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59호선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도 제59호선
Remove ads

국도 제59호선 (광양 ~ 양양선, 國道第五十九號 光陽襄陽線)은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 용지삼거리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송현사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선 구간은 본래 1994년 국도 제33호선의 종점을 선산군(구미시 선산읍)에서 평창군 진부면으로 연장하는 계획에 따라 포함되었던 구간으로 국도 제33호선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지정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선으로 지정되었다.

  • 1996년 7월 1일 :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의 전 구간이 고속도로에서 해제[1], 동시에 섬진대교를 경계로 산업대로와 태인로로 분리 및 국도 제59호선 (광양 ~ 하동선)으로 지정[2]
  • 1996년 7월 19일 :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 구미 ~ 평창선,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 성주군 수륜면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 하동 ~ 성주선으로 지정[3]
  • 2001년 8월 25일 : 국가지원지방도 제33호선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선국도 제59호선에 통폐합 되면서 노선이 광양 ~ 양양 구간으로 확대됨. (통합전: 광양 ~ 하동선, 하동 ~ 성주선, 구미 ~ 평창선) (통합후: 광양 ~ 양양선)[4][5]
  • 2001년 10월 15일 : 국도로 승격된 구간 중 미개통 구간인 3.5 km 구간을 제외한 단양군 대강면 방곡리 ~ 단양군 가곡면 유암리 57.8 km 구간 개통[6]
  • 2001년 11월 3일 : 애산 ~ 덕우간 도로 확포장공사에 의해 정선군 정선읍 애산리 ~ 덕우리 2.4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 2004년 10월 1일 :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어상전리 ~ 양양읍 월리 19.0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3.0 km 구간 폐지[8]
  • 2004년 10월 8일 : 단양군 영춘면 장발리 ~ 별방리 740m 구간 확장 개통[9]
  • 2007년 3월 21일 : 단양군 적성면 중방리 220m 구간 개통, 기존 구간 폐지[10]
  • 2008년 12월 19일 : 평창군 진부면 수항리 ~ 마평리 1.2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00m 구간 폐지[11]
  • 2009년 7월 10일 : 청암 ~ 삼장간 도로(산청군 시천면 원리 ~ 삼장면 대하리) 2.14 km 구간 확장 개통[12], 기존 구간 폐지[13]
  • 2009년 10월 5일 : 영월군 남면 창원리 구간 370m 개선[14]
  • 2010년 12월 27일 : 청암 ~ 삼장간 도로(산청군 삼장면 대하리 ~ 평촌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15]
  • 2011년 11월 24일 : 합천군 가야면 야천리 야천 교차로 개선[16]
  • 2011년 12월 20일 : 마평 ~ 진부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마평리 ~ 하진부리) 7.5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 ~ 거문리 6.2 km 구간 폐지[17]
  • 2012년 1월 6일 : 중동 금당지구 위험도로(상주시 중동면 금당1리 ~ 금당2리) 1.768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1.6 km 구간 폐지[18]
  • 2013년 1월 10일 : 합천군 가야면 황산리 황산 교차로 개선[19]
  • 2013년 7월 3일 : 벌재생태통로 준공[20]
  • 2016년 9월 8일 : 단양군 가곡면 아평삼거리와 삼봉대교 개통
  • 2016년 12월 27일 : 막동 ~ 마평간 도로(평창군 진부면 막동리 ~ 마평리) 4.33 k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평창군 진부면 막동리 ~ 수항리 2.6 km 구간 폐지[21]
  • 2017년 12월 27일 : 둔내 ~ 무이간 도로 2공구(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 간평리) 2.67 km 구간 확장 개통[22], 나전 ~ 숙암간 도로(정선군 북평면 북평리 ~ 숙암리) 8.0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정선군 북평면 숙암리 ~ 나전리 총 961m 구간 폐지[23], 숙암 ~ 막동간 도로(정선군 북평면 숙암리 ~ 평창군 진부면 막동리) 6.6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총 2.35 km 구간 폐지[24]
  • 2018년 12월 20일 : 다인 ~ 비안간 도로 1공구(의성군 다인면 덕미리 ~ 도암리) 3.85 km 구간 확장 개통[25], 기존 3.9 km 구간 폐지[26]
  • 2018년 12월 28일 : 하동 ~ 적량간 도로 2공구 및 하동 ~ 완사간 도로(하동군 하동읍 목도리 ~ 횡천면 횡천리) 8.88 km 구간 확장 개통[27], 기존 16.5 km 구간 폐지[28]
  • 2020년 8월 : 옥종 ~ 시천 (위태 ~ 문화마을)간 도로 확장 개통.
  • 2022년 7월 6일 : 정선3교(정선군 정선읍 덕송리 ~ 애산리) 740m 구간 신설 개통[29]
  • 2022년 9월 21일 : 삼장 ~ 산청간 도로(산청군 삼장면 홍계리 ~ 금서면 평촌리) 6 km 구간 신설 개통[30], 기존 12.9 km 구간 폐지[31]
Remove ads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노선

전라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상남도

Thumb
국도 제59호선과 지방도 제1014호선,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회신삼거리 - 청암 방면은 3.5톤 이상 대형 화물차량이 통행할 수 없다.
Thumb
국도 제59호선과 구 88올림픽고속도로 교각, 합천군 가야면 성기리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2018년 이전 노선)

경상북도

Thumb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의 국도 제59호선과 산북주유소(산북면 금천로 695)
Thumb
문경시 동로면과 국도 제59호선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충청북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강원특별자치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Remove ads

도로명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가야산 관통 구간

본래 국도 제59호선은 국가지원지방도 제59호선일 때인 1996년부터 합천군 가야면 구간에서 매안리 ~ 죽전리 ~ 식기재 ~ 치인2리 ~ 치인1리 ~ 해인사입구 ~ 구원리 ~ 야천삼거리 경로로 가야산을 관통하게 노선이 지정되었으며, 이 구간은 '가야산 관통도로' 또는 '가야 ~ 성기 간 도로'라 해서 2000년 3월에 착공에 들어갔으며 2005년에 완공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해인사를 중심으로한 조계종 불교계 및 환경단체에서 이 도로 건설을 강력하게 반대했고[33], 이 때문에 처음에 착공된 1공구 구간만 건설되었으며 경상남도에서도 해당 노선을 변경을 건의하기에 이르렀다.[34] 결국 2000년 4월에 지역 주민 및 환경단체에서 경남지사를 상대로 낸 도로구역결정처분취소 청구소송에서 이 도로에 대한 건설 결정을 취소하고 우회도로를 건설하도록 하는 권고문을 채택했다. 이 권고문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경상남도에서 도로 건설을 강행할 경우 법원에서 중지시키겠다는 의미가 담겨있기 때문에 사실상 건설이 무산되었다.[35] 그러나 《도로현황조서》에 의하면 해당 구간은 계속 국도 59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가 2010년판부터 제외되었다.

Remove ads

비고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