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우카리스

방사치류의 한 속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호우카리스
Remove ads

호우카리스(학명: Houcaris)는 측계통군으로 추정되는 방사치목의 한 속으로, 중국미국캄브리아기 제2세에 해당하는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잠정적으로 암플렉토벨루아과, 아노말로카리스과 또는 타미시오카리스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지정되었다. 모식종호우카리스 사론(Houcaris saron)으로, 과거에 근연속인 아노말로카리스속의 일종으로 기재되었던 적이 있다.[1] 다른 추정 종으로는 H. 마그나바시스(H. magnabasis)와 H. 콘시밀리스(H. consimilis)가 있다.[2][3] 호우카리스속은 2021년에 새로 발견 두 종 때문에 창안된 것으로, 속명은 1995년에 얀 베르그스트룀(Jan Bergström)과 페르 E. 알베르그(Per E. Ahlberg)와 함께 모식종인 아노말로카리스 사론을 발견 및 명명한 호우센광(Hou Xian-guang)의 성씨에서 따왔다.[4]

간략 정보 호우카리스속,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하위 종

요약
관점

호우카리스 사론(Houcaris saron)

윈난성마오텐산 셰일(Maotianshan Shales)에서 발견된 사론은 1995년에 아노말로카리스 사론(Anomalocaris saron)으로 처음 기재되었다.[4] 이 종은 전방부속지만이 밝혀져 있다. 과거에 이 종의 전체 몸통 화석으로 간주되었던 표본(ELRC 20001)이 있었으나,[4] 후속 연구에 따르면 이 화석표본은 이 종의 것이 아니며, 나중에 자체 속인 인노바티오카리스로 분류되었다.[5][6][7] 전방부속지의 길이는 최소 12cm에 달한다.[2] 때때로 아노말로카리스과[8][9] 또는 암플렉토벨루아과[10][11]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호우카리스? 마그나바시스(Houcaris? magnabasis)

네바다주피오체 셰일(Pioche Shale)과 피라미드 셰일(Pyramid shale)에서 발견된 H.? 마그나바시스는 원래 2003년에 Anomalocaris cf. saron으로 기술되었고,[12] 나중에 2019년에 아노말로카리스 마그나바시스(Anomalocaris magnabasis)로 명명되었다.[1] 이 종은 전방부속지와 구주 및 지느러미의 일부가 발견된 부분 화석만이 밝혀져 있다.[1] 전방부속지의 최대 추정 길이는 17.5cm이다.[1] 때때로 아노말로카리스과[8][9] 또는 암플렉토벨루아과[10][11]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2023년 매콜(McCall)의 계통 분석 결과에서는 마그나바시스가 다른 호우카리스 종들과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으며, 암플렉토벨루아과의 자매 분류군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그는 아노말로카리스의 알려진 그 어떤 종들과도 단계통군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결과에도 불구하고 이 종을 잠정적으로 아노말로카리스 마그나바시스(Anomalocaris magnabasis)로 지칭했다.[3]

호우카리스? 콘시밀리스(Houcaris? consimilis)

Thumb
콘시밀리스 종

H.? 콘시밀리스는 남중국의 마오텐산 셰일(Maotianshan Shales)과 캘리포니아의 레이섬 셰일(Latham Shale)로 추정되는 지층에서 발견되었다.[1] 이 종은 원래 람스코일디아속(Ramskoeldia) 내에 있는 모식종(R. platyacantha)의 자매군으로 기재되었지만, 이후의 연구들에서는 이들의 단일 계통성을 거부했다. 2022년에는 이 종이 인바티오카리스의 기재자들에 의해 H. 사론과 근연인 타미시오카리스과(Tamisiocarididae)의 바닥군 구성원으로 분류시켰으며, R. 플라티아칸타(R. platyacantha)와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았다.[13] 2023년에 매콜은 계통 분석과 형태 비교를 바탕으로 이 종이 R. 플라티아칸타와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는 대신 H. 사론과 형성한다고 보았으며, 이에 따라 이 종을 호우카리스 콘시밀리스(Houcaris consimilis)로 호우카리스속에 포함시켰다. 그의 결과는 이 두 종 모두 암플렉토벨루아과의 구성원임을 일관성 있게 보여주기도 한다.[3] 콘시밀리스 종의 최초로 발견된 구주 및 슈카리스를 기재한 2024년 연구의 계통 발생 분석을 바탕으로, 우(Wu)와 그의 동료들은 콘시밀리스를 암플렉토벨루아과로 분류시켰으나, R. 플라티아칸타의 자매군은 아니라고 보았으며, 타미시오카리스과와의 관련성을 거부했다.[14]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