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2023년 7월 19일7월 20일에 열린 일본 프로 야구올스타전 경기이다.

간략 정보 경기 정보, 스폰서 ...

개요

2017년 이후 마이나비의 특별 협찬으로 ‘마이나비 올스타 게임 2023’(マイナビオールスターゲーム2023)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됐다.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두 차례의 경기가 열렸고 전 경기 모두 지명타자제가 채택됐다. 두 경기 모두 센트럴 리그 주최로 개최됐다.[1]

일정

  • 1차전 : 7월 19일
반테린 돔 나고야(주관 구단: 주니치 드래건스, 2017년 1차전 이후 6년 만에 5번째[주 1])
  • 2차전 : 7월 20일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주관 구단: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5년 2차전 이후 8년 만에 3번째)
  1. 금년도는 두 경기 모두 센트럴 올스타팀의 홈팀으로 취급하며 1루측(퍼시픽 올스타팀은 원정팀으로 취급, 3루측)을 사용한다. 센트럴 리그 구단의 홈구장에서 올스타전이 개최되는 사례는 2019년(1차전·도쿄 돔[주 2], 2차전·한신 고시엔 구장[주 3]) 이후 4년 만이다.
  2. 2차전 우천 예비일을 7월 21일로 예정돼 있었다.

특별 행사

참석자 : 알렉스 라미레스(선수 부문 헌액자), 랜디 바스(전문가 부문 헌액자), 고세키 유지(특별 헌액, 고인을 위해 유족이 대리 참석)

출장 선수

범례
  • 굵은 글씨 : 팬 투표에 의한 출장
  •  : 선수간 투표에 의한 출장
  •  : 플러스 원 투표에 의한 출장
  •  : 출장 사퇴 선수 발생에 의한 보충 선수
  • 그 외에는 감독 추천에 의한 출장
자세한 정보 센트럴 리그 ...
자세한 정보 퍼시픽 리그 ...
  • 숫자는 출장 횟수를 뜻하며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상기 횟수 가운데 부상 때문에 출전하지 못한 횟수.
  • 사퇴 또는 결장한 선수는 야구 협약 86조에 따라 올스타전 종료 후 후반기 시작 시점부터 10경기 동안 선수 등록을 할 수 없지만 2023년에는 올스타 특례 2023으로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출전을 포기한 경우 출전 정지 대상에서 제외된다.[1] 또한 올스타전 직전의 경기까지 등록 말소된 경우에는 그 말소 기간은 10경기로부터 차감된다.[2]
  1. 오른팔에 이상이 생기면서[2] 출전을 포기했으며 유아사를 대체할 선수로서 닉 털리가 선출됐다.[3]
  2. 오른쪽 대퇴이두근 파열로 인해 출전을 포기했으며 사카모토를 대체할 선수로서 나가오카가 선출됐다.[4]
  3. 오른쪽 갈비뼈 골절때문에[2] 출전을 포기했으며 지카모토를 대체할 선수로서 니시카와가 선출됐다.[3]
  4. 근육파열로 인해 출전을 포기했으며 니시카와를 대체할 선수로서 세키네가 선출됐다.[4]
  5. 왼쪽 햄스트링 근육 힘줄 손상 때문에 출전을 포기했으며 모리를 대체할 선수로서 와카쓰키가 선출됐다.[5]
  1. 팬 투표에서는 지명타자, 선수간 투표에서는 외야수로 선출됨.
  1. 포수로서의 등록이지만 전반기 종료까지는 모두 1루수 및 지명타자로 출전했다.
Remove ads

올스타전 경기 결과

1차전

스코어

1 2 3 4 5 6 789 R H E
퍼시픽 401 002 100 8 15 0
센트럴 000 000 100 1 6 0
승리 투수: 사사키 로키(지바 롯데)  패전 투수: 무라카미 쇼키(한신)
홈런:  퍼시픽 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3회 1점), 만나미 추세이(닛폰햄·7회 1점)  센트럴 미야자키 도시로(DeNA·7회 1점)
간략 정보

출장 선수

자세한 정보 퍼시픽, 타순 ...

타순

자세한 정보 퍼시픽 리그, 타 순 ...

투수

자세한 정보 퍼시픽 리그, 선 수 ...

수상 선수

MVP
첫회에 무사 1, 2루 상황에서 중전 적시타, 3회에는 원 아웃 상황에서 솔로 홈런을 터뜨려 3타수 2안타 2타점의 맹활약을 보였다.[6] 올스타전 MVP 수상은 2014년 1차전, 전년도 2차전에 이어 개인 통산 세 번째로 수상했다.[6] 2경기 연속 MVP를 차지한 사례는 1998년 2차전·1999년 1차전에서 연거푸 수상한 마쓰이 히데키 이후 역대 두 번째다.[6]
감투 선수상
3타수 3안타의 활약을 보였고[7] 5회에 펜스 쪽 타구를 잡아내는 등의 호수비를 보여줬다.[7]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
7회에 2017년 2차전에서 고바야시 세이지 이후 역대 18번째에 해당되는 첫 타석 홈런을 쳤다.[8]
7회 솔로 홈런을 터뜨려 센트럴 올스타팀의 유일한 타점을 올렸다.
마이나비 드림상
  • 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

2차전

스코어

1 2 3 4 5 6 789 R H E
퍼시픽 010 200 120 6 13 0
센트럴 000 010 000 1 5 1
승리 투수: 야마시타 슌페이타(오릭스)  패전 투수: 구리 아렌(히로시마)
홈런:  퍼시픽 만나미 추세이(닛폰햄·4회 1점)
간략 정보

출장 선수

자세한 정보 퍼시픽, 타순 ...

