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남선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대전조차장역과 전라남도 목포시의 목포역을 잇는 간선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호남선
Remove ads

호남선(湖南線)은 경부선 대전조차장역목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간략 정보 호남선, 기본 정보 ...
Remove ads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광무 연간의 대한제국 정부는 서울에서 목포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수원에서 천안, 대전을 거쳐 영남으로 향하는 경부선 철도의 부설권이 일본 제국 측에 넘어가 독자적인 간선 철도 부설에는 실패한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주관하에 경부선의 지선 형식으로 호남선이 1914년 전구간 개통된다.

1910년 1월에 대전~연산 간 24.3의 공사 구간을 비롯하여 8개 공사 구간을 설정하였다. 군산과 강경 간 31.2리의 공사 구간을 1911년 3월에 착공하여 1912년 3월 6일 완공하였고,[4] 김제와 이리(현 익산) 간 11.1리의 철길을 1911년 12월에 착공, 1912년 10월 1일에 완공 개통하였다.[5] 1914년 1월 11일 전북 정읍과 전남 광주송정 간 35.5리의 공사 구간,[6]을 끝으로 대전과 목포 간 호남선 철도 부설 공사를 완료하였다. 호남선 공사의 궤도 연장거리는 198.3리이며, 그 사이에 터널 9개소, 교량이 193개소, 구교가 286개소인데, 경부선과 연결역인 대전역을 개축 확장한 것 외에 27개소의 역사를 설치하였다.[7] 조선총독부한일 병합 후 단기간에 호남선 철로를 완공하였는데 호남평야 등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수송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당시 호남선은 대전역에서 경부선 김천, 부산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1978년 3월에 대전조차장역에서 서대전역을 거쳐 이리역에 이르는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당시에는 현재의 대전선구간인 대전역-서대전역구간이 호남선이었는데, 현재의 대전선 구간은 복선화가 되지 않았다. 호남선 이리역 이남구간 복선화공사는 1981년 2월부터 시작되었는데, 1988년 9월 6일에 광주시내의 송정리역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8]

호남선 가운데 단선구간으로 남아있는 송정리~목포 간 70.8km의 복선공사는 1992년까지 타당성 조사를 한 뒤 1995년 9월 20일 착공했다. 이 송정리(현재의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송정리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1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한편, 익산~목포 구간은 복선화와 함께 선형개량도 시행되었는데, 특히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선형개량은 상당히 큰 폭으로 이루어졌다.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호남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경부선경부고속선과 직결 운행하는 고속열차가 호남선에도 운행되기 시작하였다.[9] 이와 동시에 기점이 대전역에서 대전조차장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이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호남고속철도는 기존선을 운행하는 데다가 특히 서대전역~논산역 구간의 선형이 불량하여 소요 시간이 경부고속철도와 큰 차이를 보였고,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까지 발생했다. 이는 호남고속선 건설 추진의 한 원인이기도 하였고, 2015년 4월 2일호남고속선이 개통되었다.

연혁

일제강점기 시절

해방이후 단선철도 시절

복선화 시대

전철화 시대

Remove ads

역 목록

요약
관점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자세한 정보 역명, 로마자 역명 ...
Remove ads

지선 노선

호남선에는 총 4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노선 명칭 ...
강경선
북송정삼각선

북송정삼각선은 경전선과 호남선을 연결하는 삼각선으로, 호남선 북송정역과 경전선 북송정분기를 잇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0402이다.

대불선
장성화물선

터널 목록

자세한 정보 터널 이름, 소재지 ...
Remove ads

호남선의 교통량

요약
관점

열차 통과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호남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자세한 정보 운행구간, 선로용량 ...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자세한 정보 구분, 이용 인원수 (명) ...
Remove ads

미래

서대전∼논산구간 호남선 직선화가 추진중이며, 2021년 7월 5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도 포함되었다. 2022년 8월 24일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B/C 0.61, AHP 0.505로 통과했다.[26] 추가로 호남선 여유 선로용량 토대로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이 추진중이다.[27]

같이 보기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