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읍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정읍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4면 8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읍시의 면적은 692.93km2이며, 인구는 2009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50,664 세대 122,935명이다.[1]

행정 구역

Thumb
정읍시의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읍면동, 한자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마한의 고비리국, 초산도비리국이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백제 때 정촌현, 대시산군, 고사부리군이 설치되어 있었다. 757년 신라 경덕왕이 정촌현을 정읍현으로 개칭하고 태산군(현재 태인면)의 영현으로 삼았다. 이때 고사부리군은 고부군으로 개칭되었다. 936년 정읍현을 고부군의 속현으로 삼고 감무를 설치했다. 951년 고부군에 안남도호부를 설치하였고, 1019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폐지하고 고부군으로 환원하였다. 조선 시대 1409년 고려 시대의 태산군과 인의현이 합쳐져 태인군이 되었다. 1421년 태인향교가 신축되었다. 1593년 입암산성이 수축되었다. 1894년 고부군수 조병갑의 압정에 반발하여 고부의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 민란은 이후 동학농민운동으로 확산되었다.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정읍군)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자세한 정보 1914년, 현재 ...
1914년의 행정구역[6]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 1917년 11월 용북면 삼천리가 신태인리로 개칭되었다.[7]
  • 1918년 4월 18일 영원면 장문리가 고부면에 편입되었다.[7]
  • 1930년 12월 26일 정읍면을 정주면으로 개칭하였다.[8]
  • 1931년 4월 1일 정주면이 정주읍으로 승격하였다.[9] (1읍 18면)
  • 1935년 3월 1일 정토면·우순면을 정우면으로 합면하고, 보림면을 북면·태인면에 분할 편입하고, 용북면을 신태인면으로 개칭하였다.[10] (1읍 16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도령 제1호
  • 1940년 11월 1일 신태인면이 신태인읍으로 승격하였다.[11] (2읍 15면)
  • 1973년 7월 1일 산내면 목욕리, 종산리가 산외면으로, 정우면 오금리가 이평면으로 편입되었다.[12]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대통령령 제6542호
  • 1976년 4월 20일 정주읍에 동부·서부·남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1년 7월 1일 정주읍 일원을 관할로 하여 정주시가 설치되었다.[13] (1읍 15면)
  • 1983년 2월 15일 정읍군 내장면 일원과 덕천면, 소성면, 북면 일부가 정주시에 편입되었다.[14] (1읍 14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대통령령 제11027호
  • 1987년 1월 1일 소성면 만수리가 고부면으로, 이평면 도계리가 덕천면으로, 정우면 산북리가 신태인읍으로 편입되었다.[15]
  • 1989년 1월 1일 정우면 장학리가 북면으로, 입암면 신정리가 정주시로 이관되었다.[16]
  • 1995년 1월 1일 정주시 일원과 정읍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정읍시가 설치되었다.[17]
  • 2011년 5월 1일 시기3동을 초산동으로 개칭하였다.[18]
  • 2021년 4월 9일 : 입암면 접지리 일부와 마석리 일부 지역을 합쳐 대흥리를 분리 신설(11리 36마을)[19]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