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IARC 2A군 발암 물질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IARC 2A군 발암 물질은 국제 암 연구 기관(IARC)이 발암물질 중 2A군으로 분류한 물질 및 노출 상황이다.[1] 이 분류는 인간에게서 발암성에 대한 제한된 증거가 있으며 실험 동물에게서 발암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있을 때 적용된다. 어떤 경우에는 인간에게서 발암성에 대한 부적절한 증거와 실험 동물에게서 발암성에 대한 충분한 증거, 그리고 발암이 인간에게서도 작용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매개된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을 때 2A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인간에게서 발암성에 대한 제한된 증거만을 기반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 목록은 물질과 관련된 위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발암 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노출 수준을 고려했을 때 암을 유발할 위험성은 고려하지 않는다.[2] 이 목록은 2025년 기준 최신 정보이다.[3]
Remove ads
물질
화합물
- 아크롤레인
- 아크릴아마이드
- 안드로겐 (단백동화) 스테로이드
- 아닐린
- 아닐린 염산염
- 오르토-아니시딘 염산염
- 아자시티딘
- BCNU (비스클로로에틸 나이트로소유레아)
- 2-브로모프로페인
- 캅타폴
- 클로랄
- 클로랄 수화물
- 클로람페니콜
- 알파-염소화 톨루엔 (염화 벤잘, 염화 벤조트라이, 염화 벤질) 및 염화 벤조일 (복합 노출)
- CCNU (1-(2-클로로에틸)-3-사이클로헥실-1-나이트로소유레아)
- 4-클로로-o-톨루이딘
- 클로로조토신
- 시스플라틴
- 코발트(II) 염, 가용성
- 사이클로펜타(c,d)피렌
- 다이아지논
- 다이벤즈(a,j)아크리딘
- 다이벤즈(a,h)안트라센
- 다이벤조(a,l)피렌
- 다이클로로메테인 (메틸렌 클로라이드)
- 4,4'-다이클로로다이페닐트라이클로로에테인 (DDT)
- 다이에틸 황산염
- 다이엘드린, 및 알드린이 다이엘드린으로 대사됨
- 다이메틸카르바모일 클로라이드
- 다이메틸폼아마이드
- 1,2-다이메틸하이드라진
- 다이메틸 황산염
- 독소루비신
- 에피클로로하이드린
- 에틸렌 다이브로마이드
- 에틸 카바메이트 (유레탄)
- N-에틸-N-나이트로소유레아
- 글리시돌
-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 글리포세이트
- 하이드라진
- 인듐 인화물
- 2-아미노-3-메틸이미다조[4,5-f]퀴놀린 (IQ)
- 납 화합물, 무기
- 말라티온
- 5-메톡시프소랄렌
- 메틸 유제놀
- 메틸 메테인설폰산염
- 메르캅토벤조티아졸
- MNNG (N-메틸-N'-나이트로-N-나이트로소구아니딘)
- N-메틸-N-나이트로소유레아
- 내인성 나이트로소화를 유발하는 조건 하에서 섭취된 질산염 또는 아질산염
- 오르토-나이트로아니솔
- 질소 머스터드
- 1-나이트로피렌
- N-나이트로소다이에틸아민 (DEN)
- N-나이트로소다이메틸아민 (NDMA)
- 나이트로톨루엔
- 6-나이트로크리센
- 페나세틴
- 피오글리타존
- 폴리브로민화 바이페닐
- 프로카르바진 염산염
- 1,3-프로페인 설톤
- 탄화 규소 섬유
- 스타이렌 (산업 노출)
- 스타이렌-7,8-산화물
- 테니포사이드
-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 3,3',4,4'-테트라클로로아조벤젠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 1,1,1-트라이클로로에테인
- 1,2,3-트라이클로로프로페인
- 트리스(2,3-다이브로모프로필) 인산염
- 3가 안티몬
- 브로민화 비닐
- 플루오린화 비닐
병원균
- 말라리아 (풍토병 지역에서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 감염으로 인한 경우)
- 인유두종바이러스 68형
- 메르켈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 (MCV)
혼합물
노출 상황
Remove ads
같이 보기
- IARC 1군 발암 물질
- IARC 2B군 발암 물질
- IARC 3군 발암 물질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