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동양고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주식회사 동양고속(株式會社 東洋高速)은 시외버스·고속버스 운송회사이다.[1] 영남권 노선을 주력으로 운행하며, 서울 및 동서울 기점의 호남선 노선에는 서울/동서울 - 전주, 동서울 - 동광양, 광양, 수원 - 순천 노선에만 운행한다. 2006년 4월 8일 한진그룹의 계열사인 한진고속을 완전히 인수하여 고속버스 보유대수 기준으로 금호고속 다음인 업계 2위로 규모를 확장했다.
Remove ads
연혁
- 1968년 12월 19일: 동양고속운수로 설립
- 1969년 8월 15일: 고속버스 운송 면허 취득
- 1970년 7월 22일: 속리산고속 인수
- 1975년 3월 1일: 동양고속훼리 (제주 ~ 부산) 설립
- 1977년 6월 14일: 중앙여객자동차를 인수, 남일여객자동차로 개칭.
- 1977년 7월 1일: 화신백화점[2]에 있었던 서울사무소가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개장되면서 이 곳으로 이전
- 1977년 11월 1일: 동신버스의 일부 노선을 인수
- 1980년 7월 1일: 동신버스의 일부 노선을 양도
- 1981년 3월 1일: 속리산고속을 경남버스(현 경남고속)에 양도
- 1981년 5월 19일: 서울 ~ 광주와 서울 ~ 목포의 노선을 광주고속(현 금호고속)에 양도
- 1982년 8월 31일: 동대구 동양고속 터미널이 완공됨
- 1984년 1월 28일: 남일여객자동차를 대원여객 (현 대원고속)에게 양도
- 1986년 3월 1일: 상호명이 동양고속운수에서 동양고속으로 변경
- 1986년 9월 29일: 동양고속훼리 분리
- 1987년 12월 3일: 동서울 ~ 대전, 서대구, 대구한진, 진주, 마산, 창원, 전주, 광양, 동광양 고속버스 운행 개시
- 1989년 10월 27일: 충청남도 논산군에서 화학물질 운반 대형트럭과 추돌로 차내에 가스가 차서질식으로 승객 10여명 이상 사망
(한진고속)
Remove ads
현황
2024년 3월 기준이다.[4]
운행 노선
요약
관점
2024년 3월 기준이다.[5]
경부선
호남선
구마선
경인선
88선
동해선
이외 노선
아래 노선들은 국토교통부의 고속버스 운행계통표에 인가대수 또는 노선이 없으나, 코버스 전산망 상에서 취급하는 노선이다. 운행 구간은 북에서 남으로, 서에서 동으로 표기하였다.
시외버스
Remove ads
관할 면허지
경기도 안양시가 주 관할 면허지이다. 참고로 동양고속의 본사 차고지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유통단지사거리 홈플러스 안양점 맞은편에 있으며, 군포시와 가깝다. 그리고 성남시와 용인시의 면허가 있는데 이는 한진고속을 인수할 때 그대로 넘어온 것이다. 현재 한진고속의 인수분을 포함하여 반입된 신차들은 일부 성남시 면허로 나온 차량들을 제외하고 모두 안양시의 면허로 나오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한진고속의 인수분은 점차 안양시의 차적으로 이관하고 있다.
운행 차량
차량 사진
-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 (현재는 퇴역)
- 그랜버드 HD 블루스카이 (현재는 퇴역)
- 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선샤인 (현재는 퇴역)
-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 (한진고속 출신) (현재는 퇴역)
- 뉴 그랜버드 선샤인 (현재는 퇴역)
-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현재는 퇴역)
-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
-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
- 서울 ↔ 아산 노선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