타순

자세한 정보 퍼시픽 리그, 타 순 ...

투수

자세한 정보 퍼시픽 리그, 선 수 ...

수상 선수

MVP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
4회 바우어로부터 2경기 연속 솔로 홈런을 날리는 등 4타수 2안타를 기록(2경기 합계 6타수 3안타, 타율 0.500)했다.[9] 첫 출전부터 2경기 연속 홈런은 올스타전 사상 처음이다.[9] 닛폰햄 선수가 MVP를 차지한 것은 전년도 1차전에서의 기요미야 고타로 이후 2년 연속 쾌거이다.[10]
감투 선수상
선발 등판하여 2이닝 1피안타 1탈삼진으로 막아내 승리 투수가 됐다.[11] 21세 0개월 만에 선발승을 기록한 것은 역대 다섯 번째 최연소 기록이며 첫 등판에 한해서는 역대 최연소가 됐다.[11]
  • 아리엘 마르티네즈(닛폰햄)
6회에 수비를 위해 중도 출전하여 8회에 털리로부터 2점 적시 3루타를 날리는 등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12]
2타수 2안타로 센트럴 올스타팀에서 유일하게 득점을 올렸다.[13] 요미우리 선수에 의한 감투상 수상은 2017년 2차전에서 고바야시 세이지 이후 6년 만이다.
마이나비 드림상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
Remove ads

홈런 더비

예선 준결승 결승
                   
제1경기(7월 19일)
 호소카와 세이야 2
제3경기(7월 19일)
 나카무라 다케야 1
 호소카와 세이야 4(3)
제2경기(7월 19일)
 마키 슈고 4(0)
 마키 슈고 5(2)
제7경기(7월 20일)
 스기모토 유타로 5(0)
 호소카와 세이야 0
제4경기(7월 20일)
 오카모토 가즈마 1
 오카모토 가즈마 2
제6경기(7월 20일)
 야나기타 유키 1
 오카모토 가즈마 5
제5경기(7월 20일)  
 미야자키 도시로 4
 미야자키 도시로 6     
 만나미 추세이 3     
  • 괄호 안은 연장전의 득점.

[14]

우승자
  • 오카모토 가즈마(요미우리)
닛산 EV No.1상(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친 선수)
  • 미야자키 도시로(DeNA)
기록: 6개(제5경기)[주 4]
Remove ads

기록

1차전

2차전

  • 2경기 연속 홈런 : 만나미 추세이 ※역대 23명째(28번째), 첫 출장부터 2경기 연속은 사상 최초[9]
  • 최연소 첫 등판·첫 선발 승리 : 야마시타 슌페이타[11]
  • 외국인 배터리 : 6회말(투수: L. M. 페르도모, 포수: A. 마르티네즈) ※사상 최초[19]
  • 팀 투구수 82개 : 퍼시픽 리그 ※2007년 센트럴 리그(77개)에 이은 최소 기록[20]
  • 팀 희생플라이 2개 : 퍼시픽 리그 ※역대 4번째로 최다 타이 기록[21]
  • 대타 기용 없음 : 센트럴 리그 ※역대 7번째[21]

두 경기 통산

  • 시리즈 통산 2득점 : 센트럴 리그 ※역대 3번째 최소 타이 기록[21]
  • 양팀 도루 없음 : 2002년 이후 역대 두 번째[21]
  • 시리즈 희생플라이 3개 : 퍼시픽 리그 ※역대 최다[21]
  • 대타 기용 없음 : 센트럴 리그 ※사상 최초[21]

팬 투표

Remove ads

주해

  1. 2020년에 2차전으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취소돼 열리지 못했다.
  2. 제2경기의 마키 및 스기모토, 제3경기의 호소카와는 연장전을 포함한 기록이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된다.
  3. 지금까지의 최고령 기록은 2006년 1차전의 요시이 마사토(41세 3개월)[16]이며 센트럴 리그까지 포함하면 2018년 2차전의 우에하라 고지(43세 3개월)에 이은 최고령 기록이다.[16]
  4. 지금까지의 최고령 기록은 2005년 2차전의 구도 기미야스(42세 2개월)였다.[16]
  5. 단, 선발 투수로 선출된 이가와 게이는 1위로 최다 득표를 얻은 가와사키 겐지로(주니치)의 조직표를 이유로 사퇴에 의한 2위로부터의 끌어올린 것에 의한 것이므로 정식 선출된 인원은 8명이었다.
  6. 과거 두 가지 사례는 금년도와 달리 투수 한 명뿐인 7개 부문이기 때문에 선출된 인원은 1978년의 닛폰햄은 8명(이 중 2명은 보이콧), 1983년의 요미우리는 7명이다.[23]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