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랑수아 클루에
프랑스 화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프랑수아 클루에(프랑스어: François Clouet, 1510년경~1572년 12월 22일)는 화가 장 클루에의 아들로, 프랑스 르네상스 시기의 소형 초상화를 주로 그린 화가였으며, 특히 프랑스 왕실 가족의 세밀한 초상화로 잘 알려져 있다.
역사적 기록
요약
관점
프랑수아 클루에는 궁정 화가 장 클루에의 아들로 투르에서 태어났다. 장 클루에는 남부 네덜란드 출신으로, 아마 브뤼셀 지역 출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프랑수아 클루에는 아버지 밑에서 공부했으며, 아버지의 별명인 ‘자네(Janet)’를 이어받아 일부 초기 사료와 오래된 문헌에서 그렇게 불리기도 한다.[1]
프랑수아 클루에에 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1541년 12월의 문서인데, 여기서 국왕은 외국인 소유로서 왕실에 귀속된 아버지의 재산을 프랑수아에게 양도하고 있다. 이 문서에서 어린 클루에는 아버지의 예술을 매우 가까이서 따랐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그는 왕의 시종 겸 전속 화가라는 직책을 맡았으며, 급여 면에서도 아버지가 받던 수준에서 출발했다. 많은 드로잉 작품들이 그에게 귀속되어 있으나, 항상 확실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의 경우보다는 확실히 더 많은 자료가 남아 있다.[2]
프랑수아 클루에는 당대 작가들에게 찬사를 받으며, 그의 이름은 왕조가 바뀔 때마다 세심하게 보존되었고, 많은 그림들의 귀속에서 오래되고 끊임없는 전통이 이어졌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직접 입증하는 원본 증거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귀속을 보증할 문서들은 알려져 있지 않다. 우피치 미술관과 루브르 박물관의 프랑수아 1세의 초상화, 그리고 그와 관련된 여러 소묘 작품은 그의 작품으로 여겨진다.[2]
그는 또한 베르사유궁의 카트린 드 메디시스 초상화와 다른 작품들을 그렸을 가능성이 높으며, 상당수의 드로잉 작품들이 그가 직접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2]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초상화 중 하나는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의 초상으로, 이는 파리 국립도서관에 보관된 파스텔 드로잉이다. 이와 유사한 성격의 작품으로는 샤를 9세의 두 점의 초상화와 샹티이의 프랑스의 마르그리트 초상화가 있다. 아마도 그의 걸작은 루브르에 있는 오스트리아의 엘리자베트 초상화일 것이다.[2] 이 작품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에게 중요한 인상을 주었으며, 특히 그의 저서 《야생의 사고》에서 예술 작품을 ‘축소 모형’으로 보는 모델 레뒤(model réduit) 이론과 다른 예술 이론을 고안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고 한다.

클루에는 파리의 템플 지구 생트 아보예 거리에서, 귀즈 저택(Hotel de Guise) 근처에 거주했으며, 1568년에는 오와롱 영주 클로드 구피에와 그의 아내 클로드 드 본의 후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사실은 1571년 그는 조폐국의 직무에 소환되어 주화에 새겨진 국왕 초상의 닮음 여부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그는 앙리 2세의 데스 마스크를 준비했으며, 1547년에는 프랑수아 1세의 얼굴과 손의 마스크를 떠서 장례식에 사용될 인물상을 그의 드로잉으로 제작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이 두 차례 모두 교회 장식과 대규모 의식에 사용될 깃발에 들어갈 그림을 제작했다.[2]
그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소형 초상화가 여러 점 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초상화는 J. 피어폰트 모건 소장품에 있는 앙리 2세의 반신상 초상화이다. 또 다른 그의 초상화로는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의 존스 컬렉션에 있는 알랑송 공작 프랑수아의 초상이 있다.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런던 주재 대사 모트 페넬롱에게 알랑송 초상화에 대해 마스트르 자메(그는 아버지의 이름을 사용했다)의 노고를 설명했다.[3] 왕실 가족의 몇몇 초상화는 해밀턴 궁전 소장품이나 매그니악 경매에서 그에게 귀속되는 경우가 많다.[2]
그는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 직후인 1572년 12월 22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유언장은 지금도 남아 있는데 여기에는 그의 자매와 두 명의 서녀, 그리고 상당한 재산의 분배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의 딸들은 이후 수녀가 되었다.[2]
Remove ads
작품
- 《사랑의 편지》, 1570년경, 티센보르네미사 미술관 르 빌레 두(Le Billet Doux)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