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나우루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나우루어[2](나우루어: dorerin Naoero)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나우루의 공용어이다. 사용인구는 약 9,356명으로 전체 인구의 과반수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화자는 영어를 공동 모어로 쓰고 있다. 다른 미크로네시아어군 언어들과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나우루어는 구글 번역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 언어 중 하나이다.
Remove ads
음운
자음
나우루어는 16-17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나우루어는 연구개음화된 양순 자음과 구개음화된 양순 자음 사이의 음소적 대조를 이룬다. 연구개음화는 장모음과 후설 모음 앞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구개음화는 비저모음과 전설 모음 앞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3]
무성 파열음은 겹자음이며 비음도 길이 대조를 이룬다.[6] 치경 파열음 /t/와 /d/는 고설, 전설 모음 앞에서 각각 [tʃ]와 [dʒ]가 된다.[7]
접근음은 강조된 발음에서 마찰음이 된다. Nathan (1974)는 이를 ⟨j⟩와 ⟨w⟩로 전사하지만, 이들이 고모음의 비음절적 이음과 대조된다고 언급하기도 한다. /w/는 마찰음 [ɣʷ]로도 들릴 수 있다.
강세에 따라 /r/은 탄음 또는 전동음일 수 있다. /rʲ/의 정확한 음성적 특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Nathan (1974)는 이를 ⟨r̵⟩로 전사하며 구개음화된 자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며 부분적으로 무성음화될 수 있다고 추측한다.
모음
12개의 음소적 모음(장모음 6개, 단모음 6개)이 있다. 다음 표의 이음 외에도, Nathan (1974)에 따르면 여러 모음이 [ə]로 축약된다[4]
비저모음, 즉, /aː/, /a/, /ɑː/ /ɑ/를 제외한 모든 모음은 다른 모음 앞에 올 때 비성절음화되며, /e-oeeoun/ → [ɛ̃õ̯ɛ̃õ̯ʊn](숨기다)와 같이 변화한다.[8]
강세
강세는 마지막 음절이 모음으로 끝날 때에는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자음으로 끝날 때에는 마지막 음절에, 그리고 중복어의 경우 처음 음절에 온다.[4]
Remove ads
문자
요약
관점
나우루어의 기존 표기법에서는 17개의 글자가 사용되었다.
c, f, h, l, s, v, x, y, z는 포함되지 않았다. 외래어, 특히 독일어, 영어, 키리바시어 및 파마늉아어족의 일부 언어의 영향이 커지면서 더 많은 글자가 나우루어 알파벳에 편입되었다. 또한 일부 모음에서 음성적 차이가 발생하여 움라우트 및 기타 유사한 소리가 물결표로 표시되었다.
언어 개혁 시도
1938년에는 나우루어 위원회와 티모시 데투다모가 유럽인과 미국인이 언어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철자법을 개정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나우루어의 다양한 소리를 서면으로 표현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발음 구별 기호를 도입하려 했다. 그러나 결국 이전 물결표 대신 곡절 부호만 도입하기로 결정하여 "õ"와 "ũ"는 "ô"와 "û"로 대체되었다. "ã"는 "e"로 대체되었다.
또한, 영어 "j"와 (puji)의 단어를 구별하기 위해 "y"가 도입되었다. 따라서 ijeiji와 같은 단어는 iyeyi로 변경되었다. 이 외에도 스페인어의 Ñ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연구개 비음을 나타내는 "ñ"는 "ng"로 대체되었다. "bu"와 "qu"는 각각 "bw"와 "kw"로 대체되었다. "ts"는 "j" (영어 "j"와 유사한 소리를 나타냈기 때문)로 대체되었고, 단어 끝에 쓰이는 "w"는 삭제되었다.
이러한 개혁은 부분적으로만 시행되었다. "õ"와 "ũ"는 여전히 곡절 부호와 함께 쓰인다. 그러나 "ã"와 "ñ"는 이제 개혁에서 규정된 대로 "e"와 "ng"로 대체되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bw"와 "kw" 이중음자 사용이 구현되었다. "j"가 "ts"를 대체했지만, 특정 철자법에서는 여전히 "ts"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바이티구와 이유브구 (개혁에 따르면 Beiji와 Iyu) 지구는 여전히 옛 표기법으로 쓰인다. "y"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오늘날에는 다음 30개의 로마자가 사용된다.
