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제천문연맹 지정 별자리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제천문연맹 지정 별자리
Remove ads

국제천문연맹 지정 별자리(IAU designated constellations), 혹은 현대 별자리(Modern constellations)는 현대 천문학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88개 별자리를 가리킨다.[1] 각각의 별자리는 천구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정 적경적위각을 기준으로 경계를 가지고 있다. 천구 전체를 88개 별자리가 각각 영역을 빈틈없이 가지고 있다. 현대 별자리는 1928년 국제천문연맹(AU)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했으며 1930년 공개적으로 발표했다.[2]

Thumb
직각투영법(역기점 B1875.0) 기준으로 그린 국제천문연맹 지정 별자리의 지도.

고대 메소포타미아인과 이후 그리스인들이 현대에 국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북반구 별자리를 만들어냈고, 이를 고대 로마-이집트 천문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가 목록화했다. 여기서 특별히 황도의 별자리를 따로 이름붙였는데 이를 황도대의 별자리라고 한다. 이후 탐험가들이 남반구의 별에 별자리를 긋기 시작하자 유럽의 천문학계는 남반구의 빈 곳에 새로운 별자리와 기존 별자리 사이의 공백을 메꾸는 별자리들을 제안하기 시작했다. 이 때 만들어진 별자리는 로마와 유럽의 영향으로 전부 라틴어 이름이 붙여졌다. 1922년에는 국제천문연맹이 88개 별자리에 아르고자리를 더한 총 89개 별자리에 3자리 로마자 약자를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이후 외젠 조제프 델포르트가 88개 별자리 각각에 대한 정확한 경계를 그려서 천구의 모든 지점이 하나의 별자리에 속하도록 배열했다.[1][2]

Remove ads

역사

일부 별자리는 더 이상 국제천문연맹에서 정식 별자리로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오래된 성도나 참고문헌에서는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장 유명한 과거의 별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지정했던 초기 48개 별자리 중 하나였던 아르고자리이다. 1750년대 천문학자인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아르고자리를 용골자리(카리나), 돛자리(벨라), 고물자리(푸피스) 셋으로 분할시켜 사라졌다.

현대 별자리

요약
관점

현대 88개 별자리에는 동물 42개, 무생물 29개, 인간 혹은 신화 속 인물 17개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약어

현대 별자리 각각에는 별자리 이름의 소유격에서 딴 3자리의 공식 약어가 있다. 하지만 Orion/Orionis(오리온자리), Ara/Arae(제단자리), Coma Berenices/Comae Berenices(머리털자리)처럼 소유격은 별자리의 이름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각각 Ori, Ara, Com처럼 별자리 로마자 이름의 첫 세글자만 따서 약어를 붙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어에서 별자리의 이름에는 나오지 않는 소유격의 글자가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Hydrus/Hydri(물뱀자리)는 Hydra(바다뱀자리)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약어가 Hyi이며, Sagitta/Sagittae(화살자리)는 Sagittarius(궁수자리, 약어 Sgr)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약어를 Sgi로 사용한다. 또한 일부 약어는 별자리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첫 세글자 이외 다른 글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이름과 소유격의 처음 세글자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Apus/Apodis(극락조자리)는 약어가 APS이며 Corona Australis(남쪽왕관자리)는 CrA, Corona Borealis(북쪽왕관자리)는 CrB, Corvus(까마귀자리)는 CrV를 사용한다. 두 단어로 이루어진 별자리에서 두 번째 단어의 글자를 약자로 가져올 땐 두 번째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가져온다. 예를 들어 Canis Major(큰개자리)는 CMa, Canis Minor(작은개자리)는 CMi라고 한다.[3]

오늘날 사용되는 세 자리의 약어 외에도 1932년 IAU는 4자리의 약어도 같이 추가했었다. 이 4자리 약어는 1955년 폐지되어 현재는 사용되지 않지만, 1965년 발간된 NASA 항공우주용 기술용어사전(NASA SP-7)에 4자리 약어가 같이 들어갔다.[4] 아래 표에는 4자리 약어가 "NASA" 열에 들어가 있으며 이 문서에서는 참고용으로만 추가되어 있다.

목록

아래는 국제천문연맹이 공인한 88개 별자리의 이름이다. 각 별자리의 로마자 이름/소유격의 발음은 아래 IPA로 같이 첨부했다.

자세한 정보 별자리, 약어 ...
Remove ads

성군

별자리 외에도 비공식적으로 별을 그은 여러 유사 별자리도 존재한다. 이를 "성군"이라고 부른다. 이 예시로 북두칠성/쟁기자리와 북십자성이 있다. 또한 머리털자리, 뱀자리, 아르고자리와 같이 고대부터 내려온 성군의 경우에는 별자리로 정식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