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급진 정통주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란 현대주의 철학의 패러다임을 거부하고 포스트모던 철학을 사용하는 기독교 신학과 철학 학파이다. 이 운동은 존 밀뱅크 (John Milbank)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99년 루트렛지 (Routledge)에 의해 출판 된 <급진 정통주의 : 새로운 신학>(Radical Orthodoxy: A New Theology, edited by Milbank)라는 제목에서 이름을 따 왔다. 존 밀뱅크(John Milbank), 그레이엄 워드(Graham Ward), 그리고 캐서린 픽스톡(Catherine Pickstock) 편집위원이었다. 비록 이들이 이 운동의 주된 창설자들 이었지만, 급진 정통주의는 교회의 전통에서 많은 신학자들을 포함한다. 존 밀뱅크, 캐서린 픽스톡, 그레이엄 워드, 제임스 K. A. 스미스와 같은 신학자들이 있다.

Remove ads

주된 사상

요약
관점
  • 존 밀뱅크는 급진적 정통을 7가지 상호 연관된 주요 사상으로 요약했다.

믿음과 이성, 또는 이성과 계시 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부정하며, 오히려 인간의 지식은 신적 진리에 의해 조명될 때에만 지식임을 인정한다. 모든 창조물은 오직 하나님의 존재에 참여함으로써만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나님의 본성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우리에게 그 본성의 일면을 엿볼 기회를 제공한다. 인간의 구성체(예: 문화, 공동체, 언어, 역사, 기술) 또한 하나님의 존재에 참여한다. 이것은 진리에 대한 부수적인 것("incidental to the truth")도 아니고 진리에 대한 장벽("a barrier against it")도 아니다.

신학은 인간의 일과 신의 일이 함께 이루어지는 "신학적 협력(theurgy)"을 통해 기능하는데, 이 모든 일들은 궁극적으로 하나님께 속한다. 이 작업과 그 교환 행위를 "예전(liturgy)"이라 하며, 여기서 "집단적인 인간 행동이 신적 강림(divine descent)을 초대"한다. 절대적으로 확실한 직관적 존재에서 진리의 근거를 찾지 못함으로써 진리 자체가 없다고 결론짓는 포스트모던적 허무주의를 거부한다. 급진 정통주의는 진리가 절대적 근거나 유한한 확실성이 없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이를 유한한 존재가 영원한 존재를 향하도록 방향 짓는 것으로 이해한다. 합리주의는 인간이 진리의 중재자가 되게 함으로써 성육신한 하나님의 영원한 진리를 부정하는 것이므로 악하다고 본다. 이러한 태도는 역사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특히 교회 안에서 중심적으로 드러난다.

"하나님이 없이 사람들은 사물의 중심에서 허무함(nullity)을 본다. 그들은 삶보다 죽음을 더 실재하는 것으로 여긴다. 이것은 몸이 공허해지고 추상화가 진정한 영구적 실재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모든 것은 부패한다'). 오직 초월에 대한 믿음과 초월에 참여함이 실제로 물질과 몸체의 실재를 확보한다. 하나님은 몸을 초월하지만, 말하자면 몸보다 더 '몸'이다. 따라서 급진 정통주의는 몸, 성, 감각, 미학의 가치를 강조하며, 동시에 하나님을 향해 몸을 엄격히 절제하는 금욕주의가 이러한 가치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본다."

인간은 또한 자연과 다른 인간의 존재에도 참여한다. 이에 따라 구원은 공동체적일 뿐 아니라 우주적이기도 하다. 구원은 "자연을 공포와 고통에서 해방시켜 최대한의 조화와 아름다움에 이르게 하며", 그리고 "진정한 미덕과 탁월성의 공통 인식을 기반으로 인간들 간의 최대한 민주적이고 사회주의적인 협력을 가져오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교회는 완전하게 실현된 하나님의 나라를 예고한다.

이 모든 기저에는 신학이 "과학의 여왕" 또는 가능한 모든 인간 지식 중 최고봉으로서 복귀하며, 고대 및 중세 정통 신학을 포스트모던 방식으로 재확인하는 점이 있다.