위 글자와 음소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9][더 나은 출처 필요] a [ɑ/a], ã [ɛ], e [e/e̞/ɛ], i [i/ɪ/ɨ], o [o/ɔ], õ [ø], u [ʊ/ʉ], ũ [y], b [b], bw [b͡w], c [k/s], d [d], di [ʤi], f [f], g [g], gw [g͡w], h [h], j [ʤ̊], k [k], kw [k͡w], nng [ŋː], l [l], m [m], n [n], ñ [ŋ], p [p], qu [k͡w], r [ɾ/r], s [s], t [t], ti [ʧi], ts [ʤ̊], v [f/v], w [w/ɣ], x [k͡s], y [j/ʝ], z [z].
Remove ads
방언
1937년 시드니에서 발간된 보고서에 따르면 나우루가 독일의 식민지가 되고 나우루어 성경이 처음 출판되기 전인 1888년까지 나우루어는 여러 종류의 방언으로 나뉘어 있어 각 지구 간 주민의 의사소통에 불편이 많았다고 한다. 식민화 이후 외국어의 영향과 나우루어의 문어화 등을 통해 이러한 방언차는 점점 없어졌고, 오늘날에는 방언적 차이에 의한 의사소통 불편은 거의 없다. 다만 수도 기능을 하는 야렌에는 약간의 방언이 남아 있다. 나우루어는 알로이스 카이저와 필립 델라포르트의 사전과 번역을 통해 표준화된 언어로 통합되었다.
오늘날에는 방언적 차이가 훨씬 적다. 야렌 구와 그 주변 지역에서는 동명의 방언이 사용되며, 이는 다른 방언들과 약간의 차이만 보인다.
델라포르트의 나우루어 사전
1907년, 필립 델라포르트는 독일어-나우루어 사전을 출판했다. 이 사전은 10.5 × 14 cm의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어휘집에 65페이지, 구절에 추가로 12페이지가 할애되어 독일어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약 1650개의 독일어 단어가 나우루어로 번역되어 있으며, 종종 구절이나 동의어 형태로 되어 있다. 구절에 나타나는 모든 단어를 포함하여 약 1300개의 '고유한' 나우루어 형태가 있으며, 발음 구별 기호는 무시되었다. 사용된 악센트는 흔하지 않으며, 오늘날에는 물결표 하나만 사용된다.
예문
다음 예문은 나우루어 성경(창세기, 1장 1절~8절)에서 발췌한 것이다.
1Ñaga ã eitsiõk õrig imin, Gott õrig ianweron me eb. 2Me eitsiõk erig imin ñana bain eat eb, me eko õañan, mi itũr emek animwet ijited, ma Anin Gott õmakamakur animwet ebõk. 3Me Gott ũge, Enim eaõ, me eaõen. 4Me Gott ãt iaõ bwo omo, me Gott õekae iaõ mi itũr. 5Me Gott eij eget iaõ bwa Aran, me eij eget itũr bwa Anũbũmin. Ma antsiemerin ma antsioran ar eken ũrõr adamonit ibũm. 6Me Gott ũge, Enim tsimine firmament inimaget ebõk, me enim ekae ebõk atsin eat ebõk. 7Me Gott eririñ firmament, mõ õ ekae ebõk ñea ijõñin firmament atsin eat ebõk ñea itũgain firmament, mõ ũgan. 8Me Gott eij egen firmament bwe Ianweron. Ma antsiemerin ma antsioran ar eken ũrõr karabũmit ibũm.
이 번역본은 독일인 선교사들의 강한 영향으로 인해 나우루어에 유입된 일부 독일어 차용어(예: Gott, 하나님; Firmament, 천구)를 보여준다.
Remove ads
구문
각주
참고 문헌
추가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