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2024년 7월 23일과 7월 24일에 열린 일본 프로 야구의 올스타전 경기이다.
개요
2017년 이후 마이나비의 특별 협찬으로 ‘마이나비 올스타 게임 2024’(マイナビオールスターゲーム2024)라는 이름으로 개최됐다.
금년도는 전년도부터 실시되고 있는 플러스 원 투표에 더해 팬 투표도 NPB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스마트뉴스에서도 투표할 수 있다.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두 차례의 경기가 열렸고 전 경기 모두 지명타자제가 채택됐다. 1차전은 퍼시픽 리그 주최, 2차전은 센트럴 리그 주최로 개최됐다.[1]
1차전에서는 신조 쓰요시 감독의 제안에 따라 닛폰햄 선수들이 역대 유니폼을 착용하고 경기에 임했다.[2]
- 야마사키 사치야 : 신조 쓰요시 감독 디자인 유니폼 (2023년)
- 가와노 류세이 : 닛폰햄 초대 유니폼(1974년 전기)
- 다나카 세이기 : 홋카이도 이전 후 초대 유니폼(2004년~2010년)
- 다미야 유아 : 현행 유니폼(2022년~현재)
- 아리엘 마르티네즈 : 도쿄 시대 중기 유니폼(1982년~1992년)
- 가미카와바타 다이고 : 도쿄 시대 전기 유니폼(1974년 후기~1981년)
- 군지 유야 : 도쿄 시대 후기 유니폼(1993년~2003년)
- 만나미 추세이 : 에스콘 필드 1주년 유니폼
- 미즈타니 슌 : 파이터스 50주년 유니폼
- 미즈노 다쓰키(출전 포기) : 홋카이도 이전 후 2대째 유니폼 (2011년~2021년)
Remove ads
일정
- 1차전 : 7월 23일
- 에스콘 필드 HOKKAIDO(주관 구단: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첫 개최)
- 2차전 : 7월 24일
- 메이지 진구 야구장(주관 구단: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13년 2차전 이후 11년 만에 17번째[주 1])
- 금년도 1차전은 퍼시픽 올스타팀의 홈팀으로 취급하며(1루측), 2차전은 센트럴 올스타팀의 홈팀으로 취급한다(1루측, 두 경기 모두 원정팀은 3루측).
- 2차전 우천 예비일을 7월 25일로 예정돼 있었다.
특별 행사
- 홈런 더비
- 야구 전당 헌액식(1차전 시작 전)
출장 선수
|
- 숫자는 출장 횟수를 뜻하며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상기 횟수 가운데 부상 때문에 출전하지 못한 횟수.
- 또한 사퇴 선수는 야구 협약 86조에 따라 올스타전 종료 후 후반기 시작 시점부터 10경기 동안 선수 등록을 할 수 없다. 단, 등록 말소 중인 선수는 말소 기간 중 경기 수를 10경기로부터 차감된다.
Remove ads
올스타전 경기 결과
1차전
스코어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센트럴 | 0 | 9 | 0 | 2 | 0 | 0 | 0 | 0 | 0 | 11 | 17 | 1 | |||||||||||||
퍼시픽 | 0 | 1 | 0 | 0 | 0 | 1 | 0 | 4 | 0 | 6 | 16 | 0 | |||||||||||||
승리 투수: 사이키 히로토(한신) 패전 투수: 야마사키 사치야(닛폰햄) 홈런: 센트럴 – 마루 요시히로(요미우리·2회 2점), 마키 슈고(DeNA·2회 1점, 4회 2점), 무라카미 무네타카(야쿠르트·2회 2점) 퍼시픽 – 오카 히로미(지바 롯데·2회 1점), 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8회 3점) |
출장 선수
수상 선수
- MVP
- 마키 슈고(DeNA)
- 2회에 야마사키 사치야로부터 솔로 홈런, 4회에 에스피노자로부터 2점 홈런을 치는 등 2홈런 3타점의 맹활약을 보였다. DeNA 야수의 MVP 수상은 2016년 1차전에서의 쓰쓰고 요시토모 이후 8년 만이다.
- 감투 선수상
- 마루 요시히로(요미우리)
- 2회에 야마사키 사치야로부터 2점 홈런을 쳤는데 히로시마 시절이던 2016년 2차전 이후가 되는 홈런이다(요미우리 이적 후 처음). 요미우리 선수에 의한 올스타전에서의 홈런은 2017년 2차전의 고바야시 세이지 이후로 요미우리 선수의 감투상 수상은 전년도 2차전에서의 오카모토 가즈마 이후이다.
