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3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2023년 7월 19일과 7월 20일에 열린 일본 프로 야구의 올스타전 경기이다.
개요
2017년 이후 마이나비의 특별 협찬으로 ‘마이나비 올스타 게임 2023’(マイナビオールスターゲーム2023)이라는 이름으로 개최됐다.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두 차례의 경기가 열렸고 전 경기 모두 지명타자제가 채택됐다. 두 경기 모두 센트럴 리그 주최로 개최됐다.[1]
일정
- 1차전 : 7월 19일
- 2차전 : 7월 20일
-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주관 구단: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5년 2차전 이후 8년 만에 3번째)
특별 행사
- 홈런 더비
- 야구 전당 헌액식(1차전 시작 전)
출장 선수
|
- 숫자는 출장 횟수를 뜻하며 괄호 안에 있는 숫자는 상기 횟수 가운데 부상 때문에 출전하지 못한 횟수.
- 사퇴 또는 결장한 선수는 야구 협약 86조에 따라 올스타전 종료 후 후반기 시작 시점부터 10경기 동안 선수 등록을 할 수 없지만 2023년에는 올스타 특례 2023으로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출전을 포기한 경우 출전 정지 대상에서 제외된다.[1] 또한 올스타전 직전의 경기까지 등록 말소된 경우에는 그 말소 기간은 10경기로부터 차감된다.[2]
- 팬 투표에서는 지명타자, 선수간 투표에서는 외야수로 선출됨.
- 포수로서의 등록이지만 전반기 종료까지는 모두 1루수 및 지명타자로 출전했다.
Remove ads
올스타전 경기 결과
1차전
스코어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퍼시픽 | 4 | 0 | 1 | 0 | 0 | 2 | 1 | 0 | 0 | 8 | 15 | 0 | |||||||||||||
센트럴 | 0 | 0 | 0 | 0 | 0 | 0 | 1 | 0 | 0 | 1 | 6 | 0 | |||||||||||||
승리 투수: 사사키 로키(지바 롯데) 패전 투수: 무라카미 쇼키(한신) 홈런: 퍼시픽 – 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3회 1점), 만나미 추세이(닛폰햄·7회 1점) 센트럴 – 미야자키 도시로(DeNA·7회 1점) |
출장 선수
타순
투수
수상 선수
- MVP
- 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
- 첫회에 무사 1, 2루 상황에서 중전 적시타, 3회에는 원 아웃 상황에서 솔로 홈런을 터뜨려 3타수 2안타 2타점의 맹활약을 보였다.[6] 올스타전 MVP 수상은 2014년 1차전, 전년도 2차전에 이어 개인 통산 세 번째로 수상했다.[6] 2경기 연속 MVP를 차지한 사례는 1998년 2차전·1999년 1차전에서 연거푸 수상한 마쓰이 히데키 이후 역대 두 번째다.[6]
- 감투 선수상
- 곤도 겐스케(소프트뱅크)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
- 미야자키 도시로(DeNA)
- 7회 솔로 홈런을 터뜨려 센트럴 올스타팀의 유일한 타점을 올렸다.