  1. 교회의 전례(liturgy)와 성례전, 언어와 예식의 신비, 신학적 언어 공동체 개념을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2. 언어, 예식, 예배의 참여적·신비적 특성을 강조하여 존재론적 참여와 신학적 해석을 주로 교회의 전례적 실천에 초점을 맞춘다.
  3. 픽스톡은 신학의 언어적, 전례적 상징매개성을 강조함으로써 밀뱅크의 사회이론적 해석과는 차별화된 영역을 형성한다.
  1. 문화, 예술, 문학, 도시 패러다임, 젠더 및 미디어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현상에 대한 신학적 비평과 통찰에 집중한다.
  2. 교회의 신학적 정체성과 정통적 신비, 인간 공동체의 신학적 성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초점을 둔다.
  3. 밀뱅크가 사회이론, 픽스톡이 언어‧전례라면, 워드는 사회문화적 해석과 윤리적 적용, 현대성 비판에 강점을 둔다.
Remove ads

영향들

앙리 드 뤼박의 자연과 은총의 구별에 대한 신학적 작업은 존재론의 설명에서 이운동의 영향력이었다.[1]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의 신학적 미학과 문학적 비평도 영향을 주었다. 자유주의에 대한 강한 비평이 급진적 정통의 대부분에서 발견되는데,[2] 바로 카를 바르트의 영향을 보여준다. 옥스포드운동과 케임브리지 플라톤 학파도 이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신플라톤주의(Neoplatonism)의 한 형태는 급진정통(radical orthodoxy)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리아의 칼키스 출신 이암블리쿠스(Iamblichus of Chalcis, 약 245–325)와 비잔틴의 프로클루스(Proclus, 412–485)가 때때로 그 사상적 근원으로 인용되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 of Hippo), 닛사의 그레고리(Gregory of Nyssa),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쿠자의 니콜라우스(Nicholas of Cusa), 그리고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의 신학이 자주 인용된다.

급진 정통주의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의 철학을 비판하는 것이다. 둔스 스코투스의, "존재"라는 용어가 하나님과 피조물에게 단일하게 사용된다는 존재의 일의성(univocally) 이론은 종종 모더니티(현대성)의 선구자로서 제시된다.

이 운동 내 다수는 정치적으로 존 밀뱅크(John Milbank)의 “블루 사회주의(Blue Socialism)”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는 영국의 전통주의적 보수주의 운동인 “레드 토리즘(Red Toryism)”과 입장을 같이 한다.

Remove ads

비판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는 모더니즘과 세속주의를 비판하며, 신학 중심적 해석과 존재론적 참여의 사상을 강조하는 신학적 흐름이다. 그러나 여러 신학적, 철학적, 실천적 측면에서 여러 비판점이 존재한다.

1. 참여 존재론의 한계

급진 정통주의는 피조물이 하나님에게 존재론적으로 참여한다는 '참여의 존재론'을 핵심 전제로 삼는다. 그러나 이는 창조와 구속, 칭의와 성화 등 전통적 개신교 신학의 교리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고, 동방교회의 ‘신성화(deification)’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2. 해석학적 폐쇄성 및 통제적 매개성

급진 정통주의는 언어, 예식, 교회를 하나의 ‘언어 공동체’로 해석하며, 교회 안에만 참된 신학과 윤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해석학은 가톨릭 전통의 통제적 매개 개념과 결합되어, 대화와 개방성보다 내부 질서와 매개에 치중한다는 비판이 있다.

3. 반(反)자율성 의식에 대한 문제점

급진 정통주의는 모더니티의 자율적 이성에 반대하며, 모든 지식의 근원을 하나님의 조명으로 돌린다. 이는 근대 이후 발전한 인간의 자율, 합리성, 과학적 탐구에 대한 지나친 부정이라는 비판을 낳는다.

4. 실천적, 정치적 함의의 제한

급진 정통주의는 사회, 정치, 문화를 포스트모던 맥락에서 신학적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구체적 실천론보다는 신비적·은총 중심적 신학 해석에 머무르기 쉽고, 제도적 교회의 역할 강조가 종종 배타적 공동체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약점이 제기된다.

5. 대안적 관계 신학의 필요

급진 정통주의의 '통제적 매개성'은 직접성과 매개성의 긴장을 해결하지 못하며, 세계 기독교적 다양성과 ‘관계신학’을 수용하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급진 정통주의는 모더니즘과 세속주의를 비판하고 신학적 전통의 부활을 시도하지만, 존재론적 구분의 불분명, 해석학적 폐쇄성, 반자율성의 경직성, 실천적 한계 등의 문제가 지적된다.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면서도 세계 기독교의 다양성과 관계성을 조화시키는 신학적 대안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