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다순환군

수학에서, 부분군 격자가 오름 사슬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해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군론에서, 다순환군(多循環群, 영어: polycyclic group)은 순환군들을 통한 확대로 나타낼 수 있는 이다.

정의

요약
관점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군을 다순환군(영어: polycyclic group)이라고 한다.

  • 모든 순환군인, 부분정규 부분군들의 열 가 존재한다.
  • 가해군이며, 뇌터 군이다.[1]:165
  • 정수환 위의 일반 선형군 가해 부분군동형이다.
  • 이 존재한다.

거의 다순환군(영어: virtually polycyclic group, polycyclic-by-finite group)은 지표가 유한한 다순환 부분군이 존재하는 군이다. 즉, 다순환군의 유한군에 의한 확대로 나타낼 수 있는 군이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다순환군의 부분군은 다순환군이다. 다순환군의 몫군은 다순환군이다. 다순환군의 다순환군에 의한 확대는 다순환군이다.

히르슈 길이

다순환군 가 주어졌을 때, 무한 인자 의 수는 모든 순환군부분정규 부분군들의 열

의 선택과 무관하다. 이는 슈라이어 세분 정리를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이를 다순환군 히르슈 길이(영어: Hirsch length) 또는 히르슈 수(영어: Hirsch number)라고 한다.

Remove ads

역사

거의 다순환군이 아닌 뇌터 군은 알렉산드르 유리예비치 올샨스키(러시아어: Александр Юрьевич Ольшанский)가 1979년 논문에서 처음 구성하였다.[2][3]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