- 마이나비 드림상
- 야나기타 유키(소프트뱅크)
2차전
스코어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퍼시픽 | 0 | 1 | 0 | 2 | 0 | 0 | 1 | 2 | 0 | 6 | 13 | 0 | |||||||||||||
센트럴 | 0 | 0 | 0 | 0 | 1 | 0 | 0 | 0 | 0 | 1 | 5 | 1 | |||||||||||||
승리 투수: 야마시타 슌페이타(오릭스) 패전 투수: 구리 아렌(히로시마) 홈런: 퍼시픽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4회 1점) |
출장 선수
타순
투수
수상 선수
- MVP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
- 4회 바우어로부터 2경기 연속 솔로 홈런을 날리는 등 4타수 2안타를 기록(2경기 합계 6타수 3안타, 타율 0.500)했다.[9] 첫 출전부터 2경기 연속 홈런은 올스타전 사상 처음이다.[9] 닛폰햄 선수가 MVP를 차지한 것은 전년도 1차전에서의 기요미야 고타로 이후 2년 연속 쾌거이다.[10]
- 감투 선수상
- 야마시타 슌페이타(오릭스)
- 선발 등판하여 2이닝 1피안타 1탈삼진으로 막아내 승리 투수가 됐다.[11] 21세 0개월 만에 선발승을 기록한 것은 역대 다섯 번째 최연소 기록이며 첫 등판에 한해서는 역대 최연소가 됐다.[11]
- 아리엘 마르티네즈(닛폰햄)
- 6회에 수비를 위해 중도 출전하여 8회에 털리로부터 2점 적시 3루타를 날리는 등 2안타 2타점을 기록했다.[12]
- 오카모토 가즈마(요미우리)
- 2타수 2안타로 센트럴 올스타팀에서 유일하게 득점을 올렸다.[13] 요미우리 선수에 의한 감투상 수상은 2017년 2차전에서 고바야시 세이지 이후 6년 만이다.
- 마이나비 드림상
- 만나미 추세이(닛폰햄)
Remove ads
홈런 더비
예선 | 준결승 | 결승 | ||||||||
제1경기(7월 19일) | ||||||||||
호소카와 세이야 | 2 | |||||||||
제3경기(7월 19일) | ||||||||||
나카무라 다케야 | 1 | |||||||||
호소카와 세이야 | 4(3) | |||||||||
제2경기(7월 19일) | ||||||||||
마키 슈고 | 4(0) | |||||||||
마키 슈고 | 5(2) | |||||||||
제7경기(7월 20일) | ||||||||||
스기모토 유타로 | 5(0) | |||||||||
호소카와 세이야 | 0 | |||||||||
제4경기(7월 20일) | ||||||||||
오카모토 가즈마 | 1 | |||||||||
오카모토 가즈마 | 2 | |||||||||
제6경기(7월 20일) | ||||||||||
야나기타 유키 | 1 | |||||||||
오카모토 가즈마 | 5 | |||||||||
제5경기(7월 20일) | ||||||||||
미야자키 도시로 | 4 | |||||||||
미야자키 도시로 | 6 | |||||||||
만나미 추세이 | 3 | |||||||||
- 괄호 안은 연장전의 득점.
- 우승자
- 오카모토 가즈마(요미우리)
- 닛산 EV No.1상(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홈런을 친 선수)
- 미야자키 도시로(DeNA)
- 기록: 6개(제5경기)[주 4]
Remove ads
기록
1차전
- 첫 타석 홈런 : 만나미 추세이 ※역대 18번째[15]
- 퍼시픽 리그 역대 최고령 등판 : 와다 쓰요시(42세 4개월)[16][주 5]
- 최고령 탈삼진 : 상동[16][주 6]
- 첫회 선두 타자부터 4연타 : 퍼시픽 리그(1번 도노사키 슈타부터 4번 야나기타 유키까지) ※1970년 2차전에서의 퍼시픽 리그(1번 나가이케 도쿠지부터 7번 아리토 미치요까지 7연타) 이후 53년 만에 두 번째[6]
- 외국인 포수의 출장 : 아리엘 마르티네즈 ※1953~1955년 히로타 준, 1954년·1955년 찰리 루이스 이후 68년 만에 3번째[17]
-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에서 출장 : 아키야마 쇼고 ※역대 85번째(퍼시픽 리그에서 2015~2019년 출장)[18]
-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에서 출장 : 나카타 쇼 ※역대 86번째(퍼시픽 리그에서 2011~2018년에 출장)[18]
- 양팀 무4구 ※역대 15번째[18]
- 대타 기용 없음 : 센트럴 리그 ※역대 6번째[18]
2차전
두 경기 통산
팬 투표
Remove ads
주해
- 제2경기의 마키 및 스기모토, 제3경기의 호소카와는 연장전을 포함한 기록이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된다.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