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부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고부군
Remove ads

고부군(古阜郡)은 정읍시 고부면, 덕천면, 소성면, 영원면, 이평면, 정우면부안군 백산면 일대에 있었던 옛 고을이다. 동학농민운동의 진원지로 유명하다.

역사

요약
관점

삼한시대에 마한고비리국백제에 점령되면서 고사부리군으로 바뀌었고, 이를 한자화하면서 고부라는 이름이 탄생하였다.

1914년 이후

조선 총독부의 강제에 의한 1914년의 행정구역[1]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고부면(古阜面)은 1914년 고부군 전역이 정읍군에 통폐합되면서 기존 군의 중심지였던 남부면(南部面)과 서부면(西部面)을 합하여 군 이름을 따왔다.
  • 소성면(所聲面)은 고부군 정면(所井面)과 포면(聲浦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와 소성면이라 하였다.
  • 영원면(永元面)은 고부군 북부면(北部面)과 동부면(東部面)울 1914년 병합할 때, 과거 북부면 태동(台洞)에 있었던 瀛原驛(영원역)에서 이름을 따왔고, 이름은 같지만 한자 획수를 줄인 (永元)으로 바꾼 것이다.
  • 덕천면(德川面)은 고부군 우면(優德面)과 달면(達川面)을 합하여 두 면의 이름을 따와 덕천면이라 하였다.
  • 이평면(梨坪面)은 고부군 답내면(畓內面)과 궁동면(宮洞面)을 합하여 이 곳 평야 이름을 따서 이평면으로 개칭한 것이다.
  • 정우면(淨雨面)은 우일면(雨日面), 장순면(長順面), 벌미면(伐未面), 수금면(水金面), 오금면(梧琴面) 구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일면과 장면을 우순면(雨順面)으로, 벌미면, 수금면, 오금면을 합하여 이곳 중심부에 있는 정토산(淨土山)의 이름을 따서 정토면(淨土面)으로 병합하여 각각 정읍군에 편입하였다. 1935년 4월 1일 우순면의 화해리(花海里), 남산리(南山里), 영파리(暎波里)를 북면(北面)에 편입하고, 나머지 두 면을 병합하여 정우면(淨雨面)이라 하였다.
  • 백산면(白山面)은 고부군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이 백산면으로 통합되어, 유일하게 부안군으로 이속된 지역이다.
  • 삼한시대에 고비리국(古離卑國)이 있었다. 서기 4세기 경 백제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이라 불리었다.
  • 백제가 신라에 패망하자 당나라가 부당하게 백제고토를 가로채 660년 웅진 도독부를 설치했지만 676년 신라가 탈환하여 신라의 영토로 합병되었다.
  • 고려시대인 936년 고려 태조 19년에 영주(瀛州)라고 칭하고 관찰사가 파견되었으며, 951년 광종 2년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개칭했다가, 다시 1019년 고려 현종 10년 고부군으로 복구되었다. 고부군은 속군인 대산군을 비롯해 보안(保安)·부령(扶寧)·정읍(井邑)·인의(仁義)·상질(尙質)·고창(高敞) 등 6개의 속현을 거느렸다.
  • 1894년 조선 고종 31년 고부군수 조병갑(趙秉甲)의 압정으로 발생한 고부 농민봉기는 전봉준(全琫準)과 손화중(孫華仲)을 중심으로 제폭구민(除暴救民)과 보국안민(輔國安民)의 기치를 든 동학농민운동으로 확산되었다. 한 때 전주성을 탈환하고 전라남도, 충청남도 일대에까지 진출하였으나 일본군의 간섭으로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함으로써 실패로 끝났다.
  • 1895년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군으로 승격되어 전주부에 이속되었으나, 이듬해 전라북도로 환원되었다.
  • 일제 조선 총독부의 강데에 의하여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시행으로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은 부안군으로, 그 밖의 전 지역은 정읍군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Remove ads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