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멱영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군론에서, 멱영군(冪零群, 영어: nilpotent group, 문화어: 제곱령군[1])은 아벨 군에 가까운 군이다. 구체적으로, 충분히 많은 수의 교환자를 취하면 단위원이 되는 군이다.
정의
요약
관점
군 의 하중심렬(下中心列, 영어: lower central series)
은 다음과 같다.
군 의 상중심렬(上中心列, 영어: upper central series)
은 다음과 같다.
상중심렬에서 은 군 의 중심 이다.
임의의 군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멱영군은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군이다.
- 하중심렬이 유한하다. 즉, 인 음이 아닌 정수 이 존재한다.
- 상중심렬이 유한하다. 즉, 인 음이 아닌 정수 이 존재한다.
이 경우, 두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은 일치한다. 그렇다면, 를 n류 멱영군(영어: nilpotent group of class n)이라고 한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즉, 모든 아벨 군 및 데데킨트 군은 멱영군이며, 모든 멱영군은 가해군이다.
멱영군의 부분군은 멱영군이다. 멱영군의 몫군은 멱영군이다. 유한 개의 멱영군의 직접곱은 멱영군이다.
- 멱영군이다.
- 임의의 부분군 에 대하여, 만약 라면, 이다.[2]:191, Theorem 3(2)
- 모든 쉴로브 부분군은 정규 부분군이다.[2]:191, Theorem 3(3)
- 유한 개의 p-군들의 직접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2]:191, Theorem 3(4)
- 모든 극대 진부분군은 정규 부분군이다.[2]:193, Proposition 7
- 모든 가능한 크기(라그랑주 정리)의 정규 부분군이 존재한다.[2]:198, Exercise 3
- 차수가 서로소인 모든 두 원소는 가환한다.[2]:198, Exercise 9
모든 유한 멱영군은 초가해군이다.[2]:198, Exercise 4
증명:
멱영류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자. 0류·1류 멱영군은 아벨 군이므로, 자명하게 초가해군이다. 이제, 모든 유한 류 멱영군이 초가해군이며, 가 유한 류 멱영군이라고 가정하자. 즉, 에서 끝나는 하중심렬
을 갖는다. 그렇다면, 몫군 의 하중심렬은
이므로, 은 류 멱영군이다. 귀납법의 가정에 따라, 은 초가해군이므로, 의 정규 부분군들의 열
이 존재하며, 각 은 순환군이다. 가 몫 준동형 에 대한 의 원상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며, 각 는 순환군이다. 이제,
이므로, 은 의 중심에 포함되며, 특히 아벨 군이다. 따라서, 의 합성열
에서, 각 는 (크기가 소수인) 순환군이다. 또한, 이 의 중심에 포함되므로, 각 는 의 정규 부분군이다. 따라서, 의 정규 부분군들의 열
Remove ads
예
아벨 군은 0류 멱영군이다.
사원수군 은 2류 멱영군이다.
에 대하여, 정이면체군 은 류 멱영군이다. 에 대하여, 만약 이 2의 거듭제곱이 아니라면, 은 멱영군이 아니다.
참고 문헌
외부 링크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