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슈카리스

캄브리아기 방사치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슈카리스
Remove ads

슈카리스 또는 수카리스(학명: Shucaris ankylosskelos 슈카리스 앙킬로스켈로스[*])는 남중국 윈난성에 있는 캄브리아기 초기 마오텐산 혈암에서 발견된, 불명확한 분류 위치에 있는 방사치류 중 하나이다. 1종만이 존재하며 복수의 안돌기. 턱바닥 구조체(GLS), 전방부속지, 그리고 거의 온전한 몸과 두갑복합체(H-요소)를 가진 여러 표본이 발견되었다. 이 동물의 모식표본은 전방부속지, 여러 개의 안돌기, 턱바닥 구조체(GLS), 거의 온전한 몸체, 두갑복합체(H-요소), 그리고 아가미와 연결된 몸통지느러미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1]

간략 정보 슈카리스,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특징

여러 개의 화석표본이 발견되었다. JS-0972B라는 모식표본의 경우 전방부속지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식표본 JS-1950 및 JS-0658의 경우 각각 거의 완전한 몸체와 불완전하게 탈구된 전방부속지 한 쌍, 턱바닥 구조체, 구주, 머리경판의 일부, 그리고 아가미가 붙은 지느러미로 이루어져 있다.[1]

부속지의 형태

슈카리스의 부속지 형태는 많은 면에서 다른 방사치류와 다른 점이 많아, 분류 위치를 정의 내리기 힘든 구석이 있다. 부속지는 2개의 자루마디와 보통 접히는 부위에서 발견되는 15개의 원위관절마디(일명 DAR이라 부르며, 발톱이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다. 마디는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크기가 줄어들며, 그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진 안돌기가 달린다. 안돌기들은 짝을 이루며 어긋난 채로 늘어서 있고, 홀수 가락마디마다 좀 더 긴 안돌기가 달린다. 좀 더 멀리 떨어진 마디에 나 있는 안돌기들은 안쪽으로 크게 휘어 있으며, 옆가시가 안쪽과 옆쪽을 향하고 있다. 이러한 옆가시는 안돌기의 끝에 가까워질수록 더 커진다. 옆가시는 안돌기의 앞모서리에 더 많이 나 있으며, 앞쪽에는 네 개 이상의 옆가시가 있고 뒤쪽에는 2개의 옆가시가 있으나 전방부속지의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옆가시의 수가 적다. 8~14개의 원위관절마디(제15원위관절마디)의 가시는 온전히 남아있지 않았는데, 여기에 각각 하나의 보조가시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제1원위관절마디는 보통의 방사치류와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두 쌍의 안돌기가 같은 가로선상에 놓여 있으며, 한 쌍이 다른 한 쌍 사이에 있다. 바깥쪽 쌍은 멀어질수록 구부러지고 안쪽 쌍은 대부분 선형이며 뒤쪽으로 뻗어있다. 두 쌍 모두 원위 여백에 있는 각 안돌기마다 하나의 옆가시를 가지고 있다. 제12~15원위관절마디에는 등돌기가 있으며, 제14마디에서 가장 큰 가시를 지니고 있다. 제14원위관절마디도 2차적으로 등돌기를 가지고 있다. 안돌기는 짝을 이루는데, 이는 다른 방사치류에게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다.[1]

Remove ads

명명

속명 Shucaris는 청장 생물군 연구의 선구자이자 노스웨스트대학교 산하의 초기생물 연구팀(Early Life Research Team)의 학문적 지도자, 수더간(舒德干, 서덕간) 교수의 성에서 따와, 새우를 뜻하는 라틴어 'caris'에 붙인 합성어이다. 종소명 ankylosskelos그리스어로 '휘다'는 의미의 'ankylos'와 '다리'를 뜻하는 'skelos'가 합쳐진 단어로, 이는 이 동물의 부속지가 휘어있음을 시사한다.[1]

분류

요약
관점

과거의 연구에서는 슈카리스는 '방사치류 C'로 분류되어 있었으며 암플렉토벨루아과[2] 및 초기 아노말로카리스류[3]로 복원된 적이 있다. 이 논문들 중 일부의 계통발생학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이 재현되었다:

McCall 2023(다수결 원칙 (50%) 합의)[2]
아노말로카리스과

Anomalocaris canadensis

Anomalocaris aff.canadensis

Anomalocaris daleyae

Innovatiocaris

Anomalocaris magnabasis

암플렉토벨루아과

Laminacaris sp.

Guanshancaris

Laminacaris chimera

Ramskoeldia

방사치류 C

Innovatiocaris? sp.

Innovatiocaris? multispiniformis

"Anomalocaris" sp. (Balang)

파커 슬레이트 방사치류

Houcaris consimilis?

Houcaris consimilis

Houcaris saron

Amplectobelua aff. trispinata

Amplectobelua trispinata

Lyrarapax unguispinus

Amplectobelua stephenensis

Lyrarapax trilobus

Zheng 2022(절약-함축 중량 (K=3))[3]
방사치목

후르디아과

Innovatiocaris

Anomalocaris kunmingensis

Laminacaris

방사치류 C

'아노말로카리스'

Anomalocaris canadensis

Anomalocaris aff. canadensis

Ramskoeldia

타미시오카리스과

암플렉토벨루아과

Wu et al. (2024)에서 계통적 분석에 따른 불확실한 관련 하의 방사치류로서의 슈카리스 계통 발생 분석에서 슈카리스는 불확실한 관계에 있는 방사치류(종종 아노말로카리스과의 구성종으로)로 복원되었다.[1] 이에 대한 결과는 아래에서 나타난다:

A 체계 분류(절약-동일 중량)
아노말로카리스과

슈카리스속

암플렉토벨루아과

Anomalocaris spp.

Paranomalocaris spp.

람스코일디아속

Lenisicaris spp.

B 체계 분류 및 C 체계 분류
(절약-함축 중량 (K=3) & 절약-함축 중량 (K=7))
아노말로카리스과

슈카리스속

Anomalocaris spp.

람스코일디아속

Lenisicaris pennsylvanica

Lenisicaris lupaata

카리오신트립스

Paranomalocaris spp.

그럼에도 불구하고 Wu 등(2024)은 슈카리스가 '모든 암플렉토벨루아 동물과 대부분의 아노말로카리스류보다 발톱 부위에 더 많은 지절을 가지고 있다'는 새로운 특징을 논의하며, 슈카리스를 '아노말로카리스과 내에서 가장 초기의 분류군이거나 암플렉토벨루아과와 아노말로카리스과를 포함하는 분류군의 자매 분류군'으로 간주한다.[1]

Remove ads

생태

슈카리스는 비정상적으로 작은 구주를 가지고 있는데, 악기물로 먹이를 씹은 뒤 삼켰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단단한 껍질을 가진 먹잇감을 섭취하는 유영성 저서포식자인 암플렉토벨루아과의 동물들과 유사한 식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