 임견미, 목인길, 변안열 | 반란 실패. 석질리필사 처형 초고독불화 자결 원나라 잔당 소멸 | |
공민왕 시해 사건 | 1374년 | 변란 | 홍륜, 권진, 홍관, 한안, 최선, 최만생 | 불명 | 공민왕, 이인임, 경복흥, 안사기 | 반란 실패. 공민왕 피살, 그러나 이인임 등에게 진압 홍륜 등 주모자들 처형 강령부원대군, 즉위 (우왕) |
위화도 회군 | 1388년 | 쿠데타 | 이성계, 조민수 | 왕창 | 최영, 우왕 | 반란 성공. 우왕 폐위 최영 처형 왕창, 즉위 (창왕) 및 폐위 정창부원군, 즉위 (공양왕) |
조선 건국 | 1392년 | 역성혁명 | 이성계 | 이성계 | 공양왕, 정몽주 | 반란 성공. 정몽주 피살 공양왕 폐위 고려 멸망 및 조선 건국 이성계, 조선 초대 임금으로 즉위 (조선 태조) |
닫기
Remove ads
조선시대
자세한 정보 반란명, 연도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제1차 왕자의 난 | 1398년 | 쿠데타 | 이방원, 하륜, 이숙번 | 이방과 | 태조, 이방석 | 반란 성공. 이방석 및 정도전 피살 태조 반강제적 퇴위 이방과, 즉위 (조선 정종) |
제2차 왕자의 난 | 1400년 | 쿠데타 | 이방간, 박포 | 이방간 | 이방원 | 반란 실패 이방간 유배 및 박포 처형 이방원, 즉위 (조선 태종) |
조사의의 난 | 1402년 | 쿠데타 | 태조, 조사의 | 태조 | 태종 | 반란 실패. 태조 정권 탈환 실패 조사의 처형 |
계유정난 | 1453년 | 쿠데타 | 수양대군 | 수양대군 | 김종서 | 반란 성공. 김종서 피살 안평대군 사형 |
이징옥의 난 | 1453년 | 변란 | 이징옥 | 이징옥 | 수양대군 | 반란 실패. 이징옥 부하들에 의해 피살 |
세조찬위 | 1455년 | 쿠데타 | 수양대군 | 수양대군 | 반란 성공. 단종 반강제적 퇴위 수양대군, 즉위 (조선 세조) | |
단종복위운동 | 1456년 | 쿠데타 |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등 | 단종 | 세조 | 반란 실패. 사육신 처형 단종 폐위 및 노산군 강등 |
이시애의 난 | 1467년 | 변란 | 이시애 | 구성군, 남이, 강순 | 반란 실패. 이시애 처형 | |
중종반정 | 1506년 | 쿠데타 |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 | 진성대군 | 연산군 | 반란 성공. 연산군 폐위 진성대군, 즉위 (조선 중종) |
니탕개의 난 | 1583년 | 변란 | 니탕개, 우을기내, 마니응개, 율보리, 사송아 | 신립, 이일, 정언신, 이순신, 김시민, 이억기 | 반란 실패. 진관체제에서 제승방략으로 전환 | |
송유진의 난 | 1594년 | 변란 | 송유진 | 변양준, 김응룡 | 반란 실패. 송유진 처형 | |
이몽학의 난 | 1596년 | 변란 | 이몽학 | 이몽학 | 김경창, 임억명, 이시언, 홍가신, 김덕령 | 반란 실패. 내부 분열로 부하였던 김경창, 임억명이 이몽학을 살해 의병장 김덕령이 무고로 옥사 |
인조반정 | 1623년 | 쿠데타 | 능양군, 이귀, 김류, 최명길, 이괄 | 능양군 | 광해군 | 반란 성공. 광해군 폐위 능양군, 즉위 (조선 인조) |
이괄의 난 | 1624년 | 변란 | 이괄, 한명련 | 흥안군 | 장만, 정충신, 남이흥 | 반란 실패. 이괄 일당 피살 흥안군 처형 |
이인좌의 난 | 1728년 | 변란 | 이인좌, 정희량, 박필현 | 밀풍군 | 박민웅, 오명항 | 반란 실패. 이인좌 일당 처형 밀풍군 자결 |
홍경래의 난 | 1811년 ~ 1812년 | 내란 | 홍경래, 우군칙, 이제초, 김창시, 이희저, 홍총각 | 불명 | 이요헌, 김견신, 허항 | 반란 실패. 관군에게 진압됨 홍경래 전사 및 일당 처형 |
임술민란 | 1862년 | 민란 | 유계춘, 김수만, 이귀재 | 불명 | 관군 | 반란 실패. 농민운동, 자진 해산 반란 주도자 처형 및 원인 제공자 파면 |
닫기
Remove ads
근현대
자세한 정보 반란명, 연도 ...
반란명 | 연도 | 유형 | 반란자 | 추대자 | 진압자 | 결과 |
---|---|---|---|---|---|---|
임오군란 | 1882년 | 변란 | 훈련도감 소속 군인들 | 흥선대원군 | 마건충, 오장경, 정여창 | 반란 실패. 민겸호 피살 흥선대원군 톈진으로 유배 반란 주도자 11명 사형 |
갑신정변 | 1884년 | 쿠데타 |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서광범, 홍영식 | 불명 | 청나라군 | 반란 실패. 톈진조약 체결 |
동학농민운동 | 1892년 ~ 1895년 | 민란·내란 | 전봉준, 김개남, 손화중, 최시형, 손병희 | 불명 | 관군, 청나라군, 일본군 | 반란 실패. 3차봉기에서 실패 및 주동자 체포 청일전쟁 발발 |
신축민란 | 1901년 | 민란 | 이재수, 강우백, 오대현 | 불명 | 관군 | 반란 실패. 이재수 처형 자진 해산 반란 주도자 처형 및 원인 제공자 파면 |
여순사건 | 1948년 | 내란 | 김지회, 지창수 | 한국군 | 반란 실패. 관련자 사형 | |
5·16 군사 정변 | 1961년 | 쿠데타 | 박정희, 김종필, 박종규, 이낙선, 차지철 | 박정희 | 장면, 윤보선 | 반란 성공. 제3공화국 수립 박정희, 대통령으로 취임 |
12·12 군사 반란 | 1979년 | 쿠데타 | 전두환, 노태우, 허화평, 장세동, 유학성, 황영시 | 정승화, 장태완, 정병주, 김진기 | 반란 성공. 정승화 체포 성공 | |
5·17 쿠데타 | 1980년 | 쿠데타 | 전두환, 노태우, 허화평 | 전두환 | 반란 성공. 최규하 하야 제5공화국 수립 전두환, 대통령으로 취임 | |
이석기 내란 선동 사건 | 2013년 | 내란선동 | 이석기, 김홍열 | 반란 실패. | ||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령 준비 사건 | 2017년 | 쿠데타 | 반란 실패. | |||
닫기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