- 무라카미 무네타카(야쿠르트)
- 2회에 야마사키 사치야로부터 2점 홈런을 쳤는데 이는 올스타전에서의 첫 홈런을 기록했다.
- 야마카와 호타카(소프트뱅크)
- 마이나비 드림상
- 무라카미 무네타카(야쿠르트)
2차전
스코어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퍼시픽 | 0 | 2 | 1 | 5 | 0 | 2 | 1 | 4 | 1 | 16 | 28 | 1 | |||||||||||||
센트럴 | 0 | 4 | 0 | 1 | 3 | 0 | 0 | 1 | 1 | 10 | 16 | 1 | |||||||||||||
승리 투수: 안드레스 마차도(오릭스) 패전 투수: 다카하시 히로토(주니치) 홈런: 퍼시픽 – 다쓰미 료스케(라쿠텐·2회 1점), 오카 히로미(지바 롯데·7회 1점), 구레바야시 고타로(오릭스·8회 2점) 센트럴 – 사카쿠라 쇼고(히로시마·2회 만루), 타일러 오스틴(DeNA·5회 2점), 무라카미 무네타카(야쿠르트·5회 1점) |
출장 선수
수상 선수
- MVP
- 사토 도시야(지바 롯데)
- 6타수 5안타(이 중 2루타 3개) 2타점의 활약으로 2019년 2차전에서 지카모토 고지[주 2] 이후 한 경기 5안타를 기록했다. 첫 번째 타석에서 단타, 세 번째 타석에서 3루타를 기록하고 있었지만 홈런이 나오지 않아 올스타전 역대 세 번째인 사이클링 히트[주 3]를 기록하지 못했지만 올스타전에 첫 출전하면서 그 실력을 한껏 발휘했다. 지바 롯데 야수의 MVP 수상은 1987년 1차전의 다카자와 히데아키 이후 37년 만이다.
- 감투 선수상
- 곤도 겐스케(소프트뱅크)
- 6타수 5안타(이 중 2루타 2개) 2타점의 활약으로 한 경기 5안타를 기록했다.[주 4]
- 다쓰미 료스케(라쿠텐)
- 2회에 요시무라로부터 선제 솔로, 동점이 된 상황에서 6회에 다카하시 히로토로부터 역전 적시타를 포함한 4타수 3안타 2타점 3득점[주 5]의 활약을 보였다.
- 사카쿠라 쇼고(히로시마)
- 2회에 후지이로부터 한때 역전이 되는 만루 홈런을 날렸다. 올스타전에서의 만루 홈런은 1963년 2차전의 에노모토 기하치(당시 다이마이 소속), 1967년 3차전의 오스기 가쓰오(당시 도에이 소속) 이후 57년 만에 세 번째로 센트럴 리그의 선수로서는 처음이다.
- 마이나비 드림상
- 사카쿠라 쇼고(히로시마)
Remove ads
홈런 더비
예선 | 준결승 | 결승 | ||||||||
제1경기(7월 23일) | ||||||||||
오카모토 가즈마 | 5 | |||||||||
제3경기(7월 23일) | ||||||||||
만나미 추세이 | 3 | |||||||||
오카모토 가즈마 | 6(4) | |||||||||
제2경기(7월 23일) | ||||||||||
곤도 겐스케 | 6(5) | |||||||||
마키 슈고 | 3 | |||||||||
제7경기(7월 24일) | ||||||||||
곤도 겐스케 | 4 | |||||||||
곤도 겐스케 | 8(5) | |||||||||
제4경기(7월 24일) | ||||||||||
야마카와 호타카 | 8(4) | |||||||||
무라카미 무네타카 | 6 | |||||||||
제6경기(7월 24일) | ||||||||||
A. 마르티네즈[주 6] | 7 | |||||||||
A. 마르티네즈 | 4 | |||||||||
제5경기(7월 24일) | ||||||||||
야마카와 호타카 | 5 | |||||||||
호소카와 세이야 | 4 | |||||||||
야마카와 호타카[주 7] | 5 | |||||||||
- 괄호 안은 연장전의 득점.
- 우승자
- 곤도 겐스케(소프트뱅크)[주 8]
Remove ads
기록
1차전
2차전
전체
- 두 경기 합계 최다 득점: 퍼시픽 리그, 22득점
- 두 경기 합계 최다 안타: 퍼시픽 리그, 44안타
Remove ads
주해
- 퍼시픽 리그 선수로는 첫 기록이며 이후에 사토도 기록했기 때문에 페타지니, 지카모토에 이은 세 번째이다(사토는 네 번째). 또 여러 선수에 의한 한 경기 5안타는 올스타전 사상 최초이다.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