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IARC 1군 발암 물질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IARC 1군 발암 물질(IARC group 1)은 국제 암 연구 기관(IARC)에서 인간에게 발암물질로 분류된 물질, 화학적 혼합물, 노출 환경이다.[1] 이 분류는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을 때 사용된다. 예외적으로 인간에게 발암성 증거가 불충분하더라도, 실험 동물에서 발암성 증거가 충분하고 노출된 인간에서 해당 물질(혼합물)이 관련 발암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을 경우 이 분류에 포함될 수 있다.
1군 발암 물질 목록은 보통 물질과 관련된 위험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발암 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지만, 해당 발암 물질에 노출된 수준을 고려했을 때 암을 유발할 확률인 위험성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2] 이 목록은 2025년 1월 기준으로 최신이다.[3]
Remove ads
물질
감염성 질환
바이러스
-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1형 (감염 시)
- 사람T세포림프친화바이러스 1형
-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형
- B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감염 시)
- C형 간염 바이러스 (만성 감염 시)
- KSHV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세균
- 위나선균 (감염 시)
기생충
- 간흡충 (감염 시)
- 타이간흡충 (감염 시)
- 방광주혈흡충 (감염 시)
화학 물질
- 술 섭취와 관련된 아세트알데하이드[4]
- 아크릴로나이트릴
- 아플라톡신
- 4-아미노바이페닐
- 아리스톨로크산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
- 비소 및 무기 비소 화합물[note 1]
- 석면 (모든 형태, 녹섬석, 아모사이트, 안소필라이트, 크리소타일, 크로시돌라이트, 투섬석 포함)
- 아자티오프린
- 벤젠
- 벤지딘 및 대사되어 벤지딘이 되는 염료
- 벤조(a)피렌
- 베릴륨 및 베릴륨 화합물[note 2]
- 1,3-뷰타다이엔
- 1,4-뷰테인다이올 다이메테인설포네이트 (부술판, 마일레란)
- 카드뮴 및 카드뮴 화합물[note 2]
- 클로르나파진 (N,N-비스(2-클로로에틸)-2-나프틸아민)
- 클로람부실
- 비스(클로로메틸) 에테르
-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
- 크로뮴(VI) (육가 크로뮴) 화합물[note 2]
- 시클로스포린
- 시클로포스파미드
- 1,2-다이클로로프로페인
- 다이에틸스틸베스트롤
- 에리오나이트
- 술에 포함된 에탄올[4]
- 산화 에틸렌
- 에토포시드 단독 또는 시스플라틴 및 블레오마이신과의 병용
- 플루오로-에덴나이트 섬유상 각섬석
- 폼알데하이드
- 비소화 갈륨
- 린데인
- 멜팔란
- 메톡살렌 (8-메톡시프소랄렌) + 자외선 A 방사선
-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 (MOCA)
- MOPP 및 알킬화제를 포함한 기타 복합 화학요법
- 머스터드 황 (황 머스터드)
- 2-나프틸아민
- 니켈 화합물[note 2]
- 4-(N-나이트로소메틸아미노)-1-(3-피리딜)-1-뷰탄온 (NNK)
- N-나이트로소노르니코틴 (NNN)
- 2,3,4,7,8-펜타클로로다이벤조퓨란
- 3,4,5,3’,4’-펜타클로로바이페닐 (PCB-126)
- 펜타클로로페놀
- 과불화옥탄산 (PFOA), 2023년 평가
- 폴리염화 바이페닐
- 세무스틴 [1-(2-클로로에틸)-3-(4-메틸사이클로헥실)-1-나이트로소요소, 메틸-CCNU]
- 석영 또는 크리스토발라이트 형태의 결정질 실리카 먼지
- 타목시펜[note 3]
- 2,3,7,8-테트라클로로다이벤조-p-다이옥신 (TCDD)
- 티오테파 (1,1',1"-포스피노티오일라이딘트리스아지리딘)
- 트레오설판
- 트라이클로로에틸렌
- o-톨루이딘
- 염화 바이닐
-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5][6]
- 보리코나졸[5][6]
- 타크로리무스[5][6]
방사선 및 그 물리적 작용제
복합 혼합물/물질
- 아플라톡신 (자연 발생 혼합물)
- 실외 대기 오염
- 실외 대기 오염 중 미세먼지
- 술
- 아레카 나무 열매, 즉 빈랑열매
- 담배가 있거나 없는 빈랑
- 콜타르 피치
- 콜타르 (콜타르 증류 참조)
- 디젤 배기가스[7]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폐경 요법 (복합)
-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경구 피임약 (복합)[note 5]
- 에스트로겐 요법, 폐경 후 참고: 인간의 에스트로겐 단독 폐경 요법과 대장암에 대해서는 "발암성 부족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 에스트로겐 단독 폐경 요법과 대장암 사이에 역의 연관성이 관찰되었다.
- 피혁 먼지
- 광물유, 미처리 또는 약하게 처리된 것
- 페나세틴, 이를 포함하는 진통제 혼합물
- 아리스톨로크산을 포함하는 식물
- WHO의 독성 등가 계수(TEF)에 따른 다이옥신 유사 폴리염화 바이페닐 (PCBs 77, 81, 105, 114, 118, 123, 126, 156, 157, 167, 169, 189)[note 6]
- 가공육 (섭취)[8]
- 광둥식 염장 생선
- 셰일 오일
- 그을음, 굴뚝 청소부의 직업적 노출에서 발견되는 것
- 목재 먼지
노출 환경
- 아체손 공정, 관련 직업적 노출
- 강한 무기산 미스트
- 알루미늄 생산
- 오라민 생산
- 제화 및 수리 (피혁 먼지, 벤젠 참조)
- 굴뚝 청소부 (그을음 참조)
- 석탄 가스화
- 가정 연소로 인한 석탄 실내 배출
- 콜타르 증류
- 코크스 생산
- 소방관 (직업적 노출)
- 가구 및 장 (가구) 제작 (목재 먼지 참조)
- 적철광 광업 (지하)
- 철 및 강철 주조 (작업 중 직업적 노출)
- 강산을 사용한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
- 마젠타 생산
- 아편 섭취
- 도배공 (직업적 노출)
- 콜타르 피치로 포장 및 지붕 작업 (콜타르 피치 참조)
- 고무 제조업
- 무연 담배
- 담배 연기, 간접 흡연
- 담배 흡연
- 일광욕 침대
- 용접 연기 및 자외선 복사
Remove ads
같이 보기
- IARC 2A군 발암 물질
- IARC 2B군 발암 물질
- IARC 3군 발암 물질
내